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동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8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탈북여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학술정보원(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탈북여성’, ‘새터민 여성’, ‘북한이탈 여성’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나온 양적실증연구논문 최종 36편을 동향분석을 했다. 동향분석은 연구의 출처 및 연도별, 연구방법별, 그리고 연구대상별 일반적 특성의 분석과 더불어 연구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여성 관련 논문의 출처를 분석한 결과, 탈북여성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한국심리학회지: 여성”이었다. 둘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1편에 불과하였던 탈북여성 연구는 그 이후 2010년(8편, 22.2%)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설문 조사(24편, 66.67%), 2차자료분석(7편, 19.44%), 개입 평가연구(3편, 8.33%), 구조화된 면접 조사(2편, 5.56%)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된 양적 자료분석 방법 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계적 분석방법(34편, 94.44%)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내용 분석을 통해, 탈북여성 관련 연구에서 중점이 되는 특정 주제를 범주화한 결과, 가장 많이 다루어진 주제는 탈북여성의 정신건강 및 심리(17편, 47.22%), 탈북여성의 사회적응(5편, 13.89%), 탈북여성의 취업 및 진로(4편, 11.11%), 탈북여성의 건강(4편, 11.11%), 탈북여성의 성(3편, 8.33%), 탈북여성의 실태(3편, 8.3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탈북여성 관련 연구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탈북여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학술정보원(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탈북여성’, ‘새터...

      본 연구는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탈북여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학술정보원(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탈북여성’, ‘새터민 여성’, ‘북한이탈 여성’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나온 양적실증연구논문 최종 36편을 동향분석을 했다. 동향분석은 연구의 출처 및 연도별, 연구방법별, 그리고 연구대상별 일반적 특성의 분석과 더불어 연구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여성 관련 논문의 출처를 분석한 결과, 탈북여성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한국심리학회지: 여성”이었다. 둘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1편에 불과하였던 탈북여성 연구는 그 이후 2010년(8편, 22.2%)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설문 조사(24편, 66.67%), 2차자료분석(7편, 19.44%), 개입 평가연구(3편, 8.33%), 구조화된 면접 조사(2편, 5.56%)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된 양적 자료분석 방법 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계적 분석방법(34편, 94.44%)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내용 분석을 통해, 탈북여성 관련 연구에서 중점이 되는 특정 주제를 범주화한 결과, 가장 많이 다루어진 주제는 탈북여성의 정신건강 및 심리(17편, 47.22%), 탈북여성의 사회적응(5편, 13.89%), 탈북여성의 취업 및 진로(4편, 11.11%), 탈북여성의 건강(4편, 11.11%), 탈북여성의 성(3편, 8.33%), 탈북여성의 실태(3편, 8.3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탈북여성 관련 연구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order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women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ugust 2017,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Nuri Media (DBpia)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academic peer reviewed journal articles with the following keywords: “North Korean femal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n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rend analysis included a content analysis of the study finding section, along with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ch as published journals, year of publication, study methodologies, and subject of the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was the journal with the most studies on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t research trends by year, there was only one study on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4, and the number started to increase in 2010(8 articles, 22.22%).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by research methods, survey method was most frequently used. Fourth, statistical analysis was most often utilized analysis methodology(34 studies, 94.44%). Fifth, in the content analysis,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mental health and emotional issues(17 studies, 47.22%) were the most often the focus of studies being analyzed, followed by social adjustment issues((5 studies, 13.89%). Based on these result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order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women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ugust 2017, the Korean studies 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order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women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ugust 2017,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Nuri Media (DBpia)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academic peer reviewed journal articles with the following keywords: “North Korean femal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n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rend analysis included a content analysis of the study finding section, along with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ch as published journals, year of publication, study methodologies, and subject of the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was the journal with the most studies on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t research trends by year, there was only one study on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4, and the number started to increase in 2010(8 articles, 22.22%).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by research methods, survey method was most frequently used. Fourth, statistical analysis was most often utilized analysis methodology(34 studies, 94.44%). Fifth, in the content analysis,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mental health and emotional issues(17 studies, 47.22%) were the most often the focus of studies being analyzed, followed by social adjustment issues((5 studies, 13.89%). Based on these result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선,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7-194, 2011

      2 강숙정, "하나원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이 여성탈북민의 정서,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1 (11): 137-149, 2016

      3 이기영, "탈북자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47 (47): 243-271, 2001

      4 전연숙, "탈북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남한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409-425, 2009

      5 강혜영, "탈북여성의 진로장벽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한국상담학회 11 (11): 1483-1500, 2010

      6 전연숙, "탈북여성의 진로장벽 지각: 연령별, 학력별, 남한거주기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469-487, 2010

      7 김재엽,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33-56, 2013

      8 김재엽, "탈북여성의 유흥업소 및 성매매 유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1 (21): 76-112, 2013

      9 김재엽, "탈북여성의 아동학대 피해 및 가해에 관한 연구: 배우자 폭력의 가중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2) : 375-399, 2016

      10 김재엽, "탈북여성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6) : 85-107, 2014

      1 이영선,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7-194, 2011

      2 강숙정, "하나원 인간관계셀프파워 프로그램이 여성탈북민의 정서, 사회적지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1 (11): 137-149, 2016

      3 이기영, "탈북자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47 (47): 243-271, 2001

      4 전연숙, "탈북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남한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409-425, 2009

      5 강혜영, "탈북여성의 진로장벽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한국상담학회 11 (11): 1483-1500, 2010

      6 전연숙, "탈북여성의 진로장벽 지각: 연령별, 학력별, 남한거주기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469-487, 2010

      7 김재엽,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33-56, 2013

      8 김재엽, "탈북여성의 유흥업소 및 성매매 유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1 (21): 76-112, 2013

      9 김재엽, "탈북여성의 아동학대 피해 및 가해에 관한 연구: 배우자 폭력의 가중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2) : 375-399, 2016

      10 김재엽, "탈북여성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6) : 85-107, 2014

      11 박신순, "탈북여성의 가족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12 문가을, "탈북여성 및 결혼이주여성 건강 실태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 19 (19): 103-109, 2015

      13 박정란, "탈북여성 결혼의 젠더구조와 문화적응 고찰: 정체성·경제·건강수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5 (35): 39-63, 2011

      14 정유진, "탈북에서 입국까지의 기간 및 북송경험이 탈북 여성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22 (22): 47-67, 2017

      15 박미석, "탈북가족의 남한사회 적응 시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방안" 17 : 3-73, 1999

      16 최빛내,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195-212, 2011

      17 김희경,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155-173, 2010

      18 김희경,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유형과 성격 특성에 따른 방어기제 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311-329, 2010

      19 김희경,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 29 (29): 1-20, 2010

      20 김희경, "탈북 여성에서 MMPI-2의 진단적 유용성: 정신과 내원군과 정상 대조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29 (29): 335-353, 2010

      21 김희경,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17 (17): 535-558, 2012

      22 조영아, "초기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고위험군 예측요인"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509-527, 2010

      23 이민지,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21 (21): 459-481, 2016

      24 길태영, "죽음준비교육 관련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267-301, 2017

      25 강차연, "재중 탈북여성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61-80, 2005

      26 장혜경, "이탈주민 가족의 가족 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2001

      27 장혜경, "이탈주민 가족의 가족 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2001

      28 이금순,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북한이탈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45 (45): 191-234, 2006

      29 손영미, "여성 새터민의 성격유형에 따른 심리적응"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 (20): 19-44, 2014

      30 손상희,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연구" 한국소비자원 45 (45): 329-357, 2014

      31 정진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교육훈련과 취업" 통일연구원 22 (22): 267-296, 2013

      32 서성혁, "새터민 여성의 건강관련 체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10 (10): 311-321, 2015

      33 전연숙,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실태 분석 : 여성을 중심으로" 11 : 5-32, 2012

      34 김승현,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8 (18): 533-548, 2013

      35 안연진,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가족문화특성에 관한 질적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36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업무매뉴얼"

      37 이순배,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인권과 한국 사회적응 수준에 관한 연구" 3 (3): 21-43, 2012

      38 이영선,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0 (30): 55-69, 2013

      39 김엘리, "북한이탈여성주민 생활실태 조사결과 보고서"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병설 한국여성평화 연구원 1999

      40 이인숙,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73-284, 2015

      41 한인영, "북한이탈여성의 성지식 실태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87-102, 2010

      42 김태현,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체험 분석" 대한가정학회 41 (41): 1-17, 2003

      43 조화성, "북한이탈 여성주민의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성원권의 시각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5) : 91-112, 2011

      44 김현경, "북한이탈 여성의 월경규칙성에 따른 외상경험 차이" 한국모자보건학회 20 (20): 43-53, 2016

      45 조하나,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 및 죄책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1327-1345, 2013

      46 이새롬, "북한 이탈 여성의 남한 사회 조기 정학 방안" 2003

      47 문숙재, "북한 여성들의 탈북동기와 생활실태-중국 연변지역의 탈북 여성들을 중심으로-" 38 (38): 137-152, 2000

      48 안선영, "단일 3차 의료기관에 내원한 탈북자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대한내과학회 89 (89): 54-63, 2015

      49 신미녀,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상호인식 –한국사회정착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5 (5): 119-143, 2009

      50 이경현, "국내 장애아 상담연구동향 분석 : 2002-2012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31-52, 2013

      51 송미영, "결혼이주여성과 북한이탈여성의 멤버십(Membership)에 관한 비교연구 -충남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217-247, 2012

      52 "http://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st atistics/"

      53 A. Rubin,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Wadsworth 2001

      54 J. W. Creswell,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SAGE Publishing 2011

      55 송미영, "2010년 제 2기 충청남도 지역사회복지계획"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10

      56 김영주, "2009년도 충남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분석"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