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홀리스틱 영성 관점에서 팀 게임에서 두려움 정서 극복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홀리스틱 영성 측면에서 두려움에 대한 이해, 두려움에 대한 치료, 두려움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34729
2017
-
두려움 정서 ; 중용 ; 홀리스틱 ; 영성 ; fear ; emotion ; moderation ; holistic ; psychogenic
370
KCI등재
학술저널
101-115(1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홀리스틱 영성 관점에서 팀 게임에서 두려움 정서 극복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홀리스틱 영성 측면에서 두려움에 대한 이해, 두려움에 대한 치료, 두려움에 ...
이 연구는 홀리스틱 영성 관점에서 팀 게임에서 두려움 정서 극복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홀리스틱 영성 측면에서 두려움에 대한 이해, 두려움에 대한 치료, 두려움에 대한 극복 환경 조성이다. 홀리스틱 영성 이해 측면에서 두려움 정서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다. 긍정적인 면은 생명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유지하게 하는 메커니즘과 부정적인 면은 비실제적인 두려움에 빠지면 건전한 사고력 창조력이 마비되고 무력감에 빠지게 됨으로 치료가 요구된다. 홀리스틱 영성 지원측면에서 체육수업에서 경험하는 두려움 정서의 중용은 ‘용기’이며 ‘과도: 악덕’은 ‘무모함’과 ‘부족의 악덕’으로는 ‘비겁함’이다. 학생의 자기 내에 도사리고 있는 두려움 대신 중용의 ‘용기’ 수준으로 정서 조절의 가능성을 뇌 과학을 통해 입증이 되었다. 홀리스틱 영성 안내 측면에서 팀 게임에서 두려움 극복 환경 조성으로 첫째, 팀 게임에서의 부족을 선언하고 최선을 다하는 용기있는 학생을 기르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의 부족을 이해하는 역량을 갖춘 교사가 요구되며, 자존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용기 있는 학생을 기르기 위한 수업환경으로는 하나로 수업이 요구되며,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표현할 수 있는 용기 있는 학생으로 기르기 위해서는 인성형 게임이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fear emotion in team game setting from the holistic psychogenic standpoint. The study problems were 1) to understand the fear from the holistic psychogenic standpoint, 2) to cure th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fear emotion in team game setting from the holistic psychogenic standpoint. The study problems were 1) to understand the fear from the holistic psychogenic standpoint, 2) to cure the fear, and 3) to establish environments to overcome the fear.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 understanding holistic psychogenic standpoints. The positive aspect is the mechanism that maintains safety against the risk of life, and negative aspect is that one is required a treatment after being numbness from the sound thinking and creativeness when falling in the practical fear. From the holistic psychogenic supportive aspect, moderation of fear emo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s ‘braveness,’ ‘excessiveness: immorality’ is ‘hairlessness’ and ‘immorality of lack’ is ‘poltroonery.’ Through the brain science,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fear can change their fear into braveness using emotion control. From the holistic psychogenic aspect, the environments to overcome the fear in team games and to generate brave behavior are as follow. First, to teach students who declare their lack and do their best in team games, teachers should understood students’ lack. Second, to teach students who can do their best with self-esteem and braveness, establishing ‘Hanaro’ class model. Third, to teach students to understand others and express respects, personality-game is requir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한무, "홀리스틱 균형의 관점에서 본 분노정서에 대한 인성교육 가능성 탐색"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 (20): 53-68, 2016
2 박영만,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도서출판 엘리트 2002
3 최의창, "호울 스포츠와 하나로 코칭― 인문적 스포츠교육론 서설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97-119, 2005
4 박종태, "초등학생의 체조수업 상태불안과 성취목표성향이 체육수업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71-80, 2010
5 문정옥,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상태불안 연구" 10 : 39-52, 1998
6 변태식, "초등학생의 수영에 대한 두려움 극복과정 탐구" 서울 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7 이병준, "체육수업의 정서적 구조와 특성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259-278, 2013
8 이병준,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의 자의식 정서 경험 맥락과 교육적 의미" 한국체육학회 47 (47): 161-172, 2008
9 전용진, "중학생이 체육수업에 체험하는 정서경험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19-137, 2006
10 김수연, "중학생의 체육수업 정서체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 조한무, "홀리스틱 균형의 관점에서 본 분노정서에 대한 인성교육 가능성 탐색"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 (20): 53-68, 2016
2 박영만,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도서출판 엘리트 2002
3 최의창, "호울 스포츠와 하나로 코칭― 인문적 스포츠교육론 서설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97-119, 2005
4 박종태, "초등학생의 체조수업 상태불안과 성취목표성향이 체육수업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71-80, 2010
5 문정옥,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상태불안 연구" 10 : 39-52, 1998
6 변태식, "초등학생의 수영에 대한 두려움 극복과정 탐구" 서울 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7 이병준, "체육수업의 정서적 구조와 특성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259-278, 2013
8 이병준,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의 자의식 정서 경험 맥락과 교육적 의미" 한국체육학회 47 (47): 161-172, 2008
9 전용진, "중학생이 체육수업에 체험하는 정서경험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119-137, 2006
10 김수연, "중학생의 체육수업 정서체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1 김윤희, "중학생의 체육수업 걱정거리 분석" 39 (39): 583-594, 2000
12 이소영, "중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이야기(Story-telling) 지도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3 정옥분,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학지사 2007
14 최의창,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레인보우 북스 2010
15 김효은, "윤리적 뇌" 바다출판사 2009
16 유경민, "예비 체육교육에서 인성 교육의 양상 및 개선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7 우송희, "여자체육교사가 교수상황에서 경험하는 두려움 정서에 대한 이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이시영, "아이의 자기조절력" 지식채널 2013
19 강승혜,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to meson) 개념과 성품적 덕(he ethike arete)에 관한 고찰 : 『니코마코스 윤리학』3, 4권의 개별적인 성품적 덕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0 최관경,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24 (24): 71-85, 1988
21 조한무, "신체활동에 따른 부정적 정서의 뇌 과학적 이해와 홀리스틱 힐링"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9 (19): 151-170, 2015
22 유은정, "서사적 접근을 통한 중등체육에서의 인성교육 탐색 : 하나로 수업 모형의 적용"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23 김승철, "무용학습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39 (39): 275-281, 2000
24 이건훈, "두려움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치유적 고찰"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09
25 이순복, "두려움 극복을 위한 성경적 상담"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05
26 설기문, "두려움 극복을 위한 NLP전략" 학지사 2008
27 이창우, "니코마코스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28 최준혁, "느끼는 뇌" 학지사 2011
29 박준영, "교육의 철학적 이해"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9
30 유기성,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중 체형불안과 수업태도의 관계 - 수업몰입의 매개효과 -" 한국스포츠학회 11 (11): 1-11, 2013
31 홍명기, "경쟁활동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탐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2 이종복, "감정공부" 웅진 싱크빅 2009
33 황태호, "감성지능" 비전 코리아 1996
34 Gottman, J., "The relationship cure; A5 step guid to strengthening your marriage, family and friendships" Three rivers press 2002
35 Williams, N., "The physical education hall of shame, Part Ⅱ" 65 (65): 17-20, 1994
36 Williams, N., "The physical education hall of shame" 63 (63): 57-60, 1992
37 Rolls, E. T., "The brain and emo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38 Carr, D., "On the contribution of literature and the arts to the educational cultivation of moral virtue, feeling and emotion" 34 (34): 137-151, 2005
39 Parkinson, B., "Emotion in social relations" Psychology Press 2004
40 Lazarus, R. S., "Emotion and adop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41 Dickerson, S. S., "Acute stressors and cortisolresponses : A theoretical integration and synthesis of laboratory research" 130 : 355-391, 2004
대학생의 연상위계유형 간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 차이
통합적 관점에서 본 초등 교사의 스포츠교육모형에 대한 이해와 오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2-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 |
2017-02-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6-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6-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6-1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21 | 1.342 | 0.14 |
기업, 문화, 영성
한동대학교 최용준xD19 Emotion + Function(感性 + 機能)
홍익대학교 쿠니히사 이토(kunihisa Ito), 이근(Lee Keun)Emotion cards, anger management game, motivational stickers
Teachers TV Teachers TVPsychophysics and Emotion Research for Food Sensory Science
이화여자대학교 Kannapon LopetcharatManaging Mobility: A Holistic Approach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