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의 재생사례 연구 = Case analysis of domestic exhibition built as Idle Industrial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3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유휴 산업시설이 생겨났고,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해 다양한 전시관 및 문화공간들이 생겨났다. 그것이 도시 재생으로 이어지고 지역...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유휴 산업시설이 생겨났고,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해 다양한 전시관 및 문화공간들이 생겨났다. 그것이 도시 재생으로 이어지고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국내에서도 유휴 산업시설의 재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의 전시관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 사례분석을 통해 필요한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앞으로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휴 산업시설 재생에 대한 개념과 특성 그리고 문화공간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국내 사례 분석에 앞서 성공적인 해외사례지 바탕으로 한 선행논문분석을 통해 정체, 보존, 사회, 환경을 카테고리를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 사례지를 바탕으로 한 선행논문 분석을 통해 역사성, 상징성, 구조체보존, 재료보존, 참여성, 연계성, 접근성, 장소성 총 여덟 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앞서 나온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한 논문분석에서 나온 네 가지 카테고리와 국내사례를 중심으로 한 논문분석에서 나온 여덟 가지의 키워드를 재정리하여 국내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지를 선정한 기준은 지역재생 활성화의 거점의 공간으로 전시관으로 리노베이션이 되고, 지역적 특색이 명확하게 나타난 곳으로 분석의 대상으로서 유효한 가치가 있는 장소들이다. 이에 합당한 사례지는 정선 삼탄아트마인, 윤동주 문학관, 김중업 박물관, 광명 업사이클 아트센터, 인천 아트 플랫폼으로 다섯 곳으로 선정하였다. 앞서 추출한 각 4가지 분류와 총 8가지의 키워드로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국내의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전시관사례를 분석 하고자 한다. (결과) 이를 기반으로 정선 삼탄아트마인, 윤동주 문학관, 김중업 박물관, 광명 업사이클 아트센터, 인천 아트 플랫폼을 분석한 결과 정선 삼탄아트마인은 정체성과 보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동주 문학관에서는 전체적인보존 에서 재료 보존도를 제외하고 골고루 높은 것으로 보였고, 김중업 박물관에서는 사회분야와 환경분야 요소들이 집중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명 업사이클 아트센터에서는 사회분야에서 참여성과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천 아트 플랫폼 에서는 사회분야에서는 연계성, 환경 분야에서는 두 가지 요소 모두 높은 것으로 나왔다. (결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휴 산업시설이 활용되는 전시관에서는 정체성은 보존도와 서로 연관이 있고, 환경 분야는 사회분야와 서로 영향을 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존도가 높은 전시관에서는 역사성 그 자체가 전시의 요소로 활용 되고 있다. 이러한 요소가 전시관의 강한 정체성을 구성하며 이로 인해 관람자가 이전에 쓰였던 공간의 역사와 상징을 알 수 있고 그것이 전시관을 구성하는 정체성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연계성과 지리적의 접근의 용이함이 지역적 활성화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재생을 위한 기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ason why industrial structure is changing, arrived so many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created. This social phenomena makes to us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the Museum or cultural space. And then this kinds of id...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ason why industrial structure is changing, arrived so many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created. This social phenomena makes to us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the Museum or cultural space. And then this kind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can carry over Urban Renaissance and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Nowadays, South Korea also Recovery and change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play actively, besides, already many cases of culture spaces used to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national pavilion of the case analysis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examine the necessary component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re is a purpose to prepare the future of basic data. (Method)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theory of value as a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space for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of playback. Before analyze Korean cases, we’d analyze international cases to got four categories, that is identity, conservativeness, society, environment. also we’d extract the keyword from previous research about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of playback. That keyword is historicity, symbolism, conservation structures, preservation material, community attribute, connectivity, placeless. We’ve use that analyzed four categories and eight keyword, to analyze South Korea’s cases. This chose areas are systematically related to municipality or renovated space. The identity-clear place that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can be a chosen case areas. The chosen case areas are space that is valued as a subject of analysis. These five case areas Jeongseon Samtanartmine, Yoon-dong-ju literary house, Kim-jung-up museum, Gwangmyeong epicycle art center, Incheon art platform will be researched. Now, we begin to analyze gallery characteristics with 8 keyword that broken down from precede thesis’ four classifications. (Result) Through the study, we can know that Samtanartmine has the best condition of identity and preservation. Yoon-dong-ju literary house have a good balance except preservation of materials. Kim-jung-up museum hav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tensively. Gwangmyeong upicycle art center have good at social connectivity and community attribute, Incheon Art platform have high quality at social connectivity and environment. (Conclus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the exhibition hall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utilized, identity,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field of preservation, the environment,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that gives society in the field and each other to the impact It was analyzed. In the highly conserved Exhibition Hall, the historic property itself has been used as an element of the exhibition. These elements constitute a strong identity of exhibition hall, by which, onlookers can know the history a symbol of previously used space, it was found that forming the identity constituting the pavilion . Also, ease of social cooperation with geographic access local governments has been found to result in activation of the region. This was found to be the basis for urban regene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진, "현대 미술관의 공간 구성 특성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공간구문론에 의한 분석을 통하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

      2 Park, r, "폐광산 재활용을 통한 도계 석탄 유리 체험 박물관 계획"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2011): 557-564, 2011

      3 김명옥, "폐건물의 재생에 의한 현대미술관의 운영전략과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29-38, 2009

      4 구자균, "정선지역 폐광을 활용한 석탄 박물관 계획에 관한 연구: 강원도 사북의 동원광업소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현주, "입지 유형에 따른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특성 연구 - 문화공간을 통한 소프트웨어적 활용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119-126, 2012

      6 Kim, s, "유휴자원의 관광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추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51-154, 2013

      7 박미라,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상하이 창의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3 (23): 33-41, 2014

      8 조연주,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사례 분석 - 테이트모던, 발틱 현대미술센터, 루르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59-68, 2011

      9 Cho, y,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도시재생 방안: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할 경우" 31 (31): 78-84, 2011

      10 문경진, "유휴 산업시설 컨버전의 장소성을 재구성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소진, "현대 미술관의 공간 구성 특성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공간구문론에 의한 분석을 통하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

      2 Park, r, "폐광산 재활용을 통한 도계 석탄 유리 체험 박물관 계획"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2011): 557-564, 2011

      3 김명옥, "폐건물의 재생에 의한 현대미술관의 운영전략과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29-38, 2009

      4 구자균, "정선지역 폐광을 활용한 석탄 박물관 계획에 관한 연구: 강원도 사북의 동원광업소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현주, "입지 유형에 따른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특성 연구 - 문화공간을 통한 소프트웨어적 활용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119-126, 2012

      6 Kim, s, "유휴자원의 관광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추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51-154, 2013

      7 박미라,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상하이 창의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3 (23): 33-41, 2014

      8 조연주,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사례 분석 - 테이트모던, 발틱 현대미술센터, 루르박물관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59-68, 2011

      9 Cho, y,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도시재생 방안: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할 경우" 31 (31): 78-84, 2011

      10 문경진, "유휴 산업시설 컨버전의 장소성을 재구성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1 송지연,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본 유휴공간의 문화적 활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12 김경환, "문화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 구도심 재생의 관점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13 오동훈, "문화공간 조성을 활용한 선진 도시재생 성공사례 비교 연구 - 밴쿠버 그랜빌아일랜드와 베를린 쿨트어브로이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3 (23): 175-197, 2010

      14 김현주, "문화공간 조성 사례에 나타나는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 유휴 산업시설의 건축물 재활용 계획 방법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9 (29): 83-92, 2013

      15 이소영, "리모델링을 통한 한국 근대건축물의 특성보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16 조연주,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 문화공간으로 컨버전한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7 김지은,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리노베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705-714, 2014

      18 Lee, Hyunah, "다층적 기억: 재생의패러다임과 메모리얼 건축의 변화 양상 - 윤동주문학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9 유희정, "근대산업유산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8 (8): 85-9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