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적응, 자기통제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Self-control on Self-deircted Learning ability of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60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자기통제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를 알아 보고, 학교적응, 자기통제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 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중학교 197명과 고등학교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 으며, 무성의한 응답지 34부를 제외한 총 356(중학생 185명, 고등학생 171명)부를 가 지고 SPSS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자기 통제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에서는 즉각적인 만족과 창의성을 제외하고 는 모든 하위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 도적 학습능력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는 학교생활적응, 학교수업적응, 장 기적인 만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주요변수가 학교생활적응에 있었기 때문에 학교적응의 하위변수인 학교 생활적응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자기통제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를 알아 보고, 학교적응, 자기통제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 적이 있다. 연구대상...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자기통제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를 알아 보고, 학교적응, 자기통제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 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중학교 197명과 고등학교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 으며, 무성의한 응답지 34부를 제외한 총 356(중학생 185명, 고등학생 171명)부를 가 지고 SPSS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자기 통제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에서는 즉각적인 만족과 창의성을 제외하고 는 모든 하위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 도적 학습능력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는 학교생활적응, 학교수업적응, 장 기적인 만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주요변수가 학교생활적응에 있었기 때문에 학교적응의 하위변수인 학교 생활적응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and the self-contro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olesc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56 adolescents composed of 185 middle school students, 171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rovince. As the result of study,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self-contro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Also the better relations with long-term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school lesson adjustment the higher the degree of teenag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of in-dept studie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t were sub-variables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because major variables were in the school life adjustment to anticipate adolesc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and the self-contro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olesc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56 adolescents composed of 185 middle school students, 171 high s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and the self-contro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olesc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56 adolescents composed of 185 middle school students, 171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rovince. As the result of study,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self-contro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Also the better relations with long-term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school lesson adjustment the higher the degree of teenag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of in-dept studie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t were sub-variables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because major variables were in the school life adjustment to anticipate adolesc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Ⅲ.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Ⅲ.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선화, "학업적 자아개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의 예측력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박형진, "학업성취의 영향 요인 분석" 28 (28): 49-66, 2007

      3 김용래, "학업성적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3

      4 허남진, "학습자 변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예측력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5 김현의, "학령기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관련변인들 간의 인과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6 김용래,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 분석" 17 : 3-37, 2000

      7 임지현,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19 (19): 163-181, 2007

      8 변영계,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기술 측정도구와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14 (14): 103-125, 2000

      9 현정숙,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10 박지현,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107-126, 2010

      1 임선화, "학업적 자아개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의 예측력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박형진, "학업성취의 영향 요인 분석" 28 (28): 49-66, 2007

      3 김용래, "학업성적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3

      4 허남진, "학습자 변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예측력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5 김현의, "학령기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관련변인들 간의 인과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6 김용래,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 분석" 17 : 3-37, 2000

      7 임지현,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19 (19): 163-181, 2007

      8 변영계,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기술 측정도구와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14 (14): 103-125, 2000

      9 현정숙,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10 박지현,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107-126, 2010

      11 변연진, "정서표현갈등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5

      12 김옥진,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및 진로성숙도 향상을 통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효과 및 개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3 이순규, "자기조절 학습훈련이 아동의 자주적 학습태도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14 김민수, "자기결정성 및 부모의 학습지원 행동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15 이재신, "영재들의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소 57 (57): 89-114, 2009

      16 김지자,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력과의 관계" 12 (12): 177-209, 2000

      17 최창석, "수치심, 죄책감의 이질성: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동기,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18 권두승, "성인학습 및 상담" 교육과학사 2001

      19 권대순,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0 김일태,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75-96, 2004

      21 박정미, "부모양육태도, 자기통제력, 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이미경,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99-407, 2004

      23 한상훈, "고등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과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473-488, 2006

      24 최경지, "고등학색의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5 남현미,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26 Smith, C. B, "The self-directed learner" ED 440-394, 2000

      27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56 : 34-43, 2000

      28 Spencer, M. B,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fy-focused cultural ecological perspective" 34 : 43-57, 1999

      29 Zimmerman, B. J, "Self-efficacy: An essential motive to learn" 25 (25): 82-91, 2000

      30 Candy, P. C,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Jossey-Bass 1991

      31 Brookfield, S. D,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New direction for continuing education)" Joosey-Bass 87-90, 1985

      32 Kendal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rating scale" 47 : 1020-1029, 1979

      33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Flooett Pub. co 1975

      34 Long, H. B, "Philosoph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s for Study Self-Directions on Learning in Huey B. Long and Associate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9-24, 1992

      35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50, 1990

      36 Guglielmino, L. M,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Georgia 1977

      37 Zimmerman, B. J,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89 : 284-290, 1988

      38 Levesque, C, "Autonomy and competence in Germ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96 (96): 68-84, 2004

      39 Goldiamond, I, "A diary of self-modification" 95-102, 197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