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박경리 소설의 문학적 상상력과 영화적 변용 - 영화 <김약국의 딸들>을 중심으로 = Literary Imagination and Cinematic Transformation of Park Kyung-Lee's Novel in the Movie『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62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riting aims to study how th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when the novelistic achievement in Park Kyung-Lee’s novel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changes into Yoo Hyeon-Mok’s film. Park Kyung-Lee’s novel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is combined ‘family story’ with ‘Korean modern history’, and this novel shows the lives of the characters with the big picture in the history. This novel takes the chaos during the last period era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s the history, and brings the story of the characters, who accept the changes of their lives, to the fore. In spite of the fact that Park Kyung-Lee’s novel is based on ‘popularity’, this is the reason that her novel is highly acclaimed for its literary value. But such achievement of this novel changes in the many different points when it comes to the movie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First of all, the movie removes panoptic history, which is presented on the novel, and tells the family story narratively. The film shows the general worl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historic space and time and the individuals living in the time lapse. By doing this way, the movie creates a localized new space as a fantasy of the public.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localized space what the movie intended. Yong-Bin, who is symbolized as a modern subject, accepts old-fashioned local features and harmonizes with it, and gets new identity to realize humanism. While the movie has its popularity and cinematic quality through such dramatic turn, at the same time the movie stands for the art cinema.
      번역하기

      This writing aims to study how th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when the novelistic achievement in Park Kyung-Lee’s novel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changes into Yoo Hyeon-Mok’s film. Park Kyung-Lee’s novel <the Daughters of Ki...

      This writing aims to study how th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when the novelistic achievement in Park Kyung-Lee’s novel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changes into Yoo Hyeon-Mok’s film. Park Kyung-Lee’s novel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is combined ‘family story’ with ‘Korean modern history’, and this novel shows the lives of the characters with the big picture in the history. This novel takes the chaos during the last period era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s the history, and brings the story of the characters, who accept the changes of their lives, to the fore. In spite of the fact that Park Kyung-Lee’s novel is based on ‘popularity’, this is the reason that her novel is highly acclaimed for its literary value. But such achievement of this novel changes in the many different points when it comes to the movie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First of all, the movie removes panoptic history, which is presented on the novel, and tells the family story narratively. The film shows the general worl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historic space and time and the individuals living in the time lapse. By doing this way, the movie creates a localized new space as a fantasy of the public.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localized space what the movie intended. Yong-Bin, who is symbolized as a modern subject, accepts old-fashioned local features and harmonizes with it, and gets new identity to realize humanism. While the movie has its popularity and cinematic quality through such dramatic turn, at the same time the movie stands for the art cinem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박경리의 소설 『김약국의 딸들』이 보여 주는 소설적 성취가 유현목 감독의 영화 <김약국의 딸들>로 변용되었을 때 어떠한 특성을 드러내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경리의 소설 『김약국의 딸들』은 ‘가족사’를 ‘역사성’과 결합시켜 역사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삶을 거시적인 차원에서 조망하는 특징을 보인다.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의 파란만장한 역사적 시간의 흐름을 승인하고 그것에 따라서 삶의 변화를 수용하는 인물들의 가족사로 표면화된다. 박경리 소설이 ‘대중성’에 기반하여 작품성을 획득하는 것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박경리 소설의 성취는 영화 <김약국의 딸들>에 오면 여러 부분에서 바뀐다. 우선, 영화는 소설에 제시된 파노라마적 역사성을 소거하고 ‘가족사’에 초점을 맞춰 내러티브를 전개한다. 역사적 시공간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현실적 개인을 사건의 중심에 놓기보다는 역사와 유리된 특별하지만 보편적인 시공간을 연출함으로써 영화는 대중의 판타지로서 새롭게 토속적 공간을 창출하게 된다. 이는 영화가 지향하고자 한 토속적 로컬리티의 세계 구현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근대적 주체인 용빈은 전근대적 향토성과 결합하고 협력함으로써 휴머니즘을 실현하는 새로운 주체성을 획득한다. 영화는 이러한 극적 전환을 통해 대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품성을 획득하면서 문예영화로서 자리매김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박경리의 소설 『김약국의 딸들』이 보여 주는 소설적 성취가 유현목 감독의 영화 <김약국의 딸들>로 변용되었을 때 어떠한 특성을 드러내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경...

      이 글은 박경리의 소설 『김약국의 딸들』이 보여 주는 소설적 성취가 유현목 감독의 영화 <김약국의 딸들>로 변용되었을 때 어떠한 특성을 드러내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경리의 소설 『김약국의 딸들』은 ‘가족사’를 ‘역사성’과 결합시켜 역사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삶을 거시적인 차원에서 조망하는 특징을 보인다.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의 파란만장한 역사적 시간의 흐름을 승인하고 그것에 따라서 삶의 변화를 수용하는 인물들의 가족사로 표면화된다. 박경리 소설이 ‘대중성’에 기반하여 작품성을 획득하는 것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박경리 소설의 성취는 영화 <김약국의 딸들>에 오면 여러 부분에서 바뀐다. 우선, 영화는 소설에 제시된 파노라마적 역사성을 소거하고 ‘가족사’에 초점을 맞춰 내러티브를 전개한다. 역사적 시공간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현실적 개인을 사건의 중심에 놓기보다는 역사와 유리된 특별하지만 보편적인 시공간을 연출함으로써 영화는 대중의 판타지로서 새롭게 토속적 공간을 창출하게 된다. 이는 영화가 지향하고자 한 토속적 로컬리티의 세계 구현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근대적 주체인 용빈은 전근대적 향토성과 결합하고 협력함으로써 휴머니즘을 실현하는 새로운 주체성을 획득한다. 영화는 이러한 극적 전환을 통해 대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품성을 획득하면서 문예영화로서 자리매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신문, "「「중계차」」"

      2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47-, 2014

      3 동아일보, "햇볕 보게 되려나? 상영 보류 2년 3개월의 「오발탄」"

      4 한국일보, "지평선"

      5 오혜진, "전근대와 근대의 교차적 여성상에 관해 -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시장과 전장』『토지』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7 (47): 323-352, 2009

      6 서미진, "유현목, 김수용 문예영화의 내레이션(Narration) 연구 : 플롯과 스타일 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3

      7 김은경, "소설 『김약국의 딸들』과 영화 『김약국의 딸들』의 비교 고찰" 한국비교문학회 (48) : 157-182, 2009

      8 김영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36 (36): 163-178, 2007

      9 장미영, "박경리 1960․70년대 장편소설 연구 -가족관계의 갈등과 화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6) : 273-298, 2011

      10 박영준, "문학작품과 영화와"

      1 서울신문, "「「중계차」」"

      2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47-, 2014

      3 동아일보, "햇볕 보게 되려나? 상영 보류 2년 3개월의 「오발탄」"

      4 한국일보, "지평선"

      5 오혜진, "전근대와 근대의 교차적 여성상에 관해 -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시장과 전장』『토지』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7 (47): 323-352, 2009

      6 서미진, "유현목, 김수용 문예영화의 내레이션(Narration) 연구 : 플롯과 스타일 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3

      7 김은경, "소설 『김약국의 딸들』과 영화 『김약국의 딸들』의 비교 고찰" 한국비교문학회 (48) : 157-182, 2009

      8 김영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36 (36): 163-178, 2007

      9 장미영, "박경리 1960․70년대 장편소설 연구 -가족관계의 갈등과 화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6) : 273-298, 2011

      10 박영준, "문학작품과 영화와"

      11 권명아, "문예영화와공유기억(commemoration) 만들기―한국전쟁의 경험과 역사의 재구성" 한국문학연구소 11 (11): 123-148, 2003

      12 박유희, "문예영화와 검열 : 유현목 영화의 정체성 구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영상예술학회 (17) : 173-212, 2010

      13 존 머서․마틴 싱글러, "멜로드라마" 커뮤니케이션북스 146-147, 2011

      14 대중서사장르연구회, "대중서사의 모든 것" 이론과실천 13-, 2007

      15 박경리, "김약국의 딸들" 나남출판 13-133, 2000

      16 유현목, "김약국의 딸들"

      17 조선일보, "【영화평】신선한 영상 「김약국의 딸들」"

      18 조선일보, "【연예】새해부터 문예작품 제작 「붐」"

      19 조선일보, "【연예】견실해지는 영화 제작"

      20 서울신문, "【새영화】때를 벗은 화면과 연기진 유현목 감독 「김약국의 딸들」" 1963

      21 한영현, "1960년대 초 혁명과 역사적 전환기 사회적 실존의 문제 - 한국 영화에 재현된 서민의 애환과 세대의 가치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8 (8): 223-254, 2012

      22 이유란, "1960년대 유현목 작품에 나타난 현실인식 연구" 중앙대 2005

      23 한국일보, "1960년 영화 회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