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보릿짚의 수분함량 및 수확시기가 소각시 대기오염물질 발생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s of Barley Straw Burning Having Different Moisture Contents and Harvesting Timing on Air Pollutant Emi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35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남지방 벼-보리 이모작답에서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보릿짚 처리방법인 소각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각시 발생하는 온난화가스, 대기오염가스 및 분진발생량을 중심으로 살펴...

      영남지방 벼-보리 이모작답에서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보릿짚 처리방법인 소각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각시 발생하는 온난화가스, 대기오염가스 및 분진발생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보릿짚 소각시 온난화가스 발생량은 CO₂376.8, CH₄ 1.56, N₂O 0.05 kg/10a 로서 CO₂의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대기 오염가스 중에는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시 배출되는 CO발생량이 28.8 kg/10a로서 가장 많았다. 그 외 SO₂ H₂S, NH₃, NO등의 질소 및 황 함유 유해가스도 소량 발생되었고 발생된 PM 10 분진의 대부분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PM 10보다 큰 PM 2.5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수확시기가 빠르거나 수분함량이 높은 보릿짚일수록 온난화가스 및 대기오염 가스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소각 연기내 PM 10 분진중 PM 2.5의 미세분진 비중이 높았다. 수확적기로 알려진 출수 40일 이후의 보릿짚은 출수 후 40일된 보릿짚 소각시 발생하는 대기오염가스 발생량과 큰 차이가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impacts of burning of barley straw produced from rice-barley double cropping paddy field on air quality by investigating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CO₂, CH₄ and N₂O), air pollution gases (CO, SO₂, 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impacts of burning of barley straw produced from rice-barley double cropping paddy field on air quality by investigating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CO₂, CH₄ and N₂O), air pollution gases (CO, SO₂, H₂S, NH₃ and NO) and particulate matters (PM 10 and PM 2.5). When the barley straw at a rate of 4.5 t/ha was burned at open status, the emitted GHGs amounts were CO₂ 376.8 kg/10a, CH₄ 1.56 and N₂O 0.06. The amount of CO emission was the largest among air pollution gas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range of 45~55% of total C in barley straw was emitted as CO₂-C, followed by CO-C (6.4~5.9%) and CH₄-C (0.5~0.7%). As far as moisture content in barley straw is concerned, the higher moisture content that the barley straw contains, the larger amount of air pollution gases and the higher portion of PM 2.5 in PM 10 were emitted when it burned. In case of harvesting time of barley straw, emission amounts of greenhouse, air pollution gases and PM 2.5 portion in PM 10 had tendency to increase when earlier harvested barley straw was burn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릿짚 처리방법에 따른 대기오염 물질 발생량 구명" 2002

      2 "미세먼지 주요배출원의 정량적 추정" 2001

      3 "The inf- luence of moisture content on polycyclic aromatic hyd- rocarbons emission during rice straw burning" 3 : 117-122, 2001

      4 "Relationships between air pollution by SO2 and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leave and bark pH in urban forest trees Korean for Soc" 279-286, 1991

      5 "Relationship between Fine particulate spe- cies gaseous pollutants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in Detroit" 1341-1349, 1985

      6 "Progress report on the phase-down and the 1988-2000 Pause in the Phase- down of rice straw burning in the Sacramento valley air basin" 40-, 2001

      7 "Organic acids in a flooded soil receiving added rice straw and their effect on the growth of rice" 1-8, 1971

      8 "Mutagen- icity of air bone particles Mutation research/Review in Genetic toxicology 76" 143-164, 1980

      9 "Influ- ence of emission from rice straw burning on bronchial asthma in children" 42 : 143-150, 2000

      10 "Emission of trace gases (CO2, CO, CH4, and N2O) resulting from rice straw burning" 43 : 849-854, 1997

      1 "보릿짚 처리방법에 따른 대기오염 물질 발생량 구명" 2002

      2 "미세먼지 주요배출원의 정량적 추정" 2001

      3 "The inf- luence of moisture content on polycyclic aromatic hyd- rocarbons emission during rice straw burning" 3 : 117-122, 2001

      4 "Relationships between air pollution by SO2 and soluble sulphur contents in the leave and bark pH in urban forest trees Korean for Soc" 279-286, 1991

      5 "Relationship between Fine particulate spe- cies gaseous pollutants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in Detroit" 1341-1349, 1985

      6 "Progress report on the phase-down and the 1988-2000 Pause in the Phase- down of rice straw burning in the Sacramento valley air basin" 40-, 2001

      7 "Organic acids in a flooded soil receiving added rice straw and their effect on the growth of rice" 1-8, 1971

      8 "Mutagen- icity of air bone particles Mutation research/Review in Genetic toxicology 76" 143-164, 1980

      9 "Influ- ence of emission from rice straw burning on bronchial asthma in children" 42 : 143-150, 2000

      10 "Emission of trace gases (CO2, CO, CH4, and N2O) resulting from rice straw burning" 43 : 849-854, 1997

      11 "Effects of water management rice straw and compost on methane emission in dry seeded rice" 29 (29): 212-217, 1996

      12 "Effect of organic matter application on methane emission from some Japanese paddy fields" 599-610, 1990

      13 "California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2 0.72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