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지도 및 오개념 형성 원인 분석 = Patterns and Factors of the Misconception on 'Insect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39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 생명영역의 ‘곤충’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지도와 오개념 형성원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곤충’과 관련된 단원에서 개념을 추출하여 검사 도구로 이용하였으며, 설문 조사는 초등학교 5~6학년 4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 조사 결과 18개 문항 중6개 문항에서 40% 이상의 높은 오답율을 보였다. 이러한 곤충의 오개념에 대한 형성 요인으로는 내적 요인 중 미숙한 인지발달, 성급한 일반화, 잘못된 유추 과정, 직관적 사고 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외적 요인으로는 자연현상에 대한 경험이나 문화적 경험의 부족, 언어의 모호성, 교과서 등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별 간 개념의 인지도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오답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 까닭은 대다수의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곤충을 징그러워하거나 무서워하는 경향이 높아 그와 관련된 개념 습득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학생과 농촌학생 간의 답변 빈도에 있어서는 5개의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곤충에 대한 지식을 도시학생들은 주로 서적, 농촌학생들은 주로 생활 주변의 경험을 통해서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의 우리 생활이 서구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진 만큼 도시나 인터넷 문화에 적응되면서 자연환경에서의 학습이 과거보다 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곤충’에 대한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현장학습을 통하여 실제의 관찰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보며,교실에서도 올바른 과학적 개념 정립을 위하여 구성주의나 개념변화 학습모형 등을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적절한 갈등유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 생명영역의 ‘곤충’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지도와 오개념 형성원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곤충’과 관련된 단원에서 개념을 추출하여 검사 도구로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 생명영역의 ‘곤충’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지도와 오개념 형성원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곤충’과 관련된 단원에서 개념을 추출하여 검사 도구로 이용하였으며, 설문 조사는 초등학교 5~6학년 4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 조사 결과 18개 문항 중6개 문항에서 40% 이상의 높은 오답율을 보였다. 이러한 곤충의 오개념에 대한 형성 요인으로는 내적 요인 중 미숙한 인지발달, 성급한 일반화, 잘못된 유추 과정, 직관적 사고 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외적 요인으로는 자연현상에 대한 경험이나 문화적 경험의 부족, 언어의 모호성, 교과서 등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별 간 개념의 인지도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오답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 까닭은 대다수의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곤충을 징그러워하거나 무서워하는 경향이 높아 그와 관련된 개념 습득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학생과 농촌학생 간의 답변 빈도에 있어서는 5개의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곤충에 대한 지식을 도시학생들은 주로 서적, 농촌학생들은 주로 생활 주변의 경험을 통해서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의 우리 생활이 서구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진 만큼 도시나 인터넷 문화에 적응되면서 자연환경에서의 학습이 과거보다 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곤충’에 대한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현장학습을 통하여 실제의 관찰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보며,교실에서도 올바른 과학적 개념 정립을 위하여 구성주의나 개념변화 학습모형 등을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적절한 갈등유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and the reasons on 'ins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400 average students of urban and rural in Jeju province. A questionnaire was made of 18 test questions for examination of concepts in 'insects'.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gnitive proportion on 'insects' was low, especially in 6 questions. The reasons of the misconceptions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an immature cognitive factors, a misapprehension of consciousness, hasty decision and deduction, the wrong analogical inference, mass communications (TV or internet), experimental difference in nature and culture, vagueness of the language, and textbook.
      On the other hand,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6 questions. As th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difference of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female students are due to dislike and creepy on 'insects' compared to male students. Another possibility is that these differences can be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of experiment in nature on 'insects'. In comparison of concepts between rural and urban students, there were similar to each other.
      To correct the misconceptions on 'insects', therefore, it needs to do inquiry activities, explanation of various examples,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small groups, induction of complications for conceptual change learning, and so on. Data from this study may help teachers carrying out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o reconsider their conceptions on 'insect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and the reasons on 'ins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400 average students of urban and rural in Jeju province. A questionnaire w...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and the reasons on 'ins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400 average students of urban and rural in Jeju province. A questionnaire was made of 18 test questions for examination of concepts in 'insects'.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gnitive proportion on 'insects' was low, especially in 6 questions. The reasons of the misconceptions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an immature cognitive factors, a misapprehension of consciousness, hasty decision and deduction, the wrong analogical inference, mass communications (TV or internet), experimental difference in nature and culture, vagueness of the language, and textbook.
      On the other hand,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6 questions. As th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difference of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female students are due to dislike and creepy on 'insects' compared to male students. Another possibility is that these differences can be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of experiment in nature on 'insects'. In comparison of concepts between rural and urban students, there were similar to each other.
      To correct the misconceptions on 'insects', therefore, it needs to do inquiry activities, explanation of various examples, discussion activities through small groups, induction of complications for conceptual change learning, and so on. Data from this study may help teachers carrying out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o reconsider their conceptions on 'ins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Ι.서론
      • Ⅱ.이론적 배경
      • 1.오개념에 대한 이론적 기저
      • 2.오개념 형성의 원인
      • 3.선행연구
      • Ι.서론
      • Ⅱ.이론적 배경
      • 1.오개념에 대한 이론적 기저
      • 2.오개념 형성의 원인
      • 3.선행연구
      • Ⅲ.연구방법
      • 1.표집 대상
      • 2.검사 도구의 개발
      • 3.설문 조사 및 통계 분석
      • Ⅳ.결과 및 고찰
      • 1.곤충에 대한 개념 정도
      • 2.남․여학생 사이의 개념 정도 비교
      • 3.도․농 학생 사이의 개념 정도 비교
      • Ⅴ.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완호, "한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20 : 147-151, 1992

      2 황영록, "초등학생의 생물학적 오개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02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과학 3-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

      4 장명덕, "초등학교 교사들의 세포에 관한 개념" 대구교육대학교 1999

      5 교육부, "초등학교 과학 3-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

      6 김영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생태계와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1996

      7 손석락, "초등예비교사들의 곤충의 탈피와 변태에 관한 개념" 24 (24): 130-137, 2005

      8 김세욱,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작은 생물’에 대한 오개념 연구" 25 (25): 485-494, 2007

      9 홍승호, "초등과학 생명영역의 생식 및 유전분야에 대한 오개념 분석" 22 (22): 288-296, 2003

      10 안 혁,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주변의 생물’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들의 준비도와 실행 실태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2004

      1 정완호, "한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20 : 147-151, 1992

      2 황영록, "초등학생의 생물학적 오개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02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과학 3-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

      4 장명덕, "초등학교 교사들의 세포에 관한 개념" 대구교육대학교 1999

      5 교육부, "초등학교 과학 3-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

      6 김영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생태계와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1996

      7 손석락, "초등예비교사들의 곤충의 탈피와 변태에 관한 개념" 24 (24): 130-137, 2005

      8 김세욱,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작은 생물’에 대한 오개념 연구" 25 (25): 485-494, 2007

      9 홍승호, "초등과학 생명영역의 생식 및 유전분야에 대한 오개념 분석" 22 (22): 288-296, 2003

      10 안 혁,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주변의 생물’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들의 준비도와 실행 실태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2004

      11 정완호,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15 (15): 6-16, 1995

      12 차희영,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물 분류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1

      13 홍승호, "예비초등교사들의 유전에 관한 개념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351-359, 2005

      14 김재헌,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1997

      15 유원일, "생장에 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1992

      16 고재홍, "국민학교 학생들의 생명 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1996

      17 박영효, "구성주의 학습모형 적용을 통한 오개념 교정에 관한 연구" 25 (25): 231-243, 2006

      18 조정일, "광합성에 관한 5,8학년 학생들의 오개념 조사" 9 (9): 101-111, 1989

      19 이미숙, "과학사적 진화개념 발달 단계에 기초한 초등학생들의 진화 개념분석" 24 (24): 145-159, 2005

      20 권재술,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8

      21 손병기, "곤충의 구조와 한살이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대구교육대학교 2003

      22 Hashweh, M. Z., "Toward a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8 (8): 229-249, 1986

      23 Ausubel, D. P., "Educational psychology : a cognitive view (2nd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78

      24 Piaget, J.,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Development and learning" 2 : 176-186,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