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아통합어린이집 교사가 경험한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A Study on Difficulties & Support Needs for Implementation Process of Transition Support by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9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취학 전 장애유아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장애유아통합교사들을 대상으로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모색하고자 실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애유아 통합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연구문제와 관련된 5개의 주제와15개의 하위주제 및 관련 내용이 도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장애유아 통합교사가 실행한 전이지원 과정에서 가족의 요구 및 지원 계획 실행, 교육 전반에 대한 실행, 교사 연수의부족, 평가지원 및 추수지도 등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통합교사의 전이지원 실행과정에서의 지원 방안으로는 가족의 요구 및 지원 계획 실행에 대한 질적 향상, 행정ㆍ제도적 개선, 교사 연수 프로그램 내용, 누리교육과정의 연계 방법 등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전이지원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제 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취학 전 장애유아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장애유아통합교사들을 대상으로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모색하고자 실시 하였다. 이를 ...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취학 전 장애유아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장애유아통합교사들을 대상으로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모색하고자 실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애유아 통합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연구문제와 관련된 5개의 주제와15개의 하위주제 및 관련 내용이 도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장애유아 통합교사가 실행한 전이지원 과정에서 가족의 요구 및 지원 계획 실행, 교육 전반에 대한 실행, 교사 연수의부족, 평가지원 및 추수지도 등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통합교사의 전이지원 실행과정에서의 지원 방안으로는 가족의 요구 및 지원 계획 실행에 대한 질적 향상, 행정ㆍ제도적 개선, 교사 연수 프로그램 내용, 누리교육과정의 연계 방법 등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전이지원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제 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forimplementation process of transition support to the elementary schools by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 In the study, 6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it was derived through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s by 5 themes and 15 sub-themes, related major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inimplementation of family needs and support plans, education in general, lack ofteacher training, evaluation support and follow-up on the process of transitionsupports. Second,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presented an opinion onimprovement for implementation of family needs and support plans, administrativeand systematic improvement, cont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linkage betweenthe Nuri curriculum and the 1st grade elementary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has a significance that it was suggested the efficient ways of support forimplementation process of transition support by analysing the current difficul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forimplementation process of transition support to the elementary schools by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 In the study, 6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forimplementation process of transition support to the elementary schools by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 In the study, 6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it was derived through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s by 5 themes and 15 sub-themes, related major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inimplementation of family needs and support plans, education in general, lack ofteacher training, evaluation support and follow-up on the process of transitionsupports. Second,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presented an opinion onimprovement for implementation of family needs and support plans, administrativeand systematic improvement, cont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linkage betweenthe Nuri curriculum and the 1st grade elementary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has a significance that it was suggested the efficient ways of support forimplementation process of transition support by analysing the current difficul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경, "한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모델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43-266, 2004

      2 박승희, "한국 장애 학생 통합 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2003

      3 정애영, "통합교육을 위한 장애유아 전이 서비스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27-53, 2006

      4 전다혜, "초등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03-121, 2009

      5 배연경,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11-139, 2010

      6 정수민, "초등학교 전이프로그램을 통한 특수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부모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371-400, 2009

      7 윤헤정, "초등학교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유ㆍ초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409-437, 2013

      8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9-90, 2010

      9 주용근, "초등장애학생의 중학교로의 전이기 지원에 대한 실태 및 특수학급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오혜정, "청각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환교육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73-196, 2009

      1 김미경, "한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모델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43-266, 2004

      2 박승희, "한국 장애 학생 통합 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2003

      3 정애영, "통합교육을 위한 장애유아 전이 서비스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27-53, 2006

      4 전다혜, "초등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03-121, 2009

      5 배연경,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11-139, 2010

      6 정수민, "초등학교 전이프로그램을 통한 특수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부모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371-400, 2009

      7 윤헤정, "초등학교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유ㆍ초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409-437, 2013

      8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9-90, 2010

      9 주용근, "초등장애학생의 중학교로의 전이기 지원에 대한 실태 및 특수학급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오혜정, "청각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환교육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73-196, 2009

      11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3

      12 정선진,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35-160, 2009

      13 허정연,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학교 선택 시 서울 지역 부모들이 고려한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269-293, 2002

      14 김해선,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65-85, 2010

      15 김정은,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적응기술 척도 개발과 적응기술 중요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7 (7): 53-80, 2012

      16 황순영,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5-139, 2011

      17 한민경,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37-265, 2011

      18 이경원,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19-142, 2011

      19 배성현,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 실행 현황과 중요성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83-109, 2013

      20 문은희,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21 김미라, "장애아동 어머니가 자녀의 초등학교 통합직전 느끼는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201-216, 2006

      22 김화영,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수준 비교"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57-178, 2009

      23 황순영,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에 필요한 주요기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53-69, 2010

      24 백유순, "자연적 환경에서의 장애유아 교육방법" 학지사 2008

      25 김창복, "자녀의 초등학교 전이 및 적응에 대한어머니들의 이야기"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319-350, 2013

      26 홍태영,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 요구되는 장애유아의 적응기술"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27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83-308, 2010

      28 이소현, "유치원 통합교육을 위한『개별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방안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11-135, 2007

      29 교육부, "유치원 어린이집 정보공시 통합 사이트 운영"

      30 이경민,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이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11-337, 2006

      31 정대현,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06-227, 2006

      32 김경숙, "유아기 프로그램에서 실시하는 전이활동과 활동 수행의 방해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3-42, 2003

      33 유순이,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능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4 김미경, "유아 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6 (6): 153-174, 2010

      35 홍수연, "유보통합 정책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6 노진아, "영유아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전이 연구 동향과 방향성: 2000년 이후 국내외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321-341, 2014

      37 안선영, "어린이집 완전통합을 경험한 장애아동 부모가 인식하는 초등 통합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255-285, 2014

      38 Ramey, S. L., "The transition to school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children, families, educators, and communities" 98 (98): 293-295, 1998

      39 Clifford, T.,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Brooks 317-324, 1999

      40 Bohan-Baker, M.,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and Promising Practices to Involve Families" Harvard Family Research Project 2002

      41 Pianta, R. C., "Successful kindergarten transition: your guide to connecting children, families, & schools" Paul Books Pub 2003

      42 Mangione, T. W., "Question characteristics and interviewer effects" 8 (8): 293-307, 1992

      43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44 Fowler, S., "Perspectives on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58 (58): 136-145, 1991

      45 Smith, L. C.,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 outcomes during the transition into kindergarte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05

      46 Hadden, D. S., "Interagency agreement : A proactive tool for improving the transition from early intervention to preschool special education services" 3 (3): 2-7, 2000

      47 Fraenkel, J. R.,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ucation" McGraw-Hill 2003

      48 Rous, B.,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STEPS model on development of community-wide transition system" 22 (22): 38-50, 1999

      49 David, A. Y., "Enhancing transition from early childhood phase to primary education:evidence from the research literature" 22 (22): 51-68, 2002

      50 Bruder, M. B.,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Recommended practices" PRO-ED 1996

      51 Bredekamp, 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7

      52 Clark, G. M., "Comprehensive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llyn & Bacon 2000

      53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 1998

      54 Rimm-Kaufman, S. 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 A theoretical framework to empirical research" 21 (21): 491-511,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