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춤을 활용한 연기전공자의 신체훈련 인식조사 및 필요성 = A recognition and necessity on the physical trainning of acting major by adapting korea traditional 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44126

      • 저자
      • 발행사항

        금산 :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부대학교 대학원 , 공연예술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viii, 79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배주옥

      • 소장기관
        • 중부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ysical movement is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and a tool for expression. The art form of dance developed from concentration of movement. Forms that have developed through language are categorized as play, musical, and opera. As such, genres...

      Physical movement is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and a tool for expression. The art form of dance developed from concentration of movement. Forms that have developed through language are categorized as play, musical, and opera. As such, genres have become diverse and segmented, but they all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they are based on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actors.
      Actors thus directly face the audience and exhibit their vivid movements. The audience, in turn, experiences catharsis from the trained actor’s perfectly performed expressions.
      Actors must internalize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they are playing when expressing them, and if they do not know what the emotion is like, they cannot express it correctly. Physical movement is direct related to both dance and acting, and can be said to aim towards perfection through constant training in order to shift from spontaneous expression to the completion of a known work. After the 1900s, many training theories have appeared, bu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physical movement, which is a necessary element for an actor who specializes in plays.
      Currently, most universities that teach acting have physical training programs that are largely comprised of modern dance, jazz, ballet, yoga, and Pilates. In contrast, there is no systematic curriculum of performance-oriented education programs and physical training that reflect our own country’s cultural aspects.
      Even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train acting majors offer only basics or elective training, or teach choreography only when it is needed for performances, rather than offering Korean dance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need for improvement in expressiveness for acting majors, and this research involved with junior students in SEJONG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survey method. It attempts to investigate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dance, via studies into the percep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acting and physical training education programs for acting majors, in order to develop physical training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esque emotional performances in works that are authentically Korean.
      This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s from the survey on acting majors’ perception of and the need for physical training that utilizes Korean dance.
      First, it is clear that a major curriculum of most universities for actors does not have a physical training program or the importance is very low. However, there are various physical training programs including Korean dance in the acting company.
      Second, Korean dance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the physical expressiveness of acting majors.
      Third, although acting majors were constantly engaged in physical training, they used physical training with the course material from the curriculum, or basic physical training.
      Forth, a lack of recognition was identified for Korean dance in physical training, which led to a subsequent lack in education programs that uses Korean dance as well as educators who can teach such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while acting majors did recognize that physical training was an important factor in acting, they continued to engage in a lower level of training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systematically programmed education.
      As the era changes, the qualifications for actors become more diverse in the performing arts. Thus, many students felt the need for physical training,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aside from acting.
      If as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with language expression of Korean cultural emotion were produced and applied to actors, it would positively influence not only the physical training leader, but also the actors.
      A previous paper about a physical expression of Korean dance and actors, “How Movement Education Through Korean Dance Affects The Play Actor’s Physical Expressiveness”, which is conducted by Han Myung-ok in 1998, is the only work that systematically develops Korean cultural aspects. This draws attention to the reality that Korea’s dance physical training system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environments are stagnant rather than developing. Describing from another perspective, such problems mean that from now on,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s in various genres have infinite potential for research, which will deal with diverse attempts and application methods.
      Additionally, to spur Korea’s performance art industry, which is growing, and to nurture actors who can be successful entertainers, a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education systems and reformation of curriculum by adapting Korean dance is expected to produce immeasurable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체의 움직임은 소통의 중요한 수단이자, 표현의 도구이다. 움직임의 집중을 통해 발전 되어 온 것이 바로 무용예술이며. 언어와 함께 발전 되어 온 것은 언어의 사용 방법에 따라서 연극, ...

      신체의 움직임은 소통의 중요한 수단이자, 표현의 도구이다. 움직임의 집중을 통해 발전 되어 온 것이 바로 무용예술이며. 언어와 함께 발전 되어 온 것은 언어의 사용 방법에 따라서 연극, 뮤지컬, 오페라 등으로 분류된다. 이렇듯 장르는 다양해지고 분리되었지만, 공통적 특징을 살펴보면 배우들에 의해 주도되는 신체적 움직임이 그 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즉, 관객과 직접 만나서 배우들에 의해 주도되어 지는 생생한 움직임을 관객에게 보여 주며 관객은 훈련된 배우의 완벽한 연기적 표현 속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배우는 작품 속에서 캐릭터를 표현 할 때 감정들에 먼저 동화되어야 하며, 어떠한 감정을 표현하려고 해도 그 감정 상태를 알지 못하면 절대 표현할 수 없다. 신체움직임은 무용과 연기 모두 직접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즉흥적인 표현이 아는 작품의 완성에 도달하기 위한 꾸준한 훈련을 통해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1900년대 이후 많은 훈련이론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한국에서 연극을 전공하면서 배우가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신체 움직임에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이 미비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현재 연기를 교육하는 대학의 신체훈련프로그램은 대부분 현대무용, 재즈, 발레, 요가, 필라테스 등의 수업 위주로 개설되어 있는 반면, 우리나라 고유의 정서를 담은 연기적 교육프로그램과 신체훈련은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기전공자를 양성하는 각 대학 및 교육기관에서 조차 한국 춤 훈련보다는 기초체력 및 선택적 교육 또는 공연에서 필요할 때에만 안무를 받는 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기전공자들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방편으로 보다 한국적인 작품에서 한국적 감성연기에 필요한 신체훈련프로그램을 위해 연기전공자들의 연기 및 신체훈련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및 실태조사를 세종대학교 영화에술학과 3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하여 진행하였고,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춤 교육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 중 한국춤을 활용한 연기전전공자의 신체훈련 인식조사 및 필요성의 결론을 몇 가지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기를 교육하는 대학에서는 신체운련비중이 적거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극단에서의 신체훈련은 한국춤을 포함한 다양한 훈련을 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춤이 연기전공자들의 신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기전공자들은 꾸준히 신체훈련을 하고 있지만 교과과정 속 수업내용이나, 기초체력훈련을 통해 신체훈련을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훈련 중 한국춤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타나 한국춤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과 그것을 지도해줄 지도자의 부재의 문제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결과 연기전공자들은 신체훈련이 연기를 하면서 중요한 요소인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부족과 체계적이지 않은 프로그램 교육으로 겉핥기식의 훈련을 지속해온 것으로 사료된다.
      시대가 변해가며 점차 다양해져 가는 공연예술 속에서 배우가 갖춰야 할 조건들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학생들은 연기이외에도 다양한 신체훈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많은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또한 춤을 통한 교육 이외에 한국적 정서를 가진 언어표현법도 함께 교육되어 배우에게 적용한다면 이는 무용지도자 뿐만 아니라 배우들에게도 배우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춤과 연기자의 신체표현력에 관한 선행논문은 1998년 발표된 한명옥의 ‘한국춤을 통한 움직임 교육이 연극 연기자의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외에 한국적 정서를 체계적으로 구축한 자료는 전무했다. 이는 교육기관과 전문현장에서 이루어진 한국춤 신체훈련시스템이 발전했다기보다 제자리에서 맴돌고 있다는 현실에 대한 반성의 근거가 되었고, 이러한 문제는 다른 관점에서 해석 하였을 때 앞으로 다양한 예술장르에서 한국춤 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한 시도와 적용 방법 등을 연구할 수 있다는 무한한 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의 공연예술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이때 엔터테이너적인 배우를 만들기 위해 한국춤을 통한 다양한 교육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은 한국예술 발전에 보다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가설 4
      • 3. 연구의 제한점 4
      • 4. 용어의 정의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가설 4
      • 3. 연구의 제한점 4
      • 4.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연기 전공자의 신체 훈련 현황 6
      • 1) 연기교육의 개념 및 특징 6
      • 2. 각 대학의 연기교육 프로그램 소개 7
      • 1) 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9
      • 2)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13
      • 3)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17
      • 4)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20
      • 5) 서울예술대학교 연기과 23
      • 3. 전문 극단의 신체훈련 프로그램 현황 26
      • 1) 극단 목화 27
      • 2) 극단 미추 29
      • 3) 극단 연희단거리패 31
      • 4) 극단 아리랑 32
      • 5) 극단 작은신화 33
      • 6) 극단 여행자 34
      • 4. 셰익스피어 <십이야>를 한국적으로 각색한 극단여행자 <십이야>의 구성 내용과 신체적 표현 특징 36
      • 1) <십이야> 구성내용 36
      • 2) <십이야> 신체적 표현특징 39
      • Ⅲ. 연구 방법 40
      • 1. 연구의 대상 40
      • 2. 연구 기간 40
      • 3. 측정 도구 41
      • 4. 자료 처리 41
      • Ⅳ. 연구 결과 42
      • 1. 통계분석결과 42
      • (1) 평소 연기훈련 및 신체훈련의 필요성 42
      • (2) 평소 개인적인 연기훈련 정도 44
      • (3) 평소 개인적인 신체훈련 정도 46
      • (4) 공연(작품) 연습 시 개인적인 연기훈련 정도 48
      • (5) 공연(작품) 연습 시 개인적인 신체훈련 정도 50
      • (6) 연기훈련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교육 정도 51
      • (7) 신체훈련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교육 정도 55
      • (8) 배우의 신체훈련 필요성 인식 58
      • (9) 한국 춤을 배워본 경험여부 59
      • (10) 연기에 있어 한국 춤의 도움정도 60
      • (11) 연기에 있어 효과적인 훈련방법이 있다면 수용정도 61
      • Ⅴ. 논의 62
      • Ⅵ. 결론 및 제언 65
      • 참고문헌 67
      • 부록 70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