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씽킹 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후 적용하여, 공감,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74743
2023
Korean
디자인씽킹 ; 공감 ; 창의적 성향 ; 문제해결능력 ; 돌봄효능감 ; 실험연구 ; Design thinking ; Empathy ; Creative disposition ; Problem-solving ability ; Caring efficacy ; Experimental research
KCI등재
학술저널
361-375(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씽킹 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후 적용하여, 공감,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씽킹 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후 적용하여, 공감,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 연구는 학생참여형 수업인 디자인씽킹 교수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입증하기 위한 단일군 시계열 전후 실험설계(one-group time-series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이다. G시에 소재하는C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대학생 41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진행하였다. 수업 전⋅후 자가보고설문을 통하여 그 차이를확인하였으며,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효과검증을 하였다. 가설 검증은 Repeated Measure ANOVA, Friedman 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디자인씽킹 수업모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후 연구대상자의 공감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F=0.66, p=.521), 창의적 성향(x2 =11.63, p=.003), 문제해결능력(F=5.77, p=.006), 돌봄효능감의 점수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18, p=.047).
따라서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에 디자인씽킹을 적용한다면,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이 증진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를 통해 돌봄 과정에서 돌봄 효능감이 향상 될 것이고 간호의 질적 향상을 불러 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디자인씽킹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간호실습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특성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추후 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및 기술 등의 교육에 활용하여 실질적인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현장적응성 및 간호대학생의 간호실습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희, "프로젝트 기반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고등학교 미술교육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 신문승, "초등학생 영재 판별을 위한 창의적 성향 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3 배성환,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서비스 디자인씽킹" 한빛 미디어 2017
4 박지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clinical ladder)별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5 채민정 ; 최순희, "심정지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8 (28): 447-458, 2016
6 전혜진, "시나리오 기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가상현실 활용 및 발전방안탐색: 통합적 고찰"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7 (7): 45-56, 2019
7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8 양진주,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 12 (12): 287-294, 2006
9 임미혜,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팀워크 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산업경영학회 19 (19): 73-80, 2021
10 이지은,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 발달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1 김도희, "프로젝트 기반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고등학교 미술교육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 신문승, "초등학생 영재 판별을 위한 창의적 성향 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3 배성환,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서비스 디자인씽킹" 한빛 미디어 2017
4 박지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clinical ladder)별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5 채민정 ; 최순희, "심정지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8 (28): 447-458, 2016
6 전혜진, "시나리오 기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가상현실 활용 및 발전방안탐색: 통합적 고찰"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7 (7): 45-56, 2019
7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8 양진주,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 12 (12): 287-294, 2006
9 임미혜,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팀워크 역량,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산업경영학회 19 (19): 73-80, 2021
10 이지은,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 발달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11 우영진, "디자인씽킹 수업" 시공 미디어 2018
12 한상미, "디자인씽킹 기반 팀프로젝트가 간호대학생의 공감,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 21 11 (11): 1645-1658, 2020
13 구자준,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창의성 기법이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에 끼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 (20): 115-131, 2017
14 한수정,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71-286, 2019
15 정현정, "디자인 씽킹 기반 다문화 간호 교육 사례 연구" 인문사회 21 9 (9): 951-964, 2018
16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툴킷" 에딧더월드 13-, 2014
17 이은주 ; 전원희, "간호학생의 통합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163-171, 2013
18 강명주 ; 정경희 ; 조정아, "간호학 임상실습에서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설계 및 적용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36-348, 2019
19 이지윤 ; 박소영,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환자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2 (22): 461-470, 2016
20 서임선, "간호리더십 교과목에 적용한 디자인씽킹 교수학습법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07-725, 2020
21 정혜선 ; 이기령,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044-6052, 2015
22 이지숙 ; 조혜영,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돌봄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7 (27): 186-196, 2021
23 서지영,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및 지각된 동료 간 돌봄 행위와의 관계" 한국간호연구학회 3 (3): 61-71, 2019
24 하영미 ; 리메일링 ; 채여주,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47-356, 2016
25 정진옥 ; 김수,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공감능력, 대인관계 능력 및 돌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344-356, 2019
26 이윤주 ; 김미원 ; 오의금, "간호교육에서의 환자시뮬레이션 교육 현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3 (13): 47-57, 2011
27 이경은 ; 홍진영, "간호 대학생의 공감능력, 돌봄 효능감, 스트레스대처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51-1270, 2020
28 Reid, C., "The caring experience : Test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aring Efficacy Scale" 21 (21): 904-912, 2014
29 Coates, C. J., "The Caring Efficacy Scale : Nurses'self-reports of caring in practice settings" 3 (3): 53-59, 1997
30 Casey, T., "Predicting uptake of technology innovations in online family dispute solution services : An application an extension of the UTAUT" 28 (28): 2034-2045, 2012
31 Van Schaik, S. M., "Interprofessional team training in pediatric resuscitation : A low-cost, in situ simulation program that enhances self-efficacy among participants" 50 (50): 807-815, 2011
32 The International Nursing Association for Clinical Simulation and Learning (INACSL) Standards Committee, "INACSL standards of best practice: Simulation SM simulation design" 12 : S5-S12, 2016
33 Faul, F., "G*Power 3 :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39 (39): 175-191, 2007
34 Sadler, J., "A pilot study to measure the caring efficacy of baccaaureate nursing students" 24 (24): 295-299, 2003
35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85-, 1980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줌(Zoom)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
예비교사 대상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중사례연구: 세 교수자의 경험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