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흡기 질병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간호지식과 감염관리 수행에 관한 실태조사 = A survey on status of general nursing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4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study aimed to explore status of general nursing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about respiratory disease with 89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using SPSS 21.0 and correlation. Scheffe' test was used as post test when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nursing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was higher in age group over fifties, higher in the group with academic degrees of graduate school, and higher in the group with careers of more than 10 years. The group with children-raising experiences showed more nursing knowledge. The educated group for respiratory disease also showed more knowledge. And the group who answered ‘very necessary’ for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respiratory disease had higher scores. Second, for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the group of teachers over fifties was higher, the group with academic degrees graduate school was also higher, and the teacher group with career more than 10 years was higher. For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the group with children- raising experiences showed a higher level. The educated group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being educated. And practice levels of the teacher group who answered ‘very necessary’ about necessity of education for respiratory disease was high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nursing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번역하기

      The study aimed to explore status of general nursing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about respiratory disease with 89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using SPSS 21.0 and correl...

      The study aimed to explore status of general nursing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about respiratory disease with 89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using SPSS 21.0 and correlation. Scheffe' test was used as post test when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nursing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was higher in age group over fifties, higher in the group with academic degrees of graduate school, and higher in the group with careers of more than 10 years. The group with children-raising experiences showed more nursing knowledge. The educated group for respiratory disease also showed more knowledge. And the group who answered ‘very necessary’ for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respiratory disease had higher scores. Second, for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the group of teachers over fifties was higher, the group with academic degrees graduate school was also higher, and the teacher group with career more than 10 years was higher. For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the group with children- raising experiences showed a higher level. The educated group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being educated. And practice levels of the teacher group who answered ‘very necessary’ about necessity of education for respiratory disease was high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nursing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respiratory disea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호흡기 질환에 대한 일반적 간호지식과 감염관리 수행정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도구인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890명의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분석은 Scheffe 검증으로 사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호흡기 질병에 대한 유아교사의 일반적 간호지식은 50대 이상 연령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학원 이상 학력집단이 높았으며, 10년 이상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를 키워 본 경험이 있는 양육경험 집단에서 간호지식이 더 높았고,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호흡기 질병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감염관리 수행정도는 50대 이상 교사집단이 높았고, 대학원 이상 집단이 높았으며, 10년 이상 교사집단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육경험이 있는 경우 집단의 감염관리 수행능력이 높았고,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보다 교육을 받은 경우 더 높았으며,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집단의 수행능력이 더 높았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간호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능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 호흡기 질병에 대한 간호지식 및 감염관리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제시되었고, 향후 유아교육기관 평가척도를 개정할 때 호흡기 질병 예방에 대한 지표를 추가하여 포함시킨다면 영유아교사들이 간호지식 및 감염관리 수행에 관심이 더 증진되어 결과적으로 영유아들의 질병예방에 실질적인 기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호흡기 질환에 대한 일반적 간호지식과 감염관리 수행정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도구인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890명의 ...

      본 연구는 호흡기 질환에 대한 일반적 간호지식과 감염관리 수행정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도구인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890명의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분석은 Scheffe 검증으로 사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호흡기 질병에 대한 유아교사의 일반적 간호지식은 50대 이상 연령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학원 이상 학력집단이 높았으며, 10년 이상 경력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를 키워 본 경험이 있는 양육경험 집단에서 간호지식이 더 높았고,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호흡기 질병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감염관리 수행정도는 50대 이상 교사집단이 높았고, 대학원 이상 집단이 높았으며, 10년 이상 교사집단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육경험이 있는 경우 집단의 감염관리 수행능력이 높았고,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보다 교육을 받은 경우 더 높았으며,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집단의 수행능력이 더 높았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간호지식과 감염관리 수행능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 호흡기 질병에 대한 간호지식 및 감염관리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호흡기 질병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제시되었고, 향후 유아교육기관 평가척도를 개정할 때 호흡기 질병 예방에 대한 지표를 추가하여 포함시킨다면 영유아교사들이 간호지식 및 감염관리 수행에 관심이 더 증진되어 결과적으로 영유아들의 질병예방에 실질적인 기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진,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천식의 연관성" 39 (39): 781-786, 2013

      2 구현영, "호흡기 감염성 질환아 가족의 교육 요구 및 가족이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 수행 정도" 한국아동간호학회 8 (8): 281-290, 2002

      3 문수백,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의 실제" 학지사 2003

      4 김일옥, "학령전 아동을 위한 호흡기전염병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간호학회 10 (10): 66-79, 2004

      5 "질병관리본부"

      6 유아교육진흥원, "제3주기 2차년도(2015학년도)유치원 평가 매뉴얼" 유아교육진흥원 2015

      7 보건복지부, "제 1차 아동정책기본계획안" 보건복지부 2015

      8 이경민, "정보제공이 호흡기 질환 아동의 질환관리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15 (15): 291-298, 2009

      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10 김은희, "유아안전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59-286, 2013

      1 김유진, "호흡기바이러스 감염과 천식의 연관성" 39 (39): 781-786, 2013

      2 구현영, "호흡기 감염성 질환아 가족의 교육 요구 및 가족이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 수행 정도" 한국아동간호학회 8 (8): 281-290, 2002

      3 문수백,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의 실제" 학지사 2003

      4 김일옥, "학령전 아동을 위한 호흡기전염병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간호학회 10 (10): 66-79, 2004

      5 "질병관리본부"

      6 유아교육진흥원, "제3주기 2차년도(2015학년도)유치원 평가 매뉴얼" 유아교육진흥원 2015

      7 보건복지부, "제 1차 아동정책기본계획안" 보건복지부 2015

      8 이경민, "정보제공이 호흡기 질환 아동의 질환관리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15 (15): 291-298, 2009

      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10 김은희, "유아안전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59-286, 2013

      11 이명환, "유아안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한독교육학회 14 (14): 75-98, 2009

      12 육아정책연구소, "유아교육․보육 통계" 육아정책연구소 2014

      13 김승현, "유아교사의 안전지식 정도 및 안전연수에 관한 인식과 요구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하새봄,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개념도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4 (54): 188-198, 2015

      15 이정숙, "유아 안전교육의 개선에 관한 연구 : 경북북부지역 유치원 교사들을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6 한혜율, "영유아 호흡기 감염 중증도에 따른 이환실태, 부모의 교육요구 및관리수행정도" 한국아동간호학회 21 (21): 227-235, 2015

      17 이미영, "영아호흡기 질환 관리교육이 어머니의 호흡기 질환 관리수행정도에 미치는 효과" 43-, 2006

      18 이소정, "영아교사의 건강·안전에 대한 지식정도 및 교육 요구와 관리 실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9 박미경, "신종플루 확산(2009년) 이후 호흡기감염 아동 보호자의 감염관리 지식정도 및 수행정도" 한국아동간호학회 17 (17): 1-9, 2011

      20 최애란,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방문한 부모들의 발열공포와 관련 요인" 한국아동간호학회 20 (20): 113-122, 2014

      21 "서울아산병원 질병백과"

      22 곽은복,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조건 : 유아 안전의 의미 탐색" 13 (13): 111-123, 2004

      23 조계엽,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영유아 감염예방에 대한 지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1

      24 김지수,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상태 현황" 10 (10): 13-27, 2007

      25 오가실,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자신감, 실천" 한국아동간호학회 14 (14): 155-162, 2008

      26 김일옥, "보육교사의 영아 건강관리 실태 및 교육 요구 조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99-120, 2012

      27 방경숙, "보육교사에 대한 보건소 중심의 영유아 안전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8 (8): 23-34, 2003

      28 김지수, "보육교사를 위한 웹기반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 (40): 213-224, 2010

      29 Killingley, B., "Virus shedding and environmental deposition of novel A(H1N1)pandemic influenza virus : Interim findings" 14 (14): 237-354, 2010

      30 김건희, "Video Self-Instruction Program을 이용한 보육교사의 소아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31 Lim, J. Y., "The role patient and parents education in the management of pediatric asthma" 10 (10): 51-60, 2000

      32 Kline, P., "The handbook of psychological testing" Routledge 2011

      33 Susan, M. R., "Pre-K preparation recommendation" 65 (65): 1-13, 2013

      34 Garbino, J., "Lower respiratory viral illness : Improved diagnosis by molecular methods and clinical impact" 170 : 197-203, 2004

      35 Guk, Y. H., "Infection and nursing" Hyun Moonsa Publishing 2000

      36 Ahn, H. S., "Hong’s pediatrics" Daehan Printing & Publishing Co. Ltd 2005

      37 Marotz, L., "Health, safety, and nutrition for the young child" Wadsworth Publishjng 2012

      38 Ko, Y. S.,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by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9 : 165-179, 2002

      39 Lee, S. M., "Adolescence of nursing"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1998

      40 Jung, B. S., "A clinical study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hospitalized children" 6 : 60-73, 1996

      41 이무식, "2015년 한국의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 역학과 정책 과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2 (32): 1-9, 2015

      42 한국보육진흥원, "2015 어린이집 평가인증 심의 매뉴얼" 한국보육진흥원 2015

      43 송태민, "2012년도 기준환자조사 심층분석"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2013

      44 박상표, "2009 신종플루의 위험성과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한 비판적 평가"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0) : 7-48, 2010

      45 김경미, "2004년도 전국 16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병원감염 감시 결과" 11 (11): 79-86, 2006

      46 김선형, "2004-2006년의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역학"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6 (26): 351-357,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