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블렌디드 협동학습에서 교직이수 대학생들의 교직선택동기수준과 수업만족도 간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between Teaching Job Selection Motivation Level and Cours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ho are in the Course of Teaching, in Blended Cooperative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6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는 블렌디드 협동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교직이수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직선택동기와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수업설계 방향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21-2학기 교직이론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교직이수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SPSS통계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분석하기 위한 t-검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종속변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Bootstrapping으로 유의성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이타적 교직선택동기 수준에 따라 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수업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내재적 교직선택동기는 사회적 실재감과 수업만족도에서, 외재적 교직선택동기는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수업만족도에 대한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유의미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셋째, 내재적 및 이타적 교직선택동기는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외재적 교직선택동기는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있다. 넷째, 교수실재감은 내재적 교직선택동기에 대한 부분매개효과를, 이타적 교직선택동기에 대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사회적 실재감은 내재적 및 이타적 교직선택동기에 대하여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의 동기와 실재감이 수업만족에 대한 매우 중요한 요인들이며, 특히 내재적, 이타적 교직선택동기를가진 학습자의 경우 실재감 수준을 높여줄 때 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온라인 수업설계가 필요함을 보고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이 연구는 블렌디드 협동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교직이수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직선택동기와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고 있...

      목적 이 연구는 블렌디드 협동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교직이수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직선택동기와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수업설계 방향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21-2학기 교직이론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교직이수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SPSS통계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분석하기 위한 t-검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종속변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Bootstrapping으로 유의성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이타적 교직선택동기 수준에 따라 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수업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내재적 교직선택동기는 사회적 실재감과 수업만족도에서, 외재적 교직선택동기는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수업만족도에 대한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유의미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셋째, 내재적 및 이타적 교직선택동기는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외재적 교직선택동기는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있다. 넷째, 교수실재감은 내재적 교직선택동기에 대한 부분매개효과를, 이타적 교직선택동기에 대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사회적 실재감은 내재적 및 이타적 교직선택동기에 대하여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의 동기와 실재감이 수업만족에 대한 매우 중요한 요인들이며, 특히 내재적, 이타적 교직선택동기를가진 학습자의 경우 실재감 수준을 높여줄 때 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온라인 수업설계가 필요함을 보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re effective online course design direction by analyzing whether a sense of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job selection motiv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in onlin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were 51 students i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in Semester 21-2.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altruistic motiv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Secon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on the class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ird, Intrinsic and altruistic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nd extrinsic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presence. Fourth, Teaching pres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and a fully mediating effect on altruistic motivation. Fifth, The social presence showed a fully mediating effect on intrinsic and altruistic motives.
      Conclusions In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learners' motivation and sense of presence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course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earners with intrinsic and altruistic motives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class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when the level of presence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online class that considers the learner's motivational type and level of presence.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re effective online course design direction by analyzing whether a sense of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job selection motiva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re effective online course design direction by analyzing whether a sense of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job selection motiv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in onlin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were 51 students i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in Semester 21-2.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altruistic motiv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Secon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on the class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ird, Intrinsic and altruistic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nd extrinsic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presence. Fourth, Teaching pres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and a fully mediating effect on altruistic motivation. Fifth, The social presence showed a fully mediating effect on intrinsic and altruistic motives.
      Conclusions In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learners' motivation and sense of presence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course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earners with intrinsic and altruistic motives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class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when the level of presence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online class that considers the learner's motivational type and level of pres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은주, "행복과 협력 상황에서의 친사회적 행동 : 이기적인 동기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2016

      2 김성덕 ; 김주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전공 대학생의 교수실재감, 온라인 수업 만족도, 인지된 학업 성취도 및 지속참여의사의 관계" 체육과학연구소 39 (39): 301-309, 2021

      3 이쌍철 ; 김혜영 ; 홍창남,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직무수행 및 교사만족에 주는 영향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239-260, 2012

      4 박희진 ; 이문수, "중학교 교사의 입직 동기에 따른 교직 만족도와 효능감이 교사의 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304-330, 2019

      5 김도연, "자기결정동기에 의한 초등학교 아동의 체육수업 참여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김규동 ; 고유정 ; 최고은 ; 박인우,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169-188, 2012

      7 박지혜 ; 이영선,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15-227, 2018

      8 정재삼,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16 (16): 107-135, 2000

      9 강명희 ; 김혜선 ; 이정민, "웹 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39-61, 2011

      10 김현진 ; 전종희,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연행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의 관계 분석"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0 (10): 209-228, 2014

      1 손은주, "행복과 협력 상황에서의 친사회적 행동 : 이기적인 동기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2016

      2 김성덕 ; 김주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전공 대학생의 교수실재감, 온라인 수업 만족도, 인지된 학업 성취도 및 지속참여의사의 관계" 체육과학연구소 39 (39): 301-309, 2021

      3 이쌍철 ; 김혜영 ; 홍창남,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직무수행 및 교사만족에 주는 영향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239-260, 2012

      4 박희진 ; 이문수, "중학교 교사의 입직 동기에 따른 교직 만족도와 효능감이 교사의 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304-330, 2019

      5 김도연, "자기결정동기에 의한 초등학교 아동의 체육수업 참여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김규동 ; 고유정 ; 최고은 ; 박인우,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169-188, 2012

      7 박지혜 ; 이영선,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15-227, 2018

      8 정재삼,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16 (16): 107-135, 2000

      9 강명희 ; 김혜선 ; 이정민, "웹 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39-61, 2011

      10 김현진 ; 전종희,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연행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의 관계 분석"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0 (10): 209-228, 2014

      11 이재은 ; 유병민 ; 박혜진,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지도학회 22 (22): 233-243, 2015

      12 권종실 ; 남창우, "온라인 협동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전략이 대학생의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9-38, 2018

      13 임지은 ; 이민혜,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32 (32): 461-485, 2020

      14 조주연,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성과와 사회적 실재감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5 표시영, "온라인 스트리밍 음악 페스티벌 참여자들의 이용 동기가 사회적 실재감, 몰입,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리의 무대를 지켜주세요(Wumuji)’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5 (65): 437-473, 2021

      16 김보경 ; 정선이, "예비 보건교사의 교직선택 동기, 교사효능감, 교직수업 만족도 연구: 교직선택 동기 그룹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9 (19): 61-70, 2018

      17 신혜숙 ; 박주형, "사회적 유용성에 기반한 교직선택동기가 초등교사의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원 40 (40): 215-238, 2020

      18 권성연,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정교화전략, 비판적 사고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27, 2015

      19 이정민 ; 윤석인,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자 동기, 교수실재감, 학습몰입의 예측력 검증" 교육연구소 12 (12): 141-166, 2011

      20 구희정, "사이버대학교 예비보육교사의 교직선택 동기 및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95-414, 2015

      21 이영 ; 박인우, "사이버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8 (28): 137-168, 2012

      22 한승욱, "사범대학 온라인 수업 우수 학습자 역량 모델링" 교육종합연구원 18 (18): 19-41, 2020

      23 박경원,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1 (21): 175-181, 2021

      24 이지혜 ; 이상민 ; 이수정 ; 박은혜, "대학생의 지연동기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1 (11): 479-497, 2014

      25 송윤정 ; 조규판, "대학생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61-77, 2016

      26 정한호, "대학 원격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에 관한 중요도 및실행도 분석" 영재교육연구소 11 (11): 199-228, 2021

      27 강정애 ; 이상수, "대학 교수의 온라인 수업 역량에 대한 교수 및 학생의 요구 분석" 한국미래교육학회 11 (11): 21-44, 2021

      28 정은교 ; 안도희, "교직이수 학생의 교직선택동기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교직선택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301-326, 2019

      29 Khalil, R., "The sudden transition to synchronized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audi Arabia :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medical students’perspectives" 20 (20): 1-10, 2020

      30 Robb, C. A., "The importance of social presence and motivation in distance learning" 31 (31): 2-8, 2014

      31 Batson, C. D., "The Oxford handbook of prosocial behavior" Oxford University Press 259-281, 2015

      32 Gray, J. A., "The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11 (11): EJ1103654-, 2016

      33 Turk, M., "Teaching and social presences supporting basic need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How can presences and basic needs happily meet online?" 180 : 104432-, 2022

      34 Barrot, J. S., "Students’ online learning challenges during the pandemic and how they cope with them : The case of the Philippines" 28 : 1-28, 2021

      35 Law, K. M. Y., "Student enrollment, motiv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teaching, and cognitive presence" 136 : 1-12, 2019

      36 Shroff, R. H., "Student e-learning intrinsic motivation : A qualitative analysis" 2007 (2007): 241-260, 2007

      37 Richardson, J. C., "Social presence in relation to students’ satisfaction and learning in the online environment : A meta-analysis" 71 : 402-417, 2017

      38 최은영 ; 신나민, "SNS 피로감이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5 (15): 373-382, 2020

      39 Hsu, H. -C. K., "Reexamining the impac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on learning outcomes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24 (24): 2159-2174, 2019

      40 Elvers, G. C., "Procrastination in online courses : Performance and attitudinal differences" 30 (30): 159-162, 2003

      41 Paixão, M. P., "Predicti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y fear of failure and self-regulation" 20 (20): 34-43, 2020

      42 Donitsa-Schmidt, 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 Teacher education in Israel in the Covid-19pandemic" 46 (46): 586-595, 2020

      43 Keegan, D., "On defining distance education" 1 (1): 13-36, 1980

      44 Artino, A. R., "Motivational beliefs and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quality : Predicting satisfaction with online training" 24 (24): 260-270, 2008

      45 Hartnett, M. K., "Motivation in online education" Springer 5-32, 2016

      46 Shea, P., "Learner Centered Theory and Practice in Distance Education" Lawrence Erlbaum 343-378, 2003

      47 Schunk, D. H.,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 regulated learning" 25 : 71-86, 1990

      48 Keller, J. M., "First principles of motivation to learn and e3-learning" 29 (29): 175-185, 2008

      49 Wong, J., "Facilitating goal setting and planning to enhance online self-regulation of learning" 124 : 106913-, 2021

      50 Moon, S., "Exploring the dynamic nature of procrastination :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38 : 297-309, 2005

      51 Akinsola, M. K., "Correlate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s" 3 : 363-370, 2007

      52 Ames C., "Classrooms :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84 : 261-271, 1992

      53 Brookhart, S. M.,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62 (62): 37-60, 1992

      54 김지원 ; 박영신 ; 김경이 ; 양길석, "COVID-19에 따른 대학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경험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80 : 33-58, 2021

      55 Akyol, Z., "Assessing metacognition in an online community of inquiry" 14 : 183-190, 2011

      56 Haines, R., "Activity awareness, social presence, and motivation in distributed virtual teams" 58 (58): 103425-, 2021

      57 Klassen, R. M.,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dergraduates : Low self-efficacy to self-regulate predicts higher levels of procrastination" 33 (33): 915-931, 2008

      58 Melgaard, J.,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196 : 117-124, 2022

      59 Gargari, R. B., "Academic procrastination :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al attribution styles and behavioral postponement" 5 (5): 76-72, 2011

      60 Artino, A. R., "Academic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 A comparative analysi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learning online" 12 : 146-151, 2009

      61 김진영 ; 김주리, "ARCS모델 기반 아동간호학 온라인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7-87, 2021

      62 Caskurlu, S., "A meta analysis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students’ satisfaction and learning" 157 : 103966-, 2020

      63 Wang, Z., "A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 on explaining student performance in introductory statistics What is the relative impact of procrastination?" 44 : 458-471,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