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민수의 사회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14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kepticism and criticism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have been on the rise in spite of its external advent in recent years. 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 to excavate social educators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s, demonstrate the principles of successful practice of soci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 of social educators, and examine their meanings and limitations in modern times. In that context, one of the social educators to be actively excavated and re-illuminated i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is Pai Min-soo, who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that provided agricultural education actively based on love for Korean people and Christian faith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after Liberation and tried to apply the ideas of Grundtvig of Denmark, who had huge influences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education in the world, to the situational contexts of Korea.
      His social education has such ideological foundations and intention points as the implementation of Christian view of the world based on social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of world pacifist ideology, conquest of the limitations of western capitalism, conquest of communism, social education as a tool to build Lord's Country, and adherence to the nationalist spirit. Those findings were used to find that the practice principles of his social education were the practice of social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production of leaders, emphasis on community-based interactions, pursuit of social education with reality and consciousness combined in it, and adherence to the small-sized movement-oriented principles. Based on his educational though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requirements of social educators including the exercise of periodic and social flexibility, adherence to the intention point of social education, and exertion of leadership as an organic leader. In short, his ideology of social education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social analytical skills, periodic sense of duty, and self-sacrifice and passion in social education activities to social educators in modern society and asks them to have in-depth reflections on the instrumental utilization of education.
      번역하기

      The skepticism and criticism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have been on the rise in spite of its external advent in recent years. 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 to excavate social educators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thou...

      The skepticism and criticism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have been on the rise in spite of its external advent in recent years. 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 to excavate social educators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s, demonstrate the principles of successful practice of soci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 of social educators, and examine their meanings and limitations in modern times. In that context, one of the social educators to be actively excavated and re-illuminated i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is Pai Min-soo, who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that provided agricultural education actively based on love for Korean people and Christian faith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after Liberation and tried to apply the ideas of Grundtvig of Denmark, who had huge influences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education in the world, to the situational contexts of Korea.
      His social education has such ideological foundations and intention points as the implementation of Christian view of the world based on social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of world pacifist ideology, conquest of the limitations of western capitalism, conquest of communism, social education as a tool to build Lord's Country, and adherence to the nationalist spirit. Those findings were used to find that the practice principles of his social education were the practice of social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production of leaders, emphasis on community-based interactions, pursuit of social education with reality and consciousness combined in it, and adherence to the small-sized movement-oriented principles. Based on his educational though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requirements of social educators including the exercise of periodic and social flexibility, adherence to the intention point of social education, and exertion of leadership as an organic leader. In short, his ideology of social education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social analytical skills, periodic sense of duty, and self-sacrifice and passion in social education activities to social educators in modern society and asks them to have in-depth reflections on the instrumental utilization of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민수, "협동"

      2 오혁진, "허병섭의 사회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71-95, 2013

      3 오혁진, "한국 사회교육사의 연구동향 및 성과 검토"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91-221, 2010

      4 배민수, "지도자 양성사업의 첫 결실"

      5 정창화, "일제하 장로교회의 농촌운동(1928-1937) : 농촌부 총무 배민수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2013

      6 金明九, "일제하 장로교 농촌운동 : 배민수의 활동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聯合神學大學院 1998

      7 방기중, "일제하 배민수의 기독교 농촌운동론: 장로교 농촌운동의 정치사상적 접근"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99 : 191-236, 1998

      8 오혁진, "일가(一家) 김용기(金容基)의 지역공동체 평생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33-56, 2008

      9 김병희, "유재기의 예수촌사상과 농촌운동" 계명대학교 2008

      10 김명구, "월남 이상재의 기독교 사회운동과 사상 연구" 연세대학교 2003

      1 배민수, "협동"

      2 오혁진, "허병섭의 사회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71-95, 2013

      3 오혁진, "한국 사회교육사의 연구동향 및 성과 검토"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91-221, 2010

      4 배민수, "지도자 양성사업의 첫 결실"

      5 정창화, "일제하 장로교회의 농촌운동(1928-1937) : 농촌부 총무 배민수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2013

      6 金明九, "일제하 장로교 농촌운동 : 배민수의 활동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聯合神學大學院 1998

      7 방기중, "일제하 배민수의 기독교 농촌운동론: 장로교 농촌운동의 정치사상적 접근"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99 : 191-236, 1998

      8 오혁진, "일가(一家) 김용기(金容基)의 지역공동체 평생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33-56, 2008

      9 김병희, "유재기의 예수촌사상과 농촌운동" 계명대학교 2008

      10 김명구, "월남 이상재의 기독교 사회운동과 사상 연구" 연세대학교 2003

      11 김권정, "월남 이상재의 기독교 민족운동" 숭실사학회 (24) : 5-43, 2010

      12 배민수, "우리가 요구하는 농촌의 지도자"

      13 양흥권,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평생교육의 과제"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03-130, 2012

      14 오혁진, "신 사회교육론" 학지사 2012

      15 기영화,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2009

      16 Bergevin, P., "성인교육철학" 원미사 2006

      17 황해국, "삼애 배민수 목사의 사회적 성숙성 연구 : 심리전기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1

      18 배민수, "복음주의와 기독교농촌운동"

      19 배민수, "복음주의와 기독교농촌운동"

      20 배민수, "복음주의와 기독교농촌운동"

      21 방기중, "복음주의와 기독교 농촌운동 : 배민수목사저작집" 2000

      22 김한원, "배민수의 하나님나라의 사상적 특징" 연세대학교 2003

      23 한규희, "배민수의 식산계부흥사업 참여 배경과 그 영향" 연세대학교 2004

      24 정봉기, "배민수의 생애와 십자가 정신" 연세대학교 2004

      25 주명식, "배민수의 민족의식 형성과 민족운동 변화 연구" 연세대학교 2004

      26 방기중, "배민수의 농촌운동과 기독교사상" 연세대학교출판부 1999

      27 안철암, "배민수의 농촌 교육사상 연구 : N. F. S. Grundtvig의 영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5

      28 김성수, "배민수의 기독교 농촌운동과 사상적 배경" 연세대학교 2003

      29 배민수, "배민수 자서전: 누가 그의 왕국에 들어갈 수 있는가" 연세대학교출판부 1999

      30 백봉기, "배민수 삼애정신의 기독교윤리학적 의미 : 라인홀드 니버의 윤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3

      31 최재건, "배민수 목사의 미국에서의 활동"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51 : 111-138, 2008

      32 이시용, "남강 이승훈의 교육사상" 인천교육대학교 22 (22): 255-272, 1988

      33 최관경, "남강 이승훈의 교육사상" 부산교육대학 26 (26): 247-278, 1990

      34 이상오, "김용기의 생애(生涯)에 대한 생태학적 이해와 오늘날 성인교육에의 시사점:회고록 『나의 한길 60년』의 (텍스트) 해석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55-90, 2010

      35 연규홍, "기독교연합봉사회 50년사(1949-1999)" 기독교연합봉사회 1999

      36 오혁진,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전개과정과 의의"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28, 2008

      37 배민수, "그 나라와 한국농촌"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38 배민수, "그 나라와 한국농촌"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1958

      39 김석완, "교육사상(敎育思想)의 학문적 정체성"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7 (27): 29-51, 2013

      40 안경식, "교육사상 연구방법으로서 사상가 연구에 대하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7 (27): 121-146, 2013

      41 전상진, "교육과 현대사회의 종교 -평생학습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8) : 145-163, 2011

      42 李三悅, "島山 安昌浩의 社會敎育思想과 그 업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74

      43 李明煥, "安昌浩의 敎育思想"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44 이은직, "「그 나라와 한국농촌」에 나타난 배민수의 신학사상과 그 형성배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45 Ohliger, J., "Lifelong learning as nightmare. Challenging the professionalization of adult education" Jossey-Bass 2009

      46 한규무, "1950년대 기독교연합봉사회의 농민학원 설립과 운영"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3) : 109-13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8-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9 1.8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