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addresses an issue of how discourses on superstition in Korea, such as ‘Umsaron (Discourse on Licentious Ritual)’ during the Choson dynasty and ‘Misinron (Discourse on Superstition)’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were construct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ddresses an issue of how discourses on superstition in Korea, such as ‘Umsaron (Discourse on Licentious Ritual)’ during the Choson dynasty and ‘Misinron (Discourse on Superstition)’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were constructe...
This article addresses an issue of how discourses on superstition in Korea, such as ‘Umsaron (Discourse on Licentious Ritual)’ during the Choson dynasty and ‘Misinron (Discourse on Superstition)’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were constructed. Although these two discourses were formed and utilized in different contexts, they could be treated under the rubric of ‘discourses on superstition’ in the sense that they served as the ‘alterity’ for implanting and enforcing new dominant sensibilities of their contemporary socie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lteration-process of shamanism during the Choson dynasty, I characterize shamanic world view with a concept of ‘patronal universe’, and compare it with the Confucian ideology, ‘optimal universe’. Under the rubric of ‘Misinron’, I explain how separating ‘the supernatural’ from the physical world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alteration. An analysis of the alteration-process of specific beliefs and practices, in particular Korean shamanism in this article, demands an explanation about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an agent classifying something an other and the classified as such.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might be evaluated as a preliminary work for further research on this relationship because it focuses only on the classifying process.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시대의 ‘음사론’과 근대의 ‘미신론’을 포괄하는 한국의 미신담론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음사’와 ‘미신’이라는 개념은 서로 다른 지성사적 패러다임에...
이 글은 조선시대의 ‘음사론’과 근대의 ‘미신론’을 포괄하는 한국의 미신담론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음사’와 ‘미신’이라는 개념은 서로 다른 지성사적 패러다임에서 사용되었으며, 그 개념의 개별적인 의미와 그 개념을 통한 범주화를 가능케 한 세계관이 서로 상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신담론’이라는 하나의 범주로 다룰 수 있는 이유는 두 개념 모두 당대의 지배적인 세계관 혹은 감수성(sensibility)이 형성되고 심화되는 과정에서 타자(他者)로 기능했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미신담론의 형성과 작용과정에서 특정한 믿음과 실천들, 특히 무속을 ‘미신’으로 타자화시키는 과정에 대한 분석은 타자(alterity)로서 미신이 창조된 과정을 설명하는 것 이외에도, 무속을 미신으로 타자화시킨 지배적인 담론의 유통과정을 명확히 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필자는 음사론 내에서 유교의 ‘최적화 우주론(optimal universe)’과 무속의 ‘보호의 우주론(patronal universe)’의 차별화과정을 통해서, ‘미신론’에서는 근대적 세계관에 근거한 ‘자연’으로부터 분리된 ‘초자연적’ 영역의 생성 및 유통과정 분석을 통해서 무속이 미신으로 타자화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타자화의 작용에 대한 분석은 타자화의 주체와 타자화된 대상의 사이의 순환과정을 모두 포괄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 글은 타자로서 무속이 창조되는 과정 분석의 예비 작업의 의의를 지닌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조, "한국 종교사상사Ⅰ" 연세대학교출판부 1992
2 김동규, "한국 무속의 다양성 — 학적 담론과 무당의 정체성 형성 사이의 “고리효과” —" 한국종교학회 (66) : 193-220, 2012
3 이진구, "한국 근대 개신교의 과학담론, In 근대 한국 종교 문화의 재구성"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4 조흥윤, "초기 개신교선교사들의 한국샤머니즘 이해 -선교인류학의 관점에서-" 국학연구원 (125) : 79-120, 2004
5 Smith, Wilfred. C., "종교의 의미와목적" 분도출판사 1991
6 무라야마 지준, "조선의 점복과 예언" 1990
7 "조선왕조실록"
8 이욱, "조선시대 재난과 국가의례" 창비 2009
9 지두환, "조선시대 儀禮 개념의 변천" 1 : 1-27, 1998
10 최석영,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 전후(前後) 조선무속에 대한 시선 변화" 한국무속학회 (9) : 111-130, 2005
1 정병조, "한국 종교사상사Ⅰ" 연세대학교출판부 1992
2 김동규, "한국 무속의 다양성 — 학적 담론과 무당의 정체성 형성 사이의 “고리효과” —" 한국종교학회 (66) : 193-220, 2012
3 이진구, "한국 근대 개신교의 과학담론, In 근대 한국 종교 문화의 재구성"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4 조흥윤, "초기 개신교선교사들의 한국샤머니즘 이해 -선교인류학의 관점에서-" 국학연구원 (125) : 79-120, 2004
5 Smith, Wilfred. C., "종교의 의미와목적" 분도출판사 1991
6 무라야마 지준, "조선의 점복과 예언" 1990
7 "조선왕조실록"
8 이욱, "조선시대 재난과 국가의례" 창비 2009
9 지두환, "조선시대 儀禮 개념의 변천" 1 : 1-27, 1998
10 최석영,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 전후(前後) 조선무속에 대한 시선 변화" 한국무속학회 (9) : 111-130, 2005
11 김성례, "일제시대 무속담론의 형성과 식민적 재현의 정치학" 한국무속학회 (24) : 7-42, 2012
12 "신문기사"
13 김성례, "무속전통의 담론분석:해체와 전망" 22 : 211-243, 1990
14 이용범, "무속에 대한 근대 한국사회의 부정적 시각에 대한 고찰" 한국무속학회 (9) : 151-180, 2005
15 차옥숭, "무교:한국인의 종교체험" 서광사 1997
16 선순화, "그리스도인으로서 무교를 어떻게 볼 것인가, In 그리스도교와 무교" 1991
17 김우형, "공자와 주자, 그리고 귀신, In 우리에게 귀신은 무엇인가?"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0
18 신광철, "개항기 한국사회의 그리스도교 이해:외세에 대한 민의 반응을 중심으로" 33 : 71-91, 2003
19 張錫萬, "開港期 韓國社會의 “宗敎” 槪念 形成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20 Hacking, Ian, "The Social Construction of Wha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21 Don Baker, "The Religious Revolution in Modern Korean History: From ethics to theology and from ritual hegemony to religious freedom" 한국학중앙연구원 9 (9): 249-275, 2006
22 Certeau, Michel de,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23 Hulbert, Homer B., "The Passing of Korea" Yonsei University Press 1969
24 Fitzgerald, Timothy, "The Ideology of Religious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5 Kendall, Laurel, "Shamans, Nostalgias, and the IMF:South Korean Popular Religion in Mo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9
26 Hacking, Ian, "Rewriting the Sou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27 Capps, Walter, "Religious Studies:The Making of a Discipline" Fortress Press 1995
28 Clark, C. A., "Religions of Old Korea"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1961
29 King, Winston L., "Religion, In The Encyclophedia of Religion vol.12"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7
30 Kim, Dong-kyu, "Reconfiguration of Korean Shamanic Ritual:Negotiating Practices among Shamans, Clients, and Multiple Ideologies" 3 (3): 11-37, 2012
31 Walraven, Boudewijn C. A., "Popular Religion in a Confucianized Society, In Culture and the State in Late Choson Korea" Harvard University Asian Center 161-190, 1999
32 Well, Kenneth M., "New God, New Nation:Protestants and Self-reconstruction Nationalism in Korea, 1896-1937"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33 Styers, Randall, "Making Magic:Religion, Magic & Science in the Modern World" Oxford University 2004
34 Tambiah, Stanley J., "Magic, Science, Religion, and the Scope of Ration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35 Grayson, James. H., "Korea:A Religious History" Reoutledge Curson 2002
36 돈 베이커, "Korean Spirituality"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
37 Martin, Dale B., "Inventing Superstition:From the Hippocratics to the Christians" Harvard University 2004
38 Hacking, Ian, "Historical Ontology" Harvard Press 2002
39 Robinson, Michael E., "Cultural Nationalism in Colonial Korea, 1920-192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8
40 Griffis, W. E., "Corea:The Hermit Nation" Charles Schribner's Sons 1888
41 Walraven, Boudewijn C. A., "Confucians and Shamans" 6 : 21-44, 1991
42 Kim, Andrew Eungi, "Christianity, Shamanism, and Modernization in South Korea" (Spring) : 2000
43 Hamayon, Roberte N., "Are ‘Trance’, ‘Ecstasy’ and Similar Concepts Appropriate in the Study of Shamanism?" 1 (1): 3-25, 1993
44 김요한, "1920년대 미신타파운동 연구 : 동아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2-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 | 0.73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