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브랜드 이미지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Dimension of City Brand Image and Consumers`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브랜드 관리의 확장 개념인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따라 브랜드 관점의 총체적 차원에서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표준화 하고 이를 소비자 조사를 통해 요인화 하는 한편, 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경로의 발견 및 3가지 차원의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들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긍정적 행동유발 도시브랜드 이미지는 무엇인지를 밝히고 전략적인 도시마케팅의 바람직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소비자 450명을 대상으로 뉴욕, 북경, 시드니, 도쿄, 파리, 서울의 도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6개 도시의 브랜드 이미지는 선도적, 세련된, 전통적, 활동적 이미지의 4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차별적으로 나타났으나 대중문화가 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또한 차별적으로 나타났는데 한 도시의 세련된 이미지는 3개의 소비자 행동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도시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브랜드 관리의 확장 개념인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따라 브랜드 관점의 총체적 차원에서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표준화 하고 이를 소비자 조사를 통해 요인화 하...

      본 연구는 브랜드 관리의 확장 개념인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따라 브랜드 관점의 총체적 차원에서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표준화 하고 이를 소비자 조사를 통해 요인화 하는 한편, 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경로의 발견 및 3가지 차원의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들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긍정적 행동유발 도시브랜드 이미지는 무엇인지를 밝히고 전략적인 도시마케팅의 바람직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소비자 450명을 대상으로 뉴욕, 북경, 시드니, 도쿄, 파리, 서울의 도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6개 도시의 브랜드 이미지는 선도적, 세련된, 전통적, 활동적 이미지의 4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차별적으로 나타났으나 대중문화가 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또한 차별적으로 나타났는데 한 도시의 세련된 이미지는 3개의 소비자 행동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도시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ndardize of city brand image depending of the brand perspective b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brand image of the city. And to reveal the communication path and impact on consumer behavior which affects each images.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find out the city brand image which brings consumer`s positive behavior and we will set up the desirable ground work of the strategic city marketing. In this study, 450 of Korean consumers participated survey about the city of NewYork, Beijing, Sydney, Tokyo, Paris and Seoul. The study results shows that consumers recognize city brand images of 6 cities as leading, sophisticated, traditional and active. And most communication factor which affects these images was by the pop culture influence. Also the impact on consumer behavior was also showed differentiated, one of the city`s stylish image in the three consumer behavior affects all showed meaningful positive.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establishing of strategic city brand image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ndardize of city brand image depending of the brand perspective b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brand image of the city. And to reveal the communication path and impact on consumer behavior which affects eac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ndardize of city brand image depending of the brand perspective b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brand image of the city. And to reveal the communication path and impact on consumer behavior which affects each images.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find out the city brand image which brings consumer`s positive behavior and we will set up the desirable ground work of the strategic city marketing. In this study, 450 of Korean consumers participated survey about the city of NewYork, Beijing, Sydney, Tokyo, Paris and Seoul. The study results shows that consumers recognize city brand images of 6 cities as leading, sophisticated, traditional and active. And most communication factor which affects these images was by the pop culture influence. Also the impact on consumer behavior was also showed differentiated, one of the city`s stylish image in the three consumer behavior affects all showed meaningful positive.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establishing of strategic city brand image was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공간환경학회, "현대도시이론의 전환" 한올아카데미 1998

      2 "해외문화홍보원"

      3 염성원, "한국의 국가이미지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4 (14): 87-117, 2003

      4 "한국무역협회"

      5 "한국관광동향" 2008

      6 "주한미국상공회의소"

      7 김유경, "장소브랜드의 역할과 전략적 관리에 대한 개념적 고찰" (20) : 3-32, 2006

      8 강승규, "서울시 브랜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20) : 4-5, 2004

      9 홍두승, "사회조사분석" 다산출판사 2000

      10 이진용, "브랜드파워"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7

      1 한국공간환경학회, "현대도시이론의 전환" 한올아카데미 1998

      2 "해외문화홍보원"

      3 염성원, "한국의 국가이미지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4 (14): 87-117, 2003

      4 "한국무역협회"

      5 "한국관광동향" 2008

      6 "주한미국상공회의소"

      7 김유경, "장소브랜드의 역할과 전략적 관리에 대한 개념적 고찰" (20) : 3-32, 2006

      8 강승규, "서울시 브랜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20) : 4-5, 2004

      9 홍두승, "사회조사분석" 다산출판사 2000

      10 이진용, "브랜드파워"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7

      11 손일권, "브랜드아이덴티티" 경영정신 2003

      12 박복재, "매력있는 삶의 공간을 창조하는 도시브랜드마케팅" 전남대학교출판부 2011

      13 김남정,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5

      14 유미정, "도시브랜드 슬로건과 도시이미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부산·광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8

      15 이상훈, "도시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형성요인에 대한 연구: 6개 광역도시를 대상으로" 18 (18): 57-73, 2007

      16 서구원, "도시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7 강승규, "도시(지역) 브랜드 관리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브랜드마케팅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06

      18 윤영석, "도시 재탄생의 비밀: 도시 브랜딩" 유니타스 브랜드 2010

      19 한충민, "국가와 도시도 브랜드화가 가능한가"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1

      20 김유경, "국가 브랜드 개성의 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75) : 89-119, 2007

      21 Olson, "The Stability of Responses Obtained by Free Elicitation: Implications for Measuring Attribute Salience and Memory Structures, I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6" Assoc. for Consumer Research 269-275, 1979

      22 Noth, W., "The Language of Commodities Groundwork for a Semiotics of Consumer Goods" 4 : 173-186, 1988

      23 Lynch, K., "The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1960

      24 Levy, S. J., "Symbols By Which We Buy"

      25 Keller, K. L.,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Hall 1998

      26 Park, C. Whan,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50 : 135-145, 1986

      27 안광호,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06

      28 Lynch, K., "Reconsidering the image of the city, In City sense and city design" The MIT Press 247-256, 1984

      29 Martineau, Pierre, "Motivation in Advertising" McClure, P. J., & J. K. Ryans Jr 1957

      30 Aaker, D. A.,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The Free Press 1991

      31 Donbi, D, "In Search of Brand Image: A Foundation Analysis" 17 : 110-118, 1990

      32 Levy, S. J., "Imagery and Symbolism. Marketing Manager’s Handbook" Drtnell 1973

      33 Gertner, D, "How can a place correct negative image?" 1 : 50-57, 2004

      34 Plummer, J. T., "How Personality Makes a Difference" 24 (24): 27-31, 1985

      35 Biel, Alexander L., "How Brand Image Drives Brand Equity" 12 (12): 6-12, 1992

      36 Aaker, Jennif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34 : 347-348, 1997

      37 Frazer, C. F., "Creative Strategy: A Management Perspective" 12 (12): 36-41, 1983

      38 Niss, Hanne, "Country of origin marketing over the product life cycle-A Danish case study" 30 (30): 6-22, 1995

      39 Kotler, P., "Country as brand, product, and beyond: A place marketing and brand management perspective" 9 (9): 249-261, 2002

      40 Park, C Whan, "Consumer knowledge assessment" 21 (21): 71-82, 1994

      41 Kavaratzis, M., "City marketing: the past, the present and some unsolved issues" 1 : 1-18, 2007

      42 Simon Anholt, "City Brand Index" GMI 2005

      43 Kishman, H. S., "Characteristics of Memory Association: A Consumer-based Brand Equity Perspective" 13 : 1996

      44 Aaker, D. A., "Building Strong Brands" The Free Press 1996

      45 Trueman, M. M., "Bradford in the Premier Leagu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branding and repositioning a city" Bradford University School of Management 2001

      46 Michael Korchia, "A NEW TYPOLOGY OF BRAND IMAGE, In Europea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4"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47-15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72 2.31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