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합학교 중등 일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수준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6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통합학교 중등 일반교사들이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어느 정도 실천하...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통합학교 중등 일반교사들이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ㆍ고등학교에 재직 중이며, 장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교의 중등 일반교사들은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으나, 그에 비해 실천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UDL 적용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 즉 UDL을 적용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교사일수록 실제로 학급에서 UDL을 실천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학교급간, 즉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 간에는 UDL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유사하게 나타났고, 그 실천 정도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거나 실천하고 있는 전략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편적 학습설계가 반영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과 교사연수의 필요성, 적절한 교수전략의 적용을 위한 방안 연구 등 향후 일반학교 교육과정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정책과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as introduced recently as a new paradigm for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was set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for the necessity and the application of ...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as introduced recently as a new paradigm for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was set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for the necessity and the application of the UDL in inclusive setting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9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the necessity of the UDL was higher than their application of the UDL on inclusive education. Second, the perception and the application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in this survey had some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ses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ose of the high school teachers. Fourth, this study had identified several strategies of the UDL that the teachers thought of as important. Ultimately discussions and several implications on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UDL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훈,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국립특수교육원 2000

      2 김영걸, "특수교육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과 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27-249, 2009

      3 김용욱, "특수교육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14 (14): 259-286, 2007

      4 김번영,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49, 2007

      5 박주연, "통합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개념과 원리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37-253, 2009

      6 원태연, "통계조사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10

      7 허현구,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체육수업 운영 실태 조사" 용인: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김대룡, "초등통합학급 장애학생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업 운영, 교수적합화, 탐구기술을 중심으로" 용인: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9 강경숙,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과별 수업적용 방법 구안-초등학교 도덕, 사회, 과학과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005

      10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에서 보편적 설계 원리의 적용 효과 탐색" 109-133, 2008

      1 이유훈,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국립특수교육원 2000

      2 김영걸, "특수교육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과 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27-249, 2009

      3 김용욱, "특수교육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국립특수교육원 14 (14): 259-286, 2007

      4 김번영,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49, 2007

      5 박주연, "통합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개념과 원리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37-253, 2009

      6 원태연, "통계조사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10

      7 허현구,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체육수업 운영 실태 조사" 용인: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김대룡, "초등통합학급 장애학생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업 운영, 교수적합화, 탐구기술을 중심으로" 용인: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9 강경숙,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교과별 수업적용 방법 구안-초등학교 도덕, 사회, 과학과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005

      10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에서 보편적 설계 원리의 적용 효과 탐색" 109-133, 2008

      11 한경근, "장애인 특수교육법 재정 시행에 따른 한국 통합교육의 방향" 31-34, 2007

      12 황현주, "일반초등학교의 통합교육 실행에서 학교관리자의 역할"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47-79, 2006

      13 정해진, "유니버셜 디자인-보편적 설계" 3 : 8-10, 2004

      14 한규일,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원칙의 고찰을 통한 장애학생의 일반 교육과정 적용(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의 실행방안 연구" 서울: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박주연,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55-176, 2008

      16 노석준, "보편적 설계 원리의 교수․학습에의 적용: 보편적 학습설계" 17-27, 2006

      17 손지영, "교육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연구의 적용 전략 및 효과성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85-411, 2010

      18 김동일, "e-러닝에서 보편적 설계의 적용에 대한 사용성 평가-시각, 청각, 지체장애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97-127, 2008

      19 Burgstahler, S, "Universal design of instruction: Definition, principles, and examples"

      20 Bowe, F. G, "Universal design in education: Teaching nontraditional students" Praeger Publishers 2000

      21 Dalton, B,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Quick-guides to inclusion: Ideas for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2nd Ed.)" Paul Brookes Publishing 2007

      22 CAS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1.0" Author 2008

      23 Scott, S. S., "Universal design for instruction: A new paradigm for adult instruction in post-secondary education" 24 (24): 375-376, 2003

      24 Mcguire, J. M., "Universal design and its application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27 (27): 166-175, 2006

      25 Mace, R. L, "Universal Design: Barrier free environment for everyone" 33 (33): 147-152, 1985

      26 Rose, 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ssociate Editor’s Column" 15 (15): 47-51, 2000

      27 Rose, 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15 (15): 26-60, 2000

      28 고범식,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분석 및 디지털교과서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29 Rose, D., "Teaching every student in the digital ag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2

      30 CAST, "Summary of 2007 national summit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orking groups. Report prepared for summit participants" Author 2007

      31 Pisha, B., "Smart from the start: The promise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22 (22): 197-203, 2001

      32 Dalton, B., "Reading as thinking: Integrating strategy instruction in a universally designed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In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Theories, interventions, and technologies" Lawrence Erlbaum Publishers 423-442, 2007

      33 Rose, D., "Learning to read in the digital age" 3 (3): 74-83, 2009

      34 Turnbull A. P., "Exceptional lives: Special education in today’s schools (6th ed.)" Prentice Hall 2009

      35 Hall, T.,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implications for UDL implementation" National Center on Accessing the General Curriculum

      36 Rose, D. H., "Accurate for al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e assess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erspectives on Language and Literacy 23-28, 2008

      37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9 1.64 1.8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