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보급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신(新)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의 학습목표가 적절하게 구현되어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5159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97-132(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보급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신(新)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의 학습목표가 적절하게 구현되어 있...
이 글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보급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신(新)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교과서의 학습목표가 적절하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9종의 현행 중학교 국어 교과서 중에서 현재 학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2종의 교과서를 선정하여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목표 설정의 구체화 수준이 검정 교과서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현행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학년별 학습목표의 타당도와 위계가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행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국어과 하위 영역별 학습목표가 특정 영역에 치우쳐 있으며, 동일 영역 내에서도 학습목표가 다루는 지식 및 인지과정이 다양성과 균형성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글은 향후 교과서 학습목표 개발과 설정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 글은 앞으로 다시 개정되는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운 교과서를 개발할 때 학습목표의 설정 과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며, 교과서 학습목표의 적절성 평가에도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learning goals of the textbooks are properly implemented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s by analyzing the learning goals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ion of the Korean langu...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learning goals of the textbooks are properly implemented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s by analyzing the learning goals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applying ‘new taxonomy of educational goals’.
For this purpose, the two types of textbooks currently used most in schools were selected and the learning goal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pecificity of setting learning goals differs greatly for each textbook, and the validity and hierarchy of the learning goals for each grade level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re insuffici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learning goals for each sub-area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were biased toward a specific area, and th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covered by the learning goals did not have diversity and balance even within the same area.
This paper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ocess of setting learning goals when developing new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and is expected to be a reference for evaluating the adequacy of textbook learning goals.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미숙, "중학교 1-1~3-2 국어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2018
2 신유식, "중학교 1-1~3-2 국어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8
3 김옥남,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분류학 비교" 안암교육학회 12 (12): 165-189, 2006
4 배재훈, "신교육목표분류학 적용을 통한 문학 영역의 평가 문항 설계" 한국국어교육학회 (121) : 319-352, 2019
5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6 서영진, "국어 교과서의 학습 목표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0) : 379-408, 2013
7 강현석,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5
8 채홍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1·2학년 국어과 학습목표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9 김현정,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고등학교 국어과 단원목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강현석,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51-84, 2005
1 노미숙, "중학교 1-1~3-2 국어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2018
2 신유식, "중학교 1-1~3-2 국어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2018
3 김옥남,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분류학 비교" 안암교육학회 12 (12): 165-189, 2006
4 배재훈, "신교육목표분류학 적용을 통한 문학 영역의 평가 문항 설계" 한국국어교육학회 (121) : 319-352, 2019
5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6 서영진, "국어 교과서의 학습 목표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0) : 379-408, 2013
7 강현석,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개정" 아카데미프레스 2005
8 채홍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1·2학년 국어과 학습목표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9 김현정,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고등학교 국어과 단원목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강현석,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51-84, 2005
11 김명옥, "Bloom의 新敎育目標分類學에 基盤한 初等 國語科 敎育課程 目標 分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2 이현숙, "Bloom의 新 敎育目標分類學에 基礎한 國語科 敎育課程 成就 基準 分析"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Anderson, L. W.,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Pearson Education 2001
14 박기범, "2015 교육과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교육종합연구원 18 (18): 191-215, 2020
15 안상현,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성취기준 분석Bloom 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2019
1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17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 국어과 교육과정(연구보고 CRC 2015-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ECD 기반 평가 문항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에 대한 연구
텍스트 분량 요인에 대한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차이 분석
읽기부진 고등학생의 읽기에 대한 인식적 특성 조사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과학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초등 핵심교원 연수-학생 참여 중심 소프트웨어(SW) 수업 설계를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2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용주 교사(사직초등학교).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초등 핵심교원 연수-학생 참여 중심 소프트웨어(SW) 수업 설계를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1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용주 교사(사직초등학교).학습목표 도달을 위한 농산어촌 소인수학급 수업 방법 변화
한국연구재단 김미영(속초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