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지 시기 어문운동의 결산으로서의 『文章』(1) = “Munjang” as the determinative factor for the Language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2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and the determinative role of the magazine “Munjang” and its connection to the Language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era. The author also explores the magazine’s connection with the compilation of ...

      This article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and the determinative role of the magazine “Munjang” and its connection to the Language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era. The author also explores the magazine’s connection with the compilation of “Malmoi” by the Gemyong-Gurak-Boo(啓明俱樂部) and the aspects inherited by the Joseon Gwangmunhoe(朝鮮語學會); as well as the Archiving of the Joseon language from the 1910s through the late 1930s. Assuming that the Joseon Language Movement is closely linked to the development and achievements of the Joseon Literature, the author evaluates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Munjang” as the common ground for cooperation between literary scholars and literary figures. Thus, through the modern system of magazin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Munjang” provided the necessary medium for gathering the achievements not only of Joseon’s current language and literature, but also its artworks, the previous era’s Oral Literature, Joseon Studies(朝鮮學) and Language. Furthermore, when linked to the Language Movement, such a collection is a proof that “Munjang” had a significant importance and was like a ‘Gotganjigi’-a guardian of Joseon’s language. Finally, by examining Lee Yoon-jae’s “Dogangrok”(渡江錄) and Baekseok’s poem “in Bukbang北方”(In the North), the paper highlights the creative process not as an isolated product of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a writer, but rather as a as a product of a stable language environment and academic approach which had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a literary langu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광문회의 「말모이」 편찬 사업이 계명구락부로 이어지고, 조선어학회로 계승되는 측면과 함께, 1910년대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조선어 아카이빙 작업이 수행된 과정에 관심...

      이 논문은 조선광문회의 「말모이」 편찬 사업이 계명구락부로 이어지고, 조선어학회로 계승되는 측면과 함께, 1910년대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조선어 아카이빙 작업이 수행된 과정에 관심을 가지면서, 식민지 시기 어문운동의 결산으로서 『문장』誌의 의의를 묻는 연구 기획의 출발점에 해당한다. 조선어 어문운동은 조선 문학의 성과 및 발전과 긴밀하게 연동되어 있다는 것을 길잡이로 하여, 어문학자와 문학인의 모범적인 공조를 통해 조선어와 조선 문학의 자산이 결집된 장으로, 『문장』誌의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매체로서 『문장』은 잡지 출판 및 유통이라는 근대적 제도를 통해, 조선의 언어와 문학, 그리고 예술품과 이전 시대의 구술 문학, 조선학 및 어학 관련 성과를 모았고, 또 그러한 성과들이 『문장』에 모일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다. 이와 같은 모음(集)은 어문운동과 연결지을 때, 『문장』이 조선어의 곶간지기이자, 채집가로서의 역할에 얼마나 충실했었는지를 입증한다. 무엇보다 이윤재의 「도강록(渡江錄)」 주역과 백석의 「북방에서(北方에서)」는 작가의 창작 과정 전체가 작가 홀로 모든 채집을 감당해야 하는 고립된 작업이 아니라, 안정된 어문 환경과 학적 토대가 문학어 생산에 기여한 사례로 의미화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승환, "황석영 문학의 언어와 양식 연구" 서울대학교 2016

      2 "한글"

      3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현암사 2005

      4 김동식, "한국의 근대적 문학 개념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5 고영근, "한국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6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2001

      7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일지사 1995

      8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99

      9 손유경, "한국 문학사의 새로운 가능성" 22-38, 2019

      10 유봉근,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매체 이론- 문예학과 매체학의 상상력" 한국독일언어문학회 (43) : 301-317, 2009

      1 유승환, "황석영 문학의 언어와 양식 연구" 서울대학교 2016

      2 "한글"

      3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현암사 2005

      4 김동식, "한국의 근대적 문학 개념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5 고영근, "한국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6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2001

      7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일지사 1995

      8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99

      9 손유경, "한국 문학사의 새로운 가능성" 22-38, 2019

      10 유봉근,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매체 이론- 문예학과 매체학의 상상력" 한국독일언어문학회 (43) : 301-317, 2009

      11 Nietzsche, Friedrich Wilhelm,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14

      12 정승철, "조선어학회와 ≪신민≫"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0 : 21-40, 2015

      13 문혜윤, "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강화(講話)’로서의 『문장』" 한국근대문학회 1 (1): 41-66, 2009

      14 문혜윤, "조선어 문장 형성 연구의 향방 『문장강화』연구사" 상허학회 42 : 93-121, 2014

      15 이봉범, "잡지 『문장』의 성격과 위상" 반교어문학회 (22) : 105-137, 2007

      16 조윤정, "작문수업과 문예부, 문학청년의 망탈리테" 상허학회 34 : 11-54, 2012

      17 최경봉,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활동의 역사적 의미" 민족문학사학회 (31) : 408-433, 2006

      18 방민호, "일제 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예옥 2011

      19 박진숙, "이태준의 언어의식과 근대적 글쓰기의 場" 한국근대문학회 (23) : 57-85, 2011

      20 야나가와 요스케, "이태준과 도자기 : 일본어 수필 「破片的な話(파편적인 이야기)」와 성북동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51 : 187-221, 2017

      21 이태준, "이태준 전집 2" 깊은샘 1988

      22 야나가와 요스케, "이순옥․아동문학․개성(開城) : 1930년대 이태준의 삶과 그 주변" 상허학회 54 : 291-322, 2018

      23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책과함께 2005

      24 서진영, "신인추천제에 나타난 『文章』의 시적 지향 -시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30) : 227-258, 2010

      25 권두연, "신문관의 출판기획과 문화운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26 김윤경, "식민지시기 고전주의 운동과 전통담론 - 1920년대 국민문학과 1930년대 『문장』파 상고주의의 전통담론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701-722, 2018

      27 손유경, "슬픈 사회주의자-미학적 실천으로서의 한국 근대 문학" 소명출판 2016

      28 "석인 선생을 추모하며–영생여고 제자 좌담회" 국립국어연구원 8 (8): 136-161, 1998

      29 Anderson, Benedict R. O’G, "상상된 공동체 : 민족주의의 기원과 보급에대한 고찰" 길 2018

      30 야나가와 요스케, "백양당 연구 -인곡 배정국의 삶과 문학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50) : 67-103, 2018

      31 백석, "백석 전집" 실천문학사 2001

      32 고영근,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 제이엔씨 2004

      33 황종연, "문장파(文章派)문학(文學)의 정신사적(精神史的)성격(性格)" 동악어문학회 21 : 91-144, 1986

      34 이명희, "문장이 보여준 ‘전통’의 의미와 의의" 상허학회 4 : 383-406, 1998

      35 이철호, "동양, 제국, 식민주체의 신생-1930년대 후반 김남천과 김사량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11 (11): 297-316, 2003

      36 차혜영, "동아시아 지역표상의 시간ㆍ지리학-『문장』의 기행문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1 (1): 123-162, 2009

      37 신범순, "노래의 상상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1

      38 김효재, "김소월 시의 사상적 배경 연구 : 오산학교의 이상향 추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9 김기림, "김기림 전집 5" 심설당 1988

      40 박진숙, "기획 : 우리말 문장과 문장론 ; 이태준 문장론의 형성과 근대적 글쓰기의의미" 시학과 언어학회 6 : 135-165, 2003

      41 Kittler, Friedrich A, "기록시스템 1800․1900" 문학동네 2016

      42 최경봉, "근대적 언어관의 전개와 국어정립이라는 과제의 인식 양상: 한국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58) : 231-269, 2012

      43 최시한, "국문운동과 문장강화" 시학과 언어학회 6 : 115-133, 2003

      44 임상석, "고전의 근대적 재생산과 최남선의 국한문체 글쓰기「조선광문회고백(朝鮮光文會告白)」 검토" 민족문학사학회 (44) : 514-547, 2010

      45 박진숙, "가람의 국학운동과 이태준 - ‘조선어’ 문학의 구상" 한국현대문학회 (43) : 295-327, 2014

      46 윤석민, "가람 이병기의 어문운동과 어문연구 : 가람日記를 중심으로" 애산학회 40 : 173-214, 2014

      47 "風林"

      48 "靑春"

      49 김명호, "陶南의 생애와 학문" 한국고전문학회 (27) : 23-68, 2005

      50 "詩와小說"

      51 韓國新聞硏究所, "言論祕話50篇–元老記者들의 直筆手記" 社團法人韓國新聞硏究所 1978

      52 "朝鮮文壇"

      53 "朝鮮中央日報"

      54 "朝光"

      55 "新生"

      56 "文章"

      57 박순원, "『문장』의 신인 추천제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1 (1): 67-94, 2009

      58 김동환, "『문장(文章)』지와 국어교육" 한국근대문학회 1 (1): 7-40, 2009

      59 박슬기, "《문장》의 미적 이념으로서의 《문장》 -김용준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3) : 215-229, 2009

      60 이응호, "≪계명구락부≫의 조선어 사전 엮기" 명지대학교 11 : 105-136, 1978

      61 차혜영, "‘조선학’과 식민지 근대의 ‘지(知)’의 제도 - 『문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41 : 505-533, 2005

      62 배개화, "<문장강화>에 나타난 문장(文章) 의식" 한국현대문학회 (16) : 417-442, 2004

      63 윤대석, "1940년을 전후한 조선의 언어 상황과 문학자" 한국근대문학회 4 (4): 147-175, 2003

      64 배개화, "1930년대 후반 전통담론의 탈식민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5 문혜윤, "1930년대 어휘의 장과 문학어의 계발" 상허학회 17 : 169-194, 2006

      66 여태천, "1930년대 어문운동과 조선문학의 가능성" 민족어문학회 0 (0): 263-296, 2007

      67 배개화, "1930년대 말 치안유지법을 통해 본 조선 문학 -조선문예부흥사 사건과 조선 문학자들-" 한국현대문학회 (28) : 205-241, 2009

      68 배개화, "1930년대 말 '조선' 문인의 '조선어'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우리말글학회 33 : 333-362, 2005

      69 문혜윤, "1930년대 국문체의 형성과 문학적 글쓰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70 황종연, "1930년대 고전부흥운동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문학연구소 (11) : 217-260, 1988

      71 이경현, "1910년대 신문관의 문학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