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이천(姜彛天)의 「한경사(漢京詞)」에 나타난 18세기 서울 = 궁중행사, 군사훈련, 문인 관료의 삶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姜彛天의 「漢京詞」 160수 중 그간 다루지 않았던 궁중행사, 군사훈련, 문인 관료의 삶에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여하여 18세기 서울의 풍경을 조망하였다. 강이천은 줄곧 安山에 살...

      본고는 姜彛天의 「漢京詞」 160수 중 그간 다루지 않았던 궁중행사, 군사훈련, 문인 관료의 삶에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여하여 18세기 서울의 풍경을 조망하였다.
      강이천은 줄곧 安山에 살다가 성균관에 입학하면서 본격적으로 서울 생활을 맛본다. 그는 직접 보고들은 서울 풍경 중에 강렬한 인상을 받은 것들을 시로 읊었는데, 본고가 집중한 부분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궁중행사 중에는 왕의 거둥과 관련된 것이 많다. 정조가 현륭원·사직단·경모궁·관왕묘 등에 행차한 것을 시로 읊었고, 貞純王后의 尊號 봉정식이나 과거시험의 거행과 합격자 발표 등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다음으로 군사훈련 중에는 도성 근처에서 진행된 대규모 군사훈련은 물론이고, 고위 무관의 행차를 통해 본 장군의 위용, 十八技를 익히는 군인, 廣通橋에서 준마를 훈련하는 모습 등을 포착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인 관료의 삶은 강이천의 처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영역인데, 그는 관료들이 출근하고 휴가가고 전별연을 여는 모습을 포착하여 시로 읊었고, 延祥詩 창작이나 사신 행렬, 하급 관료의 고단한 삶도 함께 묘사하였다.
      서울을 대표하는 도시적 특성은 首都로서의 상징성에 있으며, 그 상징성은 왕실을 배경으로 한 인간군상과 문화를 통해 가장 돋보인다. 본고가 집중한 「한경사」는 당시 궁궐 안팎에서 벌어졌던 수많은 왕실 행사, 궁궐을 호위하기 위해 삼엄하고도 분주히 활동했던 무인들의 위용, 궁궐을 드나들며 정사를 펼쳤던 문인 관료들의 모습을 작가의 세밀한 관찰력과 함축적인 시적 형상화를 통해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에서 간과했던 18세기 수도 서울의 풍모와 실상을 보여주고, 「한경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surveyed the scenary of Seoul in the 18th century focusing on ritual events, military training, and the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To do this, I reconsidered Hangyungsa written by Kang I-chun. Kang I-chun had lived in Ansan unti...

      In this paper, I surveyed the scenary of Seoul in the 18th century focusing on ritual events, military training, and the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To do this, I reconsidered Hangyungsa written by Kang I-chun.
      Kang I-chun had lived in Ansan until he entered Seonggyungwan, the best educational institution at that time. Staying in Seoul, he composed poems about the scenary around Seonggyungwan and palace. In particular, he noted on ritual events, military training, and the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First, he was interested in the royal progress. He wrote poems about Hyeonryungwon, Sajikdan, Kyungmogung, Kwanwangmyo while King Jeongjo visited those places. He also paid attention to dedication ceremony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Second, he was interested in the military things. He captured the scene of military training, military officers, and gallant soldiers.
      Third, he observed the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This part is very relevant to Kang I-chun, as he also was a nobleman. He depict in vivid colors the scenes and manners of government offici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궁중행사
      • Ⅲ. 군사훈련
      • Ⅳ. 문인 관료로서의 삶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궁중행사
      • Ⅲ. 군사훈련
      • Ⅳ. 문인 관료로서의 삶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裕元, "林下筆記"

      2 "한국고전종합DB"

      3 주지영, "중암 강이천의 문학관과 〈漢京詞〉" 동아시아고대학회 (43) : 7-36, 2016

      4 강경훈, "중암 강이천 문학 연구 : 18C 근기 남인·소북문단의 전개와 관련하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5 김준혁, "조선 정조대 장용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6 한영우, "정조대왕 화성행행 반차도" 효형출판 2001

      7 방현아, "강이천과 「漢京詞」" 민족문학사학회 5 : 194-224, 1994

      8 姜彛天, "重菴稿 冊1"

      9 方賢娥, "重菴 姜彛天의 『漢京詞』 연구 : 18세기 서울의 도시적 양상의 형상화"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4

      10 柳本藝, "漢京識略"

      1 李裕元, "林下筆記"

      2 "한국고전종합DB"

      3 주지영, "중암 강이천의 문학관과 〈漢京詞〉" 동아시아고대학회 (43) : 7-36, 2016

      4 강경훈, "중암 강이천 문학 연구 : 18C 근기 남인·소북문단의 전개와 관련하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5 김준혁, "조선 정조대 장용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6 한영우, "정조대왕 화성행행 반차도" 효형출판 2001

      7 방현아, "강이천과 「漢京詞」" 민족문학사학회 5 : 194-224, 1994

      8 姜彛天, "重菴稿 冊1"

      9 方賢娥, "重菴 姜彛天의 『漢京詞』 연구 : 18세기 서울의 도시적 양상의 형상화"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4

      10 柳本藝, "漢京識略"

      11 正祖, "弘齋全書"

      12 정우봉, "姜彛天의 『漢京詞』에 대하여: 18세기 서울의 시적 형상화" 일지사 20 : 26-51,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