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된 성과관리모형을 개발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832166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 , 2023. 8
2023
한국어
371.2 판사항(22)
충청북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of Comprehensive Teachers' Training University
viii, 229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도기
참고문헌 : p. 180-186
I804:43012-00000004088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된 성과관리모형을 개발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 연구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된 성과관리모형을 개발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종합교원양성대학의 특성과 이에 기반한 성과는 무엇인가? 둘째,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모형(관점, 핵심성과요인, 핵심성과지표)은 무엇인가? 셋째,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모형(관점, 핵심성과요인, 핵심성과지표)은 타당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대상교인 K대학교의 특성을 기반으로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 및 성과관리의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비전을 확인하고 미션을 수립하였다. 다음으로 네 가지 성과관리 관점을 설정하였으며 관점별 핵심성과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모형 초안을 개발한 후 전문가 검토를 통해 피드백을 받아 모형을 보완하였다. 끝으로 15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의성이 떨어지는 지표를 수정 혹은 제거하여 최종적인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모형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교원양성대학의 특성은 ‘한국 교육의 혁신을 추구하는 선도 모델로서의 대학’, ‘유치원·초등·중등 교사를 통합 양성하는 대학’, ‘교원교육의 종합적 균형 발전을 목표로 하는 대학’, ‘지역을 넘어 전국, 세계의 교육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학’ 등임을 밝혔다. 또한 연구 대상교인 K대학교의 성과관리 조직 및 인프라 확충, 성과관리 지표 설정 및 구체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6대 성과관리 영역은 교육, 연구, 연수, 대학경영(운영·재정·환경), 지역공헌·국제화, 대학원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정립한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의 개념은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인적·재정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확보·관리하고, 조직(원)의 학습과 성장을 도모하여 교육 및 행정 등의 프로세스 혁신에 기반한 지역공헌, 국제화, 학습자 만족도 및 교육 성과를 제고하는 것’이다. 또한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의 개념은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수립한 계획에 따라 수행한 총체적인 행동을 분석하여 대학의 성장을 유도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립하였다. 그리고 종합교원양성대학의 비전은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대한민국 교육의 중심대학’이며, 미션은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인적·재정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확보·관리하고, 조직(원)의 학습과 성장을 도모하여 프로세스 혁신에 기반한 지역공헌, 국제화, 학습자 만족도 및 교육 성과를 제고한다.’이다.
둘째, 종합교원양성대학의 비전과 미션으로부터 ‘자원 확보 및 관리’ ‘조직(원)의 학습과 성장’, ‘업무 프로세스 혁신’, ‘학습자·이해관계자 만족도 제고’의 네 가지 성과관리 관점을 도출하였고 미션과 관점을 연계하는 4개 성과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각 성과관리 관점별로 3~4개씩 총 14개의 핵심성과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핵심성과요인에 대해 3~9개씩 총 82개의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였다.
셋째, 델파이 조사를 통해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모형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여 최종적인 성과관리모형으로 ‘자원 확보 및 관리’, ‘조직(원)의 학습과 성장’, ‘프로세스 혁신’, ‘학습자·이해관계자 만족도 및 성과 제고’의 4개 성과관리 관점과 14개 핵심성과요인, 78개 핵심성과지표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 개념과 미션, 성과목표를 확정된 성과관리 관점과 핵심성과요인, 핵심성과지표에 맞게 조율함으로써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모형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조직의 성과관리는 성과평가에서 더 나아가 거시적인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개발된 성과관리모형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종합교원양성대학의 구성원들은 지속적 학습을 통해 대학의 성과 및 성과관리모형에 대한 이해를 제고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모형의 핵심성과지표는 변화하는 대학의 환경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질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후속 연구 차원에서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영역 중 하나인 ‘연수’, ‘대학원’ 영역을 포함하는 성과관리모형이 추가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모형의 핵심성과지표를 관리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개발된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모형을 실제로 적용해보는 사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공동성, "성과관리", 서울: 대영문화사, 2013
2 이종성,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1
3 성은숙, "전략 BSC 성과혁신", 서울:시그마인사이드, 2009
4 안홍선, "해방 이후 교사양성제도",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55-82, 2016
5 조현연, "대학종합평가와 성과관리", 산업경영연구, 15, 25-46, 2007
6 Wholey, Joseph. S., "The Case for Performance Monitoring", 52(6), 604-610, 1992
7 노재현, 조성우,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9
8 교육부, "2021년도 교원양성기관현황.", 2021년도 교원양성기관현황, 2021
9 신현석, 이윤미, 서정화, 백정하, 김영화, "고등교육의 이해, 이론과 실 제", 서 울: 학지사, 2009
10 김형선, "지방공기업 BSC 성과관리매뉴얼", 지방공기업평가원, 2016
1 공동성, "성과관리", 서울: 대영문화사, 2013
2 이종성,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1
3 성은숙, "전략 BSC 성과혁신", 서울:시그마인사이드, 2009
4 안홍선, "해방 이후 교사양성제도",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55-82, 2016
5 조현연, "대학종합평가와 성과관리", 산업경영연구, 15, 25-46, 2007
6 Wholey, Joseph. S., "The Case for Performance Monitoring", 52(6), 604-610, 1992
7 노재현, 조성우, "사회복지 성과측정 자료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9
8 교육부, "2021년도 교원양성기관현황.", 2021년도 교원양성기관현황, 2021
9 신현석, 이윤미, 서정화, 백정하, 김영화, "고등교육의 이해, 이론과 실 제", 서 울: 학지사, 2009
10 김형선, "지방공기업 BSC 성과관리매뉴얼", 지방공기업평가원, 2016
11 Lawshe ,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4), 563-575, 1975
12 강윤호, 장명희, "대학교 BSC 시스템의 개발과 한계", 사회과학연구, 23(2), 67-93, 2007
13 성태제, 최정윤, 정진철, 이정미,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7-13, 2007
14 교육부, "2021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편람.", 한국교육개발원 2021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편람, 2021
15 주철안, 홍창남, 이종철, 이쌍철, 성병창, 서용희, 김혜진, "학교 조직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525-554, 2012
16 김영준, 라은종, "교육행정부문의 BSC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4(1), 339-357, 2006
17 서윤경, 정영란, 장은정,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형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 디어연구, 14(2), 267-295, 2008
18 김경언, 정재민, 이훈병, 이태희, 이종일, 이영학, 이석열, 오세원, 신재영, 변수연, 김누리, "학생 성공을 위한 대학교육 성과관리", 서울: 학지사, 2020
19 조동섭, "교원양성대학의 기능과 역량강화 방안", 교육행정학연구, 23(2), 399-419, 2005
20 교육부,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계획 확정 발표.", 보도자료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계획 확정 발표, 2018
21 유승혜, "비서학과의 BSC 비재무적 성과지표 분석", 비서사무경영연구, 19(2), 5-27, 2010
22 김수연, 최금진, 임후남, 이강주, 문보은, 남신동, "한국 고등교육 평가체제 개 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7-09, 2017
23 교육부, "2021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21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결과 발표, 2022
24 박수정,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교육의 성찰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구, 16(2), 829-846, 2016
25 노일경, 황지원, 정혜령, 정세윤, "대학발전계획의 성과관리체계 구축 방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연구보고 20-06, 2020
26 김경희, "대학평생교육원의 BSC 성과평가모형 개발", 동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27 김광현, "2010 해외기술인력도입 지원사업 성과분석", 고려대학교 산학협 력단 연구보고서, 2011
28 이만희, 이정규, 이병식, "고등교육기관 체제의 수행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3-08, 2003
29 유광호, 이상철, 이병철, "대학의 균형성과표 도입에 대한 사례연구", 회계저 널, 19(3), 221-256, 2010
30 Solano, J, "Integration of Systemic Quality and the Balanced Scorecard", 20(1), 64-79, 2000
31 심학경, "BSC 모형을 활용한 교육사업의 성과평가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0
32 정영균, "국립대학 행정의 성과관리 도입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7
33 이석환, "공공부문 BSC 의 성공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2(1), 253-272, 2008
34 김수경, 채재은, 서영인, 박경호, "한국 대학의 성과분석 모형 및 지표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3-10, 2013
35 Hammons, J. O., Murry, J. W. Jr., "Delphi: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18(4), 423-436, 1995
36 김논중, 이형석, "대학조직의 성과관리를 위한 계층분석과정의 적용", 한국경 영과학회지, 32(4), 77-88, 2022
37 윤수재, "공공부문의 정책평가 수용도 제고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공공관 리학보, 19(2), 63-89, 2005
38 김병주, 홍후조, 유현숙, 백성준, 김정희,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고등교육 체제 개편방안",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2011
39 김병찬, 이석열, 변수연, 변기용, 배상훈, "전재은 전수빈 잘 가르치는 대학의 특징과 성공요인2", 서울: 학지사, 2017
40 배상훈, 윤수경, "한국대학에서 대학기관연구 도입 관련 쟁점과 시사점", 아 시아교육연구, 17(2), 367-395, 2016
41 이정자, "논리모형을 활용한 국제안전도시사업 성과에 관한 연구", 전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2 변수연, 이석열, 변기용, 배상훈, 김병찬, "・전재은・이미라 잘 가르치는 대학의 특징과 성 공요인", 서울: 학지사, 2015
43 배상훈, "대전환의 시대 대학의 미래를 묻다: 데이터기반 성과관리",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 연수자료집, 2020
44 강기호, 임다미, "일학습병행제 대학연계형 계약학과의 성과관리체계 개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2(1), 145-162, 2020
45 김정택, "대학도서관 성과지표 모형 개발을 위한 상대적 가중치 연구", 충 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6 Bickman, L., "Using program theory in evaluation. New Directions for Program Evaluation Series", no. 33, 1987
47 구성우, "대학기관변인이 재정지원사업에 따라 대학성과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48 Poister, H., "Performance Measurement in Municipal Government: Assessing the State of the Practice", 59(4), 325-335, 1999
49 이은진, 정인호, "대학 교육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성과요인의 인과관계에 관 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27(4), 207-239, 2012
50 박원우, "인사평가의 새로운 방향: CIPP 모델을 중심으로 한 관리지향적 평가", 인사관리연구, 16, 136-146, 1992
51 김도기, 김세영,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 탐색: K대학교를 중심으로", 지방교육경영, 25(3), 1-30, 2022
52 김경희, 서희정, "평생교육기관 성과평가를 위한 균형성과표(BSC)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인간과문화연구, 22, 5-27, 2013
53 임성범, "대학행정직원의 역량제고를 위한 성과관리 시스템과 진단지표개 발", 교육행정학연구, 34(3), 77-105, 2016
54 오세희, 이영찬, "대학행정조직의 성과평가 과정분석을 통한 성과평 가 개선 방안 탐색", 한국조직학회보, 7(2), 157-181, 2010
55 김성중, 심동희, "성과관리시스템 도입에 따른 표준화된 대학경영효율화 정 책에 관한 연구", 회계연구, 24(2), 179-202, 2019
56 길종백, 하정봉, "지역 국립대학 행정조직의 실태와 개선방안: 교직 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3(3), 199-227, 2016
57 서대석, "대학 행정지원부문에서의 BSC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_Y대학 사 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2(1), 185-207, 2002
58 김세영, "대학조직의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성과관리모형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지방교육경영, 25(1), 1-22, 2022
59 김경언, 윤수경, 신종호, 송홍준, 변수연, 배상훈, 방진섭, 박남기, 김우성, "이윤선 이훈병 전재은 조은원 최옥임 한송이 황수정 데이터로 교육의 질 관리 하기", 서울: 학지사, 2018
60 이창길, "한국의 전략적 성과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정부중앙부처 성과평 가제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61 남민우, 이해듬, "대학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성과관리 준거 개발 및 타 당화 연구 PDCA 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연구논총, 41(3), 289-317, 2020
62 서인덕, 이승환, "대학조직에서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 실행이 조 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6(2), 69-90, 2009
63 박상언, 신택현, "MBO식 업적평가체계와 연봉제 설계 방안에 관한 일 연 구: K대학의 직원 연봉제 사례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1(2), 1-31, 1999
64 배재완, 전기우, 윤광재, "우리나라 대학 행정조직의 효율적인 성과관리 제 도 구축방안: 대학 유형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36(2), 51-90, 2012
65 김동주,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경영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균형성과표 (BSC)와 계층분석적(AHP) 접근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