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 식공간 연출 색상에 관한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Colors for Dining Space Creation In Tokyo Dome Tableware Festival: 2012 ~ 2014 Award Win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07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정부에서 MICE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려고 하는데, 외식산업분야의 전시회는 단발성 행사에 그치고 있다. 외식산업분야에서의 성공사례인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를 살펴보고, 전시회의 수상작품들을 통해 컬러트렌드를 예측하여, 외식산업분야의 식공간 연출의 트렌드 색상을 유추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의 구성을 살펴보고, 식공간 연출 전시작품 중 수상작품들의 공간 연출의 색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김인화(2004)의 메뉴의 색채 배색에 관한 연구와 김지영ㆍ나정기(2007) 레스토랑 푸드 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에서의 색상 분석 틀을 참고하여 색상 분석을 하였다. 색 샘플 선정은 그래픽 포토샵을 이용하여, RGB값을 얻은 후 이것을 인쇄상의 값인 CMYK값으로 지정하여 분석했으며, 수상작품들의 사진에서 색상을 추출하고, RGB (적색ㆍ녹색ㆍ청색)색상표로 비교하고, RGB코드 추출 프로그램을 통하여, 식공간 연출 수상작품들의 RGB값과 CMYK값을 작성하였다. 식공간 연출 수상작품들의 색상을 추출한 결과 작게는 3가지 색상, 많게는 5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작품을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색상들의 면적비를 비교하여,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의 수상작품들의 색상들을 분석하고, 수상작품들의 색상들의 빈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3년간의 수상작품들의 색상을 통하여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 식공간연출 수상작품들의 색상 비교한 결과 난색과 한색의 사용 빈도는 비슷했지만, 면적비에서는 난색의 비율이 3배정도 되었다. 고명도와 저명도를 비교하면, 고명도의 컬러들이 주류를 이룬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연구의 목적은 정부에서 MICE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려고 하는데, 외식산업분야의 전시회는 단발성 행사에 그치고 있다. 외식산업분야에서의 성공사례인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를 살...

      연구의 목적은 정부에서 MICE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려고 하는데, 외식산업분야의 전시회는 단발성 행사에 그치고 있다. 외식산업분야에서의 성공사례인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를 살펴보고, 전시회의 수상작품들을 통해 컬러트렌드를 예측하여, 외식산업분야의 식공간 연출의 트렌드 색상을 유추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의 구성을 살펴보고, 식공간 연출 전시작품 중 수상작품들의 공간 연출의 색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김인화(2004)의 메뉴의 색채 배색에 관한 연구와 김지영ㆍ나정기(2007) 레스토랑 푸드 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에서의 색상 분석 틀을 참고하여 색상 분석을 하였다. 색 샘플 선정은 그래픽 포토샵을 이용하여, RGB값을 얻은 후 이것을 인쇄상의 값인 CMYK값으로 지정하여 분석했으며, 수상작품들의 사진에서 색상을 추출하고, RGB (적색ㆍ녹색ㆍ청색)색상표로 비교하고, RGB코드 추출 프로그램을 통하여, 식공간 연출 수상작품들의 RGB값과 CMYK값을 작성하였다. 식공간 연출 수상작품들의 색상을 추출한 결과 작게는 3가지 색상, 많게는 5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작품을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색상들의 면적비를 비교하여,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의 수상작품들의 색상들을 분석하고, 수상작품들의 색상들의 빈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3년간의 수상작품들의 색상을 통하여 도쿄돔 테이블웨어 전시회 식공간연출 수상작품들의 색상 비교한 결과 난색과 한색의 사용 빈도는 비슷했지만, 면적비에서는 난색의 비율이 3배정도 되었다. 고명도와 저명도를 비교하면, 고명도의 컬러들이 주류를 이룬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is heavily nurturing the MICE industry and unfortunately, exhibitions in the dining industry remain to be one-off events. Since Tokyo Dome Tableware Festival is a highly successful exhibition in the dining industry, winners of the festival award will help predict color trend to come and thus foresee what colors would become in vogue for dining space creation. In this study, previous festivals were reviewed to outline how the tableware festival was constructed and prize winning works among the displays for the dining space creation section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colors used for space creation. Color analysis is done by the analysis tool adopted in the study on the color arrangement of the menu by Inhwa Kim (2004) and the study on the restaurant food design by Ji-young Kim and Jeong-Ki Na (2007). Color samples were selected by converting RGB to CMYK values with the help of graphic Photoshop. Photos of prize winners provided colors to extract, which were compared in the RGB color chart, providing RGB and CMYK values through RGB code extraction program. In the color extraction, award winning works in the dining space creation used minimum 3 to 5 colors and their dominant and assort colors (Ji-young Kim, Jeong-Ki Na, 2006) were studied. Later, color area ratios were compared to analyze colors applied to the works of festival winners. The frequency of colors used in the award winning works for the past three years were studied to identify colors favored in the festival. In the analysis, warm and cold colors appeared in similar frequency, whereas warm colors predominated over cold three times with respect to area ratio. When it come to brightness, colors of high brightness were mainly used.
      번역하기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is heavily nurturing the MICE industry and unfortunately, exhibitions in the dining industry remain to be one-off events. Since Tokyo Dome Tableware Festival is a highly successful exhibition in the dining industry, win...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is heavily nurturing the MICE industry and unfortunately, exhibitions in the dining industry remain to be one-off events. Since Tokyo Dome Tableware Festival is a highly successful exhibition in the dining industry, winners of the festival award will help predict color trend to come and thus foresee what colors would become in vogue for dining space creation. In this study, previous festivals were reviewed to outline how the tableware festival was constructed and prize winning works among the displays for the dining space creation section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colors used for space creation. Color analysis is done by the analysis tool adopted in the study on the color arrangement of the menu by Inhwa Kim (2004) and the study on the restaurant food design by Ji-young Kim and Jeong-Ki Na (2007). Color samples were selected by converting RGB to CMYK values with the help of graphic Photoshop. Photos of prize winners provided colors to extract, which were compared in the RGB color chart, providing RGB and CMYK values through RGB code extraction program. In the color extraction, award winning works in the dining space creation used minimum 3 to 5 colors and their dominant and assort colors (Ji-young Kim, Jeong-Ki Na, 2006) were studied. Later, color area ratios were compared to analyze colors applied to the works of festival winners. The frequency of colors used in the award winning works for the past three years were studied to identify colors favored in the festival. In the analysis, warm and cold colors appeared in similar frequency, whereas warm colors predominated over cold three times with respect to area ratio. When it come to brightness, colors of high brightness were mainly u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선아, "텍스타일 제품의 베스트컬러 분석과 트렌드컬러 수용도 연구 : 2012 S/S∼2014 S/S B사 상위판매 제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2 김진숙, "테이블코디네이트" 백산출판사

      3 "조선일보"

      4 최숙희, "전시회의 물리적 환경이 참관객의 체험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5 운승원, "전시박람회 서비스스케이프가 감정반응 및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6 최재일, "일본의 도자식기 테이블웨어 연구 -제15회 동경 테이블웨어전을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4 (4): 99-114, 2008

      7 "연합뉴스"

      8 김인화, "업종별 메뉴의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4 (4): 15-24, 2009

      9 김인화, "메뉴의 색채 배색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5

      10 김지영, "레스토랑 푸드 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1 (1): 1-16, 2006

      1 최선아, "텍스타일 제품의 베스트컬러 분석과 트렌드컬러 수용도 연구 : 2012 S/S∼2014 S/S B사 상위판매 제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2 김진숙, "테이블코디네이트" 백산출판사

      3 "조선일보"

      4 최숙희, "전시회의 물리적 환경이 참관객의 체험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5 운승원, "전시박람회 서비스스케이프가 감정반응 및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6 최재일, "일본의 도자식기 테이블웨어 연구 -제15회 동경 테이블웨어전을 중심으로-" 한국도자학회 4 (4): 99-114, 2008

      7 "연합뉴스"

      8 김인화, "업종별 메뉴의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4 (4): 15-24, 2009

      9 김인화, "메뉴의 색채 배색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5

      10 김지영, "레스토랑 푸드 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1 (1): 1-16, 2006

      11 이유주, "레스토랑 유형별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2 (2): 35-44, 2007

      12 김용관, "기업과 전시회 마케팅" 백산출판사 2007

      13 정소영, "글로벌 감성 컬러마케팅을 위한 한국, 중국 트렌드컬러에 관한 비교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14 "국민일보"

      15 "국민일보"

      16 장혜진, "국내 전국 규모의 요리 경연대회에 관한 연구-2010년 경기도 대표 음식 발굴 경진대회 기획의 프로세스를 예로-" 한국식공간학회 7 (7): 1-11, 2012

      17 "http://www.tokyo-dome.co.jp/tableware/22"

      18 "http://www.tokyo-dome.co.jp/tableware/21"

      19 "http://www.tokyo-dome.co.jp/tableware/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11-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공간연구학회 -> 한국식공간학회
      영문명 : The Table & Food Coordinate of Korea(TFCK) -> The Table & Food Coordinate Society of Korea(TFCK)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88 0.91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