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에 대한 무상 교육 및 보육 정책에 따라 장애 영유아들이 점차 더 많이 일반기관에 통합되어 교육과 보육 서비스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나 프로그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35972
2010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28(24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장애아에 대한 무상 교육 및 보육 정책에 따라 장애 영유아들이 점차 더 많이 일반기관에 통합되어 교육과 보육 서비스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나 프로그램...
장애아에 대한 무상 교육 및 보육 정책에 따라 장애 영유아들이 점차 더 많이 일반기관에 통합되어 교육과 보육 서비스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나 프로그램 운영 지침이 없어서 담당 교사들은 장애 영유아를 보육(교육)하는 데, 즉 통합 실행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4개 기관에서 317명의 교사(어린이집 교사 162명, 유치원 교사 155명)를 중심으로, 장애아 통합 실행에 주요 영향 요인인 통합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실제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를 비교해 보고, 교사변인에 따른 장애아 통합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의 통합 신념 및 실제에 주요 영향 요인인 현직 연수 욕구 종류와 형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에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에 대한 실제에 차이에는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재직 연수에 있어서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재직연수가 6년 이상 되는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학력이 높을수록 장애아 통합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경험과 연수경험에 따라 장애아 통합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실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가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현직연수 내용은 장애아 진단 및 평가, 행동지도, 부모 및 전문가와 협력하기 순으로 나타났고, 연수 형태는 개별적인 지원, 소그룹 지도, 오프라인 워크숍 등의 실질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education policy changes, increasing number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attending inclusive programs. Teachers in these settings need to have corresponding beliefs and skills so that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an succeed w...
Due to education policy changes, increasing number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attending inclusive programs. Teachers in these settings need to have corresponding beliefs and skills so that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an succeed with their peers. And it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inclusion efforts to continue to build a knowledge base about teachers’ abilities and training needs in this area. So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beliefs, skills, background causes and training needs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Pre-K teachers regarded as the importantaffecting factors in preschool inclusive implement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e background informations, beliefs, skills, and training needs with two group teachers. In this study, the 162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155 Pre-K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Seoul and Kyung-gi Do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 beliefs,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showed the higher than the Pre-K teachers. Second, in skills, the Pre-K teachers showed the higher than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Third, in background causes, the academic attainments, the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 amount of inservice training yielded different results.
Fourth, to provide optimal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wanted the inservice training in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ehavior management, and corporation with family and other practitioners. They wished to receive the inservice training by individual support, small group guidance, and off-line workshop.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e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희,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태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2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보건과 2004
3 김주혜,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이 통합학습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김수진, "통합유아 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5 신영애,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및 태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4
6 정영미, "통합교육 경험에 따른 어린이집 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노지영, "통합 유아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모형개발연구: 유치원 교원의 요구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8 유영미,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및 효율적 운영방안 모색"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박정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0 편민아, "장애유아 통합학급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 김명희,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태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2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보건과 2004
3 김주혜,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이 통합학습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김수진, "통합유아 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5 신영애,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및 태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4
6 정영미, "통합교육 경험에 따른 어린이집 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광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노지영, "통합 유아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모형개발연구: 유치원 교원의 요구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8 유영미, "초등학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및 효율적 운영방안 모색"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박정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0 편민아, "장애유아 통합학급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1 조윤경, "장애유아 통합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및 실행과정에서의 역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97-318, 2003
12 김혜련,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사양성기관의 교과목 실태 연구" 10 (10): 161-172, 2001
13 류시내, "장애유아 통합교육에서 유아교사의 역할 인식과 보수교육 요구조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박말숙,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5 김세영,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따른 교사 역할 지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16 오영옥,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유아교사와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7 이승기, "장애아보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정비 방안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008
18 이원재,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박지영, "장애 유아 통합교육에서 유치원 일반 학급 교사의 지원요구 조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 대학원 2003
20 김은영,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 내실화 방안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21 김은주, "자기결정기술 교수전략에 대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수준"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2 윤학숙,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조기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조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3 정미란,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이경미, "유치원 통합교육 담당교사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이소현, "유치원 교사 양성 교수들의 장애유아 통합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12 : 37-60, 1995
26 장영숙,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수 효능감과 총체적 언어교수법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3-43, 2004
27 오선영, "유아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른 역할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수행간의 차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55-179, 2002
28 보건복지부, "보육지침" 보건복지부 2004
29 고은순, "발달지체 영·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민간 어린이집 시설장의 태도 및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30 최미숙, "교사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9-47, 2004
31 이영숙, "경도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유아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2 조성연, "경도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태도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33 Deborah, P., "The Gap Between Beliefs and Practic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s Perceptions About Inclusion" 2008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 감수성 증진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
함께하는 협동학습(Learning Together)에 기초한 자연친화 탐구활동 구성 및 적용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5-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6 | 1.72 | 1.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