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도순 수택본(手澤本) 『연행일기(燕行日記)』의 발굴과 의의 = The Discovery of <Yeonhaeng-ilkee(燕行日記)>, which was Hwang Dosoon's Handwritten Possessions, and its Signific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8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eonhang-ilgee (燕行日記)>, which is part of The Oriental Library collection in Japan, is a record that Hwang Dosoon (黃道淳) visited China in 1894. In this paper, several facts have proved that the author of the <Yeonhang-ilgee> is Hwang Dosoon. First, the records in the <Doctor list of the Joseon Dynasty> and <Yeonhang-ilgee> coincide with each other. Second, I found Hwang Dosoon on the list of the <Yeonhangrok (燕行錄)> written by Shim Donyoung and confirmed that one of the characters in his name was mis-spelled. Third, I confirmed that the date and place of the reports in <Yeonhang-ilgee> coincided with the <Suengjeongwon-ilgee (承政院日記)>. Fourth, the name on the ownership stamp in the <Yeonhang-ilgee> has been identified as Hwang Dosoon. The <Yeonhang-ilgee> consists of five parts. They are preface, diary, appendix, list, and itinerary. The records are from August 7, 1849 to October 16, but briefly mentions the contents of the itinerary from July 17 to December 1. This book is a book written by Hwang Dosoon himself kept in his own collection, and is highly valuable because it is the only relic of Hwang Dosoon.
      번역하기

      <Yeonhang-ilgee (燕行日記)>, which is part of The Oriental Library collection in Japan, is a record that Hwang Dosoon (黃道淳) visited China in 1894. In this paper, several facts have proved that the author of the <Yeonhang-ilgee> i...

      <Yeonhang-ilgee (燕行日記)>, which is part of The Oriental Library collection in Japan, is a record that Hwang Dosoon (黃道淳) visited China in 1894. In this paper, several facts have proved that the author of the <Yeonhang-ilgee> is Hwang Dosoon. First, the records in the <Doctor list of the Joseon Dynasty> and <Yeonhang-ilgee> coincide with each other. Second, I found Hwang Dosoon on the list of the <Yeonhangrok (燕行錄)> written by Shim Donyoung and confirmed that one of the characters in his name was mis-spelled. Third, I confirmed that the date and place of the reports in <Yeonhang-ilgee> coincided with the <Suengjeongwon-ilgee (承政院日記)>. Fourth, the name on the ownership stamp in the <Yeonhang-ilgee> has been identified as Hwang Dosoon. The <Yeonhang-ilgee> consists of five parts. They are preface, diary, appendix, list, and itinerary. The records are from August 7, 1849 to October 16, but briefly mentions the contents of the itinerary from July 17 to December 1. This book is a book written by Hwang Dosoon himself kept in his own collection, and is highly valuable because it is the only relic of Hwang Doso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된 《연행일기》는 《방약합편(方藥合編)》의 저자 황도순(黃道淳)이 1894년 중국에 다녀온 기록이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사실로 《연행일기》의 저자가 황도순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첫째, 《조선시대 의생총목록》의 황도순 연보에서 중국에 다녀온 연도와 《연행일기》의 저작 연도가 일치한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심돈영이 쓴 《연행록》의 〈일행총록〉에서 ‘御醫 黃度淳’을 찾았고 이름의 글자가 오기라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연행일기》에서 서계를 올린 날짜와 장소가 《승정원일기》 기록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넷째, 결정적으로 《연행일기》에 찍힌 장서인의 글자가 ‘황도순인(黃道淳印)’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연행일기』는 서문ㆍ연행일기ㆍ부록ㆍ일행목록ㆍ노정기의 5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기의 내용은 1849년 8월 7일부터 10월 16일까지의 기록이지만, 노정기에는 7월 17일부터 12월 1일까지의 내용을 간단하게 기록해 놓았다. 황도순 《연행일기》의 발굴은 그가 직접 수기로 작성한 연행 기록이자 장서(藏書)하고 있던 수택본이라는 점, 또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황도순의 친필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유물이라는 점에서 의사학이나 서지학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다.
      번역하기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된 《연행일기》는 《방약합편(方藥合編)》의 저자 황도순(黃道淳)이 1894년 중국에 다녀온 기록이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사실로 《연행일기》의 저자가 황도순이...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된 《연행일기》는 《방약합편(方藥合編)》의 저자 황도순(黃道淳)이 1894년 중국에 다녀온 기록이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사실로 《연행일기》의 저자가 황도순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첫째, 《조선시대 의생총목록》의 황도순 연보에서 중국에 다녀온 연도와 《연행일기》의 저작 연도가 일치한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심돈영이 쓴 《연행록》의 〈일행총록〉에서 ‘御醫 黃度淳’을 찾았고 이름의 글자가 오기라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연행일기》에서 서계를 올린 날짜와 장소가 《승정원일기》 기록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넷째, 결정적으로 《연행일기》에 찍힌 장서인의 글자가 ‘황도순인(黃道淳印)’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연행일기』는 서문ㆍ연행일기ㆍ부록ㆍ일행목록ㆍ노정기의 5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기의 내용은 1849년 8월 7일부터 10월 16일까지의 기록이지만, 노정기에는 7월 17일부터 12월 1일까지의 내용을 간단하게 기록해 놓았다. 황도순 《연행일기》의 발굴은 그가 직접 수기로 작성한 연행 기록이자 장서(藏書)하고 있던 수택본이라는 점, 또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황도순의 친필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유물이라는 점에서 의사학이나 서지학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재근, "황도연(黃度淵)의 의학과 그의 또 다른 이름 황도순(黃道淳)" 대한한의학원전학회 30 (30): 11-40, 2017

      2 "한국고전번역원/한국고전종합DB 주석"

      3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 총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602-603, 2018

      4 황도연, "의종손익"

      5 黃惠翁, "연행일기"

      6 "연행일기"

      7 이현주, "연행사절 하례(下隷)에 대하여 -朴齊寅의 『연행일기부록(燕行日記附錄)』을 중심으로 -" 우리한문학회 30 (30): 357-396, 2014

      8 후마 스스무, "연행사와 통신사" 신서원 2008

      9 임기중, "연행록총간・연행일기"

      10 정연탁, "연행록(燕行綠) 해제"

      1 오재근, "황도연(黃度淵)의 의학과 그의 또 다른 이름 황도순(黃道淳)" 대한한의학원전학회 30 (30): 11-40, 2017

      2 "한국고전번역원/한국고전종합DB 주석"

      3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 총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602-603, 2018

      4 황도연, "의종손익"

      5 黃惠翁, "연행일기"

      6 "연행일기"

      7 이현주, "연행사절 하례(下隷)에 대하여 -朴齊寅의 『연행일기부록(燕行日記附錄)』을 중심으로 -" 우리한문학회 30 (30): 357-396, 2014

      8 후마 스스무, "연행사와 통신사" 신서원 2008

      9 임기중, "연행록총간・연행일기"

      10 정연탁, "연행록(燕行綠) 해제"

      11 "승정원일기"

      12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 인물실록" 들녘 285-, 2011

      13 서한석, "고전번역서 서지정보・심돈영 연행록"

      14 金正中, "燕行錄"

      15 심돈영, "燕行錄" 만사학술연구원 2005

      16 이진철, "『醫宗損益』을 통해 살펴본 황도연의 의학사상연구" 경희대 2017

      17 BOWEI ZHANG, "‘燕行錄’ 및 관련 문헌의 ‘眞實性’ 문제 初探" 대동문화연구원 (97) : 9-44, 2017

      18 임영길, "19세기 前半 燕行錄의 특성과 朝·淸 文化 交流의 양상" 성균관대학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3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