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郡谷里貝塚의 年代와 ‘경질무문토기-타날문토기’ 小考 -영남고고학의 입장에서- = The Calendar Date of Kunkok-ri Shellmound,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88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unkok-ri shellmound and Neuk-do shellmound are representative sites which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excavated in South Korea. Kunkok-ri shellmound became the standard of the chronology in Honam area, because layers are deposited for the cont...

      Kunkok-ri shellmound and Neuk-do shellmound are representative sites which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excavated in South Korea. Kunkok-ri shellmound became the standard of the chronology in Honam area, because layers are deposited for the continuation. Furthermore,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the Tanalmun pottery were excavated together, unlike Neuk-do shellmound.
      I gathered bones of deer and wild boar as sample and measured in radiocarbon dates to estimate the calendar date of Kunkok-ri shellmound. I understood that Tanalmun pottery appeared A.D.2c from result of radiocarbon dating in Kunkok-ri site. It had been recognized that Kunkok-ri and Neuk-do sites were parallel in terms of time, but it was revealed that Kunkok-ri site was formed after Neuk-do site.
      The various names of pottery by areas are a serious hindrance in the integrated study between different areas at this time. I clearly arranged names of the pottery and put up a pillar to recognize commonly in the South sea-coast. With that in mind, I grasped regionality and its cause to appear while taking place of the Tanalmun pottery/Yeonjil pottery from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estimated the date of turning poi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위치하는 군곡리패총은 사천 늑도패총과 더불어 삼각형점토대토기를 지표로 하는 양대유적이다. 늑도패총과는 달리 삼각형점토대토기부터 타날문토기에 이르기...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위치하는 군곡리패총은 사천 늑도패총과 더불어 삼각형점토대토기를 지표로 하는 양대유적이다. 늑도패총과는 달리 삼각형점토대토기부터 타날문토기에 이르기까지 층위적으로 연속하고 있어, 호남지역 일상토기 편년의 표준유적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토기의 역연대는 최근의 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을 둘러싼 격론(김장석 2009; 이동희 2010)에서 나타나듯이, 아직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필자는 군곡리패총의 각 기층별(Ⅰ~Ⅴ기층)로 해양리저버효과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없는 사슴과 멧돼지뼈를 복수로 채취하여 탄소14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Ⅱ기층에서 출토된 화천의 연대(A.D.14~40)와도 정합적이었으며, 타날문토기는 2세기에 출현하는 것을 알 수있었다. 또한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유행하던 시기의 늑도와 군곡리유적은 병행관계에 있던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늑도유적보다 후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군곡리패총의 탄소14연대는 비단 패총 자체의 연대를 추정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늑도와 군곡리유적을 중심으로 동서 교차편년을 확립할 수 있으며, 남해안 각지에 분포하는 일상토기의 편년틀을구 축할 수 있다. 나아가 남해안지역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연질토기 전환기에 나타나는 지역색 및 그 원인을 파악하고, 연대를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삼각형점토대토기/연질/와질/도질토기’와 ‘경질무문토기/타날문토기’로 대표되는 동서의 용어차이에서 비롯된 지역간 통합적 연구의 난관을 해소하기 위함으로, 영·호남에서 공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는 중부지역의 중도식토기 및 타날문토기와도 관련 깊은 사안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2 최성락, "호남지역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의 연구현황과 전망" 호남고고학회 45 : 5-42, 2013

      3 최성락, "해남군곡리패총Ⅲ" 목포대학교박물관 1989

      4 최성락, "해남군곡리패총Ⅱ" 목포대학교박물관 1988

      5 최성락, "해남군곡리패총Ⅰ" 목포대학교박물관 1987

      6 이양수, "한반도에서 한경의 분배와 유통"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5 : 2006

      7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주)사회평론 2007

      8 김원룡, "풍납리포함층조사보고" 1967

      9 이창희, "철기시대의 역연대 주거의 고고학" 2013

      10 최성락, "철기시대 토기의 실체와 연구방향" 역사문화학회 5 (5): 29-66, 2002

      1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2 최성락, "호남지역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의 연구현황과 전망" 호남고고학회 45 : 5-42, 2013

      3 최성락, "해남군곡리패총Ⅲ" 목포대학교박물관 1989

      4 최성락, "해남군곡리패총Ⅱ" 목포대학교박물관 1988

      5 최성락, "해남군곡리패총Ⅰ" 목포대학교박물관 1987

      6 이양수, "한반도에서 한경의 분배와 유통"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5 : 2006

      7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 강의" (주)사회평론 2007

      8 김원룡, "풍납리포함층조사보고" 1967

      9 이창희, "철기시대의 역연대 주거의 고고학" 2013

      10 최성락, "철기시대 토기의 실체와 연구방향" 역사문화학회 5 (5): 29-66, 2002

      11 정징원, "종말기무문토기에 관한 연구-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예비적 고찰-" 한국고고학회 20 : 1987

      12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48-101, 2010

      13 이창희, "점토대토기문화기의 이주와 취락" 한일취락연구회 2013

      14 이동희, "전남동부지역 복합사회 형성과정의 고고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15 최성락, "원삼국기 토기의 변천과 문제점" 영남고고학회 5 : 1988

      16 신경철, "와질토기문화론: 그 성과와 과제 한국고고학의 반세기" 1995

      17 이창희, "수석리식토기 재검토" 부산고고학회 3 : 2008

      18 이창희, "삼한시대 남해안의 일상토기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19 "사천 봉계리 삼국시대 집락"

      20 "보성 금평 유적"

      21 이창희,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원리와 활용-적용상의 문제점-" 한국고고학회 68 : 2008

      22 안재호, "늑도주거지" 부산대학교박물관 1989

      23 이재현, "남한출토 낙랑관련 유물의 현황과 성격 낙랑의 고고학" 2005

      24 최성락, "경질무문토기의 개념과 성격" 목포대학교박물관 21 : 2013

      25 정인성, "가평 대성리유적" 경기문화재연구원 2009

      26 이창희, "環朝鮮海峡における土器の実年代からみた鉄器の出現年代-日本列島における鉄器の上限年代を考える上で-" 日本考古学協会 35 : 2013

      27 이창희, "炭素14年代を用いた粘土帯土器の実年代-泗川芳芝里遺跡の資料を中心に-"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10

      28 이창희, "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의 原理와 活用(II) –考古學的 活用과 適用事例–" 한국고고학회 (81) : 269-291, 2011

      29 이창희, "弥生時代の考古学-弥生文化誕生- 第2巻" 同成社 2009

      30 이창희, "勒島甕棺의 實年代와 海洋리저버效果" 한국고고학회 (75) : 72-97, 2010

      31 이동희,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 에 대한 반론" 호남고고학회 35 : 47-79, 2010

      32 Stuiver, "Reporting of 14C data" 19 : 1977

      33 Bronk Ramsey, C, "Bayesian analysis of radiocarbon dates" 51 :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