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이용한 국내 평생교육학 분야의 지적 구조 분석 =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Lifelong Education in Korea by Author Co-Citation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14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평생교육학의 지적 구조를 저자동시인용분석이라는 실증적 방법을 통해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나의 학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구축되는 지적 구조를 구명하여 평생교육학의 성격을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학술 집단의 논의가 집약되는 5개의 전문학술지를 선정하여 학술지에 피인용된 저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총 53명의 핵심저자가 도출되었다. 이들 저자들을 데이터로 국내 평생교육학의 지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원론' 범주의 평생교육론, '대상' 범주의 계층별 평생교육론, '방법' 범주의 평생교육자론, '실천' 범주의 영역별 평생교육론(HRD, 원격교육 중심), 지역사회 교육실천론, '정책' 범주의 평생교육정책론 영역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적 구조가 형성되어 온 과정에서 학문 간 통섭과 융합적 성격을 보여주는 세부 주제 영역이 형성되어가고 있다는 점, 실천보다는 정책 중심의 평생교육학 연구 경향, 평생교육론에 대한 원로 저자 중심의 논의 한계, 평생교육학 연구 대상의 계층화, '방법' 범주 연구의 취약성, 학문공동체 내부의 소통에 보이지 않는 경계 형성, 일부 저자에게 집중된 인용 현상 등을 있음을 해석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평생교육학의 지적 구조를 저자동시인용분석이라는 실증적 방법을 통해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나의 학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구축되는 지적 구조를 구명하여 평생교육학...

      본 연구는 평생교육학의 지적 구조를 저자동시인용분석이라는 실증적 방법을 통해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나의 학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구축되는 지적 구조를 구명하여 평생교육학의 성격을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학술 집단의 논의가 집약되는 5개의 전문학술지를 선정하여 학술지에 피인용된 저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총 53명의 핵심저자가 도출되었다. 이들 저자들을 데이터로 국내 평생교육학의 지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원론' 범주의 평생교육론, '대상' 범주의 계층별 평생교육론, '방법' 범주의 평생교육자론, '실천' 범주의 영역별 평생교육론(HRD, 원격교육 중심), 지역사회 교육실천론, '정책' 범주의 평생교육정책론 영역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적 구조가 형성되어 온 과정에서 학문 간 통섭과 융합적 성격을 보여주는 세부 주제 영역이 형성되어가고 있다는 점, 실천보다는 정책 중심의 평생교육학 연구 경향, 평생교육론에 대한 원로 저자 중심의 논의 한계, 평생교육학 연구 대상의 계층화, '방법' 범주 연구의 취약성, 학문공동체 내부의 소통에 보이지 않는 경계 형성, 일부 저자에게 집중된 인용 현상 등을 있음을 해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by author co-citation analysis. It is to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by revealing intellectual structure being formed during the establishing process of study.
      5 professional journals integrated the debates of academic organization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n the authors who were referred in the journals were analysed. Based on the analysis, 53 core authors were revealed. By using these authors as data for analys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the following areas are resulted :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under the category of 'theory', lifelong education for each class under the category of 'target', lifelong educator under the category of 'method', lifelong education for each field(focusing on HRD and distance education) under the category of 'practic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under the category of 'practice' and lifelong education policy under the category of 'policy'. In addition, detail subject areas are showing that consilience and convergence between studies are being formed and the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is more focused on policy rather than practice. It was also analysed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have a discussion with a focus on original authors and studying subjects are being stratified. The analyzed result presents the weakness of the study of 'Method' area, invisible boundaries within the communication between academic organizations and references being concentrated on some of autho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by author co-citation analysis. It is to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by revealing intellectual structure being formed during the establishi...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felong education by author co-citation analysis. It is to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by revealing intellectual structure being formed during the establishing process of study.
      5 professional journals integrated the debates of academic organization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n the authors who were referred in the journals were analysed. Based on the analysis, 53 core authors were revealed. By using these authors as data for analys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the following areas are resulted :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under the category of 'theory', lifelong education for each class under the category of 'target', lifelong educator under the category of 'method', lifelong education for each field(focusing on HRD and distance education) under the category of 'practic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under the category of 'practice' and lifelong education policy under the category of 'policy'. In addition, detail subject areas are showing that consilience and convergence between studies are being formed and the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is more focused on policy rather than practice. It was also analysed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have a discussion with a focus on original authors and studying subjects are being stratified. The analyzed result presents the weakness of the study of 'Method' area, invisible boundaries within the communication between academic organizations and references being concentrated on some of auth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분석 결과
      • 요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분석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숭희, "화성에서 온 사회교육, 금성에서 온 평생교육" 원격교육연구소 5 (5): 1-18, 2009

      2 한숭희, "한국의 평생교육 : 실천담론의 전개와 그 쟁송지대적 성격" 6 (6): 1-20, 2000

      3 이석진,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위논문 동향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65-85, 2012

      4 김진화,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89-122, 2007

      5 김영준, "한국 언론학의 지적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저자 동시인용 분석 및 저자 간 교류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6 오혁진, "한국 사회교육사의 연구동향 및 성과 검토"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91-221, 2010

      7 양미경,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한국교육학회 49 (49): 1-31, 2011

      8 이희수, "학습사회에서 학습경제로의 전환 논리와 그 의미" 7 (7): 211-238, 2001

      9 이희수, "학습사회에 비추어 본 평생교육학의 탐구 방향"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0 곽삼근,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 평생교육학의 연구동향" 11 (11): 91-114, 2005

      1 한숭희, "화성에서 온 사회교육, 금성에서 온 평생교육" 원격교육연구소 5 (5): 1-18, 2009

      2 한숭희, "한국의 평생교육 : 실천담론의 전개와 그 쟁송지대적 성격" 6 (6): 1-20, 2000

      3 이석진,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위논문 동향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65-85, 2012

      4 김진화,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89-122, 2007

      5 김영준, "한국 언론학의 지적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저자 동시인용 분석 및 저자 간 교류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6 오혁진, "한국 사회교육사의 연구동향 및 성과 검토"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91-221, 2010

      7 양미경,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한국교육학회 49 (49): 1-31, 2011

      8 이희수, "학습사회에서 학습경제로의 전환 논리와 그 의미" 7 (7): 211-238, 2001

      9 이희수, "학습사회에 비추어 본 평생교육학의 탐구 방향"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10 곽삼근,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 평생교육학의 연구동향" 11 (11): 91-114, 2005

      11 김진화, "평생교육학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학회 2013

      12 양병찬, "평생교육학 분야 연구 성과와 과제에 대한 토론 - 한국교육학 60년에서 평생교육학의 위치와 과제-" 한국교육학회 2013

      13 김신일, "평생교육학 동향과 과제" 교육과학사 2001

      14 한숭희, "평생교육론: 거대담론과의 결별과 학문으로서의 자기 탐색의 계기 만들기" 8 (8): 221-245, 2002

      15 김란수, "평생교육론 : 철학, 심리, 사회학적 기초" 문음사 1985

      16 한숭희, "평생교육담론이 교육학 연구에 던진 세 가지 파동" 원격교육연구소 1 (1): 1-14, 2005

      17 윤창국, "평생교육‘학’을 위한 평생교육 연구의 방향 설정에 대한 소고" 한국평생교육학회 85-90, 2012

      18 박성정, "평생교육 관점에서 본 인적자원개발체제" 7 (7): 159-176, 2001

      19 김도수, "평생교육" 양서원 1995

      20 전은주,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한 상담학의 지적 구조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21 閔鈗京, "저자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경영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2 김희전, "저자동시인용분석과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지적 구조 분석 : 사회복지학 분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23 조명희, "저자공인용매핑과 학문의 지적구조변화-한국사영역을 대상으로-" 10 (10): 65-96, 1993

      24 현영섭, "저자 동시 인용 자료의 SNA를 통한 평생교육 연구동향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91-98, 2012

      25 윤석경, "인용 분석에 의한 학문간의 특성 비교연구 : 사회·자연과학 8개분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2

      26 이재윤,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새로운 접근 -"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173-190, 2008

      27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50년사 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50년사" 교육과학사 1997

      28 이병준,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전문성(專門性)에 관한 고찰" 4 (4): 51-79, 1998

      29 정우현,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발전과정과 미래" 한국사회교육학회 1997

      30 정우현, "사회교육학서설" 교육과학사 136-156, 1991

      31 박노열, "사회교육학개론" 형설출판사 1992

      32 정지웅, "사회교육학 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33 정지웅, "사회교육의 개념과 사회교육학의 과제 탐구" 3 (3): 1-18, 1997

      34 박성정, "사회교육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한계" 5 (5): 205-222, 1999

      35 김도수, "사회교육론" 교육과학사 1994

      36 최충규, "대규모 기업집단의 출자 연결망 분석-중앙성, 응집성 및 위세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원 2009

      37 이재윤, "국내 최신 동향 파악을 위한 새로운 지적 구조 분석법" 한국정보관리학회 145-152, 2006

      38 오혁진, "개념 정의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학과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275-297, 2009

      39 White, H. D., "Visualizing discipline: An author co-cia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cience. 1972-1995" 49 (49): 327-356, 1998

      40 Sandison, A., "Thinking about Citation Analysis" 45 (45): 59-64, 1989

      41 McCain, K. W., "The author cociatation structure of macroeconomics" 5 (5): 277-289, 1983

      42 McCain, K. W., "Mapping Authors in Intellectual Space: A Technical Overview" 41 (41): 433-443, 1990

      43 Harter, S. P., "Information Science and Scientists: JASIS, 1972-1990" 43 (43): 583-593, 1992

      44 이희수, "HRD 패러다임 논쟁사에 나타난 평생교육과 HRD의 관계 : 경쟁자인가, 협력자인가?"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77-102, 2007

      45 Zhao, D, "Evolution of research activities and intellectual influences in information science 1996-2005: Introducing author bibliographic-coupling analysis" 39 (39): 2070-2086, 2008

      46 Smith, F. C., "Citation analysis" 80 (80): 83-106, 1895

      47 White, H. D., "Author cocitation: A literature measure of intellectual structure" 32 (32): 163-171,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8-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9 1.8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