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세법률관계의 기초가 되는 사법상 법률관계 = Legal Relation of Civil Law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Tax Law Concern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11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세봉건사회로부터 근대시민사회로서의 출발은 정치적으로는 시민사회를,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의 탄생을 의미하여 근대 민법의 출현과 함께 근대 조세국가는 탄생하게 되었으며, 토지를 중심으로 하는 중세봉건사회에서의 토지수확물은 더 이상 세원의 자리에 머물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세법이 세원으로 파악하고 있는 경제거래ㆍ경제활동은 1차적으로 사법에 의해 규율되고, 2차적으로 세법의 적용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세법상 과세 요건을 판단함에 있어서 민법상 법률요건이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세법은 사법상의 권리변동 과정을 착안하여 세원을 인식하고 조세채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므로 조세법은 필연적으로 사법분야에서 생성ㆍ발전된 개념을 원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입법자는 세법상 과세요건에 민법의 법률요건을 차용할 수밖에 없고, 세법상 과세요건의 충족으로 인한 조세채무의 발생은 결국 민법상 법률요건을 규명해야 하는 속성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세채무도 조세법이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경제인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이 결여된 조세법은 합리적인 의사결정 자체를 어렵게 한다.
      합리적인 경제인이라면 그 의사결정 가운데 조세문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없고 조세법이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구비하고 있을 때 비로소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조세법에 의하여 시민의 사적자치의 원리가 간접적으로 제한받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조세법 최고의 기본원리는 국민의 경제생활에 있어서의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보장하고 나아가 사법질서를 깨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헌법을 정점으로 한 전체 법질서와 조화를 이루도록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법적안정성의 문제는 빈번한 조세법의 개정으로 납세자가 개정된 내용을 파악하여 따라가기 어렵다는 데서도 그 원인이 있으며 이는 바다에서 배의 항해를 도와주는 등대의 역할에 비유할 수 있다. 등대의 위치를 자주 바꾸는 때에는 등대의 기능은 저하된다. 등대의 위치가 자주 바뀌거나 불빛이 선명하지 못하면 바다의 배는 표류하게 되고 때로는 좌초하게 될 것이다. 이런 면에서 예측가능성의 문제는 법적안정성의 문제와 表裏關係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세법과 사법과의 관계를 정확히 인식하여 입법에 반영할 때 비로소 조세법률주의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번역하기

      중세봉건사회로부터 근대시민사회로서의 출발은 정치적으로는 시민사회를,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의 탄생을 의미하여 근대 민법의 출현과 함께 근대 조세국가는 탄생하게 되었으며, 토지...

      중세봉건사회로부터 근대시민사회로서의 출발은 정치적으로는 시민사회를,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의 탄생을 의미하여 근대 민법의 출현과 함께 근대 조세국가는 탄생하게 되었으며, 토지를 중심으로 하는 중세봉건사회에서의 토지수확물은 더 이상 세원의 자리에 머물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세법이 세원으로 파악하고 있는 경제거래ㆍ경제활동은 1차적으로 사법에 의해 규율되고, 2차적으로 세법의 적용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세법상 과세 요건을 판단함에 있어서 민법상 법률요건이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세법은 사법상의 권리변동 과정을 착안하여 세원을 인식하고 조세채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므로 조세법은 필연적으로 사법분야에서 생성ㆍ발전된 개념을 원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입법자는 세법상 과세요건에 민법의 법률요건을 차용할 수밖에 없고, 세법상 과세요건의 충족으로 인한 조세채무의 발생은 결국 민법상 법률요건을 규명해야 하는 속성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세채무도 조세법이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경제인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이 결여된 조세법은 합리적인 의사결정 자체를 어렵게 한다.
      합리적인 경제인이라면 그 의사결정 가운데 조세문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없고 조세법이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구비하고 있을 때 비로소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조세법에 의하여 시민의 사적자치의 원리가 간접적으로 제한받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조세법 최고의 기본원리는 국민의 경제생활에 있어서의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보장하고 나아가 사법질서를 깨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헌법을 정점으로 한 전체 법질서와 조화를 이루도록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법적안정성의 문제는 빈번한 조세법의 개정으로 납세자가 개정된 내용을 파악하여 따라가기 어렵다는 데서도 그 원인이 있으며 이는 바다에서 배의 항해를 도와주는 등대의 역할에 비유할 수 있다. 등대의 위치를 자주 바꾸는 때에는 등대의 기능은 저하된다. 등대의 위치가 자주 바뀌거나 불빛이 선명하지 못하면 바다의 배는 표류하게 되고 때로는 좌초하게 될 것이다. 이런 면에서 예측가능성의 문제는 법적안정성의 문제와 表裏關係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세법과 사법과의 관계를 정확히 인식하여 입법에 반영할 때 비로소 조세법률주의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formation of medieval feudal society to modern society meant the birth of civil society politically and market economy economically and it enabled growth of modern tax nation based on civil law as land crop centered around medieval feudal society can no longer form appropriate tax base.
      Economic transaction and activities which current tax law defines as tax base is, first, regulated by civil law and secondly it is object of tax law. This implies that the decision on tax requisition closely relates civil law requisition. Because tax law recognizes tax base and brings about tax obligation by perceiving the change of right, it cannot help but to invoke concepts which are created and developed on civil law area.
      Therefore, legislators have no choices but to borrow civil law requisition and 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tax obligation that satisfies tax requisition eventually needs to fulfill civil law requisition.
      Such tax obligation allows rational economic decision making when it is endowed with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n the other hand, tax law without this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tself hinders rational economic decision because any rational economic agent must consider tax consequence of his/her decision.
      It is not desirable for civil autonomy is indirectly disturbed by tax law.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tax law is to secur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n people's economic life and ultimately it needs to be in harmony with whole legal system with the Constitution being in summit without leading to legal disorder.
      The problem of legal instability lies in frequent tax law amendments which result on taxpayers inability to follow the details of ever-changing regulations. This can be compared to a lighthouse that helps ships' navigation in sea. When a lighthouse's position changes frequently, its ability to guide reduces dramatically. If a lighthouse's position changes repeatedly and the light is not bright, ships will drift and sometimes strand.
      From such perspectives, predictability forms inside and outside together with legal stability. When one can recognize correctly the relation between tax law and civil law and reflect it appropriately in legislation, he/she will accomplish both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which tax law ultimately aims at.
      번역하기

      The transformation of medieval feudal society to modern society meant the birth of civil society politically and market economy economically and it enabled growth of modern tax nation based on civil law as land crop centered around medieval feudal soc...

      The transformation of medieval feudal society to modern society meant the birth of civil society politically and market economy economically and it enabled growth of modern tax nation based on civil law as land crop centered around medieval feudal society can no longer form appropriate tax base.
      Economic transaction and activities which current tax law defines as tax base is, first, regulated by civil law and secondly it is object of tax law. This implies that the decision on tax requisition closely relates civil law requisition. Because tax law recognizes tax base and brings about tax obligation by perceiving the change of right, it cannot help but to invoke concepts which are created and developed on civil law area.
      Therefore, legislators have no choices but to borrow civil law requisition and 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tax obligation that satisfies tax requisition eventually needs to fulfill civil law requisition.
      Such tax obligation allows rational economic decision making when it is endowed with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n the other hand, tax law without this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tself hinders rational economic decision because any rational economic agent must consider tax consequence of his/her decision.
      It is not desirable for civil autonomy is indirectly disturbed by tax law.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tax law is to secur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n people's economic life and ultimately it needs to be in harmony with whole legal system with the Constitution being in summit without leading to legal disorder.
      The problem of legal instability lies in frequent tax law amendments which result on taxpayers inability to follow the details of ever-changing regulations. This can be compared to a lighthouse that helps ships' navigation in sea. When a lighthouse's position changes frequently, its ability to guide reduces dramatically. If a lighthouse's position changes repeatedly and the light is not bright, ships will drift and sometimes strand.
      From such perspectives, predictability forms inside and outside together with legal stability. When one can recognize correctly the relation between tax law and civil law and reflect it appropriately in legislation, he/she will accomplish both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which tax law ultimately aims a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조세법의 사법 의존성
      • Ⅲ. 사적자치의 원칙과 조세법의 관계
      • Ⅳ. 법률행위에 기초한 조세법률관계의 형성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조세법의 사법 의존성
      • Ⅲ. 사적자치의 원칙과 조세법의 관계
      • Ⅳ. 법률행위에 기초한 조세법률관계의 형성
      • Ⅴ.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채, "현대세법의 기본문제(Ⅰ)"

      2 박윤흔, "최신행정법강의(상)" 박영사 2004

      3 곽윤직, "채권총론(수정판)" 박영사 2000

      4 곽윤직, "채권각론(신정판)" 박영사 1998

      5 송쌍종, "조세법론(조세법의 논리체계)" 법원사 1991

      6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04

      7 김완석, "소득세법론" 광교이택스 2008

      8 최명근, "세법학총론" 세경사 2002

      9 홍광식, "세법과 사법" 법원행정처 25 : 1994

      10 최명근, "세무행정개혁론" 세경사 2004

      1 김현채, "현대세법의 기본문제(Ⅰ)"

      2 박윤흔, "최신행정법강의(상)" 박영사 2004

      3 곽윤직, "채권총론(수정판)" 박영사 2000

      4 곽윤직, "채권각론(신정판)" 박영사 1998

      5 송쌍종, "조세법론(조세법의 논리체계)" 법원사 1991

      6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04

      7 김완석, "소득세법론" 광교이택스 2008

      8 최명근, "세법학총론" 세경사 2002

      9 홍광식, "세법과 사법" 법원행정처 25 : 1994

      10 최명근, "세무행정개혁론" 세경사 2004

      11 최명근, "부가가치세법론" 세경사 2004

      12 이성식, "부가가치세법 해설"

      13 김주수, "민법총칙(제4판)" 삼영사 1997

      14 곽윤직, "민법총칙(수정판)" 박영사 2000

      15 정병용, "민법과 세법" 영화조세통람사 2006

      16 이전오, "납세자를 위한 사법적 구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9

      17 新井隆一, "納稅の立場と課稅の立場" 成文堂 1980

      18 淸永敬次, "稅法(第6版)"

      19 金子, "租稅法(第9版)" 弘文堂 2003

      20 田中 治, "現代行政の特質論と租稅救濟"

      21 北野弘久, "現代稅法事典(第2版)" 中央經濟社 1993

      22 Tipke, K, "Steuerrecht"

      23 Walz, W.R, "Steuergerechtigkeit und Rechtsanwendu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3 0.85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