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차(茶), 커피, 와인, 맥주 음료의 스마트폰 앱 기능의 비교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94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차, 커피, 와인, 맥주의 스마트폰 앱들의 종류와 기능을 비교하고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차연관 앱의 실제 사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애플앱스토어에서 검색된 200개의 차, 커피, 와인, 맥주 앱들의 기능을 살펴본 결과 차, 커피, 와인, 맥주 앱들의 기능은 17개 종류로 파악되었다. 차와 커피 앱들의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차와 와인, 차와 맥주 앱들의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차연관 앱들은 오락성 위주의 앱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와인 앱들은 와인에 관한 정보 찾기, 와인의 특성을 기록하는 노트, 주변 상점/카페 찾기 등 유용성 위주의 앱들의 비율이 차, 커피, 맥주에 비하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와 연관된 앱들의 실제 사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커피, 와인, 맥주 앱들의 기능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국내 차연관 앱의 개발을 위하여 제시된 기능을 차연관 앱의 메뉴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차, 커피, 와인, 맥주의 스마트폰 앱들의 종류와 기능을 비교하고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차연관 앱의 실제 사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애플앱스...

      본 연구의 목적은 차, 커피, 와인, 맥주의 스마트폰 앱들의 종류와 기능을 비교하고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차연관 앱의 실제 사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애플앱스토어에서 검색된 200개의 차, 커피, 와인, 맥주 앱들의 기능을 살펴본 결과 차, 커피, 와인, 맥주 앱들의 기능은 17개 종류로 파악되었다. 차와 커피 앱들의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차와 와인, 차와 맥주 앱들의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차연관 앱들은 오락성 위주의 앱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와인 앱들은 와인에 관한 정보 찾기, 와인의 특성을 기록하는 노트, 주변 상점/카페 찾기 등 유용성 위주의 앱들의 비율이 차, 커피, 맥주에 비하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와 연관된 앱들의 실제 사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커피, 와인, 맥주 앱들의 기능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국내 차연관 앱의 개발을 위하여 제시된 기능을 차연관 앱의 메뉴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ypes and capabilities of smartphone apps related to tea, coffee, wine and be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pabilities of 200 tea, coffee, wine and beer apps from Apple App Store, 17 types of capabilities were identified. The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pabilities of tea and coffee ap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pabilities of tea and wine apps, and tea and beer apps (p<0.01). Entertainment-oriented apps take up a higher proportion of tea-related apps while wine apps, provide a higher proportion of consumer usability-oriented apps such as finding information about wine, writing notes about wine characteristics, finding nearby shops/cafes. In order to increase practical use of tea-related apps, this study proposes capabilities of coffee, wine, and beer apps as examples and presents app menu to promote development of tea-related app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ypes and capabilities of smartphone apps related to tea, coffee, wine and be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pabilities of 200 tea, coffee, wine and beer apps from Apple App Store, 17 types of capabiliti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ypes and capabilities of smartphone apps related to tea, coffee, wine and be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pabilities of 200 tea, coffee, wine and beer apps from Apple App Store, 17 types of capabilities were identified. The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pabilities of tea and coffee ap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pabilities of tea and wine apps, and tea and beer apps (p<0.01). Entertainment-oriented apps take up a higher proportion of tea-related apps while wine apps, provide a higher proportion of consumer usability-oriented apps such as finding information about wine, writing notes about wine characteristics, finding nearby shops/cafes. In order to increase practical use of tea-related apps, this study proposes capabilities of coffee, wine, and beer apps as examples and presents app menu to promote development of tea-related ap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방법
      • IV. 연구결과
      • V. 결론과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식품연감, 2012-2013 한국식품연감"

      2 김영걸, "한국 차문화 산업 진흥 자료집"

      3 윤여경, "커피전문점 앱 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45) : 47-56, 2016

      4 이종국, "차를 통한 6차 산업완성" 전라남도국제농업박람회조직위원회 32-39, 2015

      5 박재완, "전문화 수준에 따른 와인 소비자 유형별 시장특성 분석" 동북아관광학회 10 (10): 145-163, 2014

      6 강소라, "와인의 온라인 구매의 주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8 (18): 123-138, 2013

      7 고윤전, "아이폰 초기사용자 동행관찰을 통한 스마트폰 이용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28 (28): 111-120, 2010

      8 이봉규, "신뢰와 인지적 몰입 매개변수가 스마트폰의 사용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17 (17): 471-480, 2010

      9 김보라, "스마트폰의 이용이 문화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대겸, "스마트폰 항공사 애플리케이션의 소비자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2

      1 "한국식품연감, 2012-2013 한국식품연감"

      2 김영걸, "한국 차문화 산업 진흥 자료집"

      3 윤여경, "커피전문점 앱 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45) : 47-56, 2016

      4 이종국, "차를 통한 6차 산업완성" 전라남도국제농업박람회조직위원회 32-39, 2015

      5 박재완, "전문화 수준에 따른 와인 소비자 유형별 시장특성 분석" 동북아관광학회 10 (10): 145-163, 2014

      6 강소라, "와인의 온라인 구매의 주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8 (18): 123-138, 2013

      7 고윤전, "아이폰 초기사용자 동행관찰을 통한 스마트폰 이용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28 (28): 111-120, 2010

      8 이봉규, "신뢰와 인지적 몰입 매개변수가 스마트폰의 사용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17 (17): 471-480, 2010

      9 김보라, "스마트폰의 이용이 문화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3

      10 이대겸, "스마트폰 항공사 애플리케이션의 소비자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2

      11 박인곤,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192-225, 2010

      12 박선하, "스마트폰 오픈마켓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위한 기업 어플리케이션의 사례와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319-327, 2010

      13 최정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용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 모델과 전망"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53-460, 2012

      14 유양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차(茶) 연관 앱 기능과 차 브랜드 앱 콘텐츠 모델" 한국차학회 20 (20): 1-9, 2014

      15 김수연,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엘지씨엔에스 10 (10): 29-39, 2011

      16 이애리, "스마트폰 수용 단계별 앱스토어 이용 성향 비교 분석: 개인 특성과 기술인식 성향 중심으로" 엘지씨엔에스 10 (10): 181-198, 2011

      17 이정우, "사용자 관점에서 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615-627, 2012

      18 백경종, "모바일 여행상품 애플리케이션 특성과 서비스 수용 및 구매의도 - 모바일 앱 공급자와 사용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353-374, 2015

      19 유우승, "맛집 애플리케이션의 지각된 속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20 유양석, "대학생의 녹차 섭취 실태 및 음용 확대를 위한 마케팅홍보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차학회 19 (19): 44-53, 2013

      21 문두경, "국산차 경쟁력 강화 방안" 한국차중앙협의회 20-21, 2015

      22 구중억, "국내 도서관에서 바코드와 RFID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4 (44): 309-331, 2010

      23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04/0200000000AKR20170104080700017.HTML"

      24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do?mId=MTM1"

      25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 =2014120215273195819"

      26 P. Luarn,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Banking" 21 (21): 873-891, 2005

      27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8-329, 1989

      28 Kakihar, "Expanding the 'Mobility' Concept" 22 (22): 33-37, 2001

      29 S. Ha, "Consumer e-shopping acceptance : Antecedents in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62 (62): 565-571, 2009

      30 V. Venkatesh,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46 (46): 186-204, 2000

      31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2015 대한민국 무선인터넷산업 현황"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90-97,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