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 An Operation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092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by grasp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in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swimming education in the third grade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f the total 541 questionnaires collected, 493 items except duplicate questionnaires and questionnaires with low validity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x2 test was performed for some variables. The responses to the problems of swimming education were categorized and presented together with the questionnaire item analysis of the operation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he place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was relatively uniform except for the intramural swimming pool. It was found that th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swimming education were frequently used in the order of walking, pool shuttle bus, chartered bus, and public transport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avel time (one - way) for swimm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could be a disruption in the operation of other curriculums. Regarding the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about 'swimming education place', 'traffic accident in swimming education', 'financial · administrative suppor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wimming classes were operated by the professional swimming instructor. In regard to swimming education teaching methods,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about ‘competence and attitude of professional swimming instructor ' and ' Number of students in swimming education ’.
      The number of annual hours of swimming education was about half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nual, and it was found that other curriculum hours were used for swimming education. In relation to swimming education hours,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with 'actual hours of swimming classes' and 'operation of other curriculum'.
      Survival swimming education did not meet the guidelin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a whole in terms of frequency and implementation methods. And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hours and frequency' and 'survival swimming education program'.
      Second,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eacher 's perception of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rate of survival swimming ability. The teacher’s participation method in swimming class wa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that the guidance from outside the water in the pool is appropriate. And it was founded that pool facility expansion is most needed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operation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he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re should b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manual.
      Third, teachers' perception about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by grasp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in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by grasp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in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swimming education in the third grade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f the total 541 questionnaires collected, 493 items except duplicate questionnaires and questionnaires with low validity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x2 test was performed for some variables. The responses to the problems of swimming education were categorized and presented together with the questionnaire item analysis of the operation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he place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was relatively uniform except for the intramural swimming pool. It was found that th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swimming education were frequently used in the order of walking, pool shuttle bus, chartered bus, and public transport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avel time (one - way) for swimm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could be a disruption in the operation of other curriculums. Regarding the condition of swimming education,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about 'swimming education place', 'traffic accident in swimming education', 'financial · administrative suppor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wimming classes were operated by the professional swimming instructor. In regard to swimming education teaching methods,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about ‘competence and attitude of professional swimming instructor ' and ' Number of students in swimming education ’.
      The number of annual hours of swimming education was about half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nual, and it was found that other curriculum hours were used for swimming education. In relation to swimming education hours,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with 'actual hours of swimming classes' and 'operation of other curriculum'.
      Survival swimming education did not meet the guidelin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a whole in terms of frequency and implementation methods. And the teacher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recognized that there were problems i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hours and frequency' and 'survival swimming education program'.
      Second,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eacher 's perception of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rate of survival swimming ability. The teacher’s participation method in swimming class wa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that the guidance from outside the water in the pool is appropriate. And it was founded that pool facility expansion is most needed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operation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the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re should b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manual.
      Third, teachers' perception about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수영교육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을 시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으로 3학년 수영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총 541부 중 중복 응답한 설문지와 타당도가 낮은 설문지를 제외한 493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 요소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일부 변인에 대해 x²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영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응답은 범주화하여 관련 실태의 설문 문항 분석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실태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장소는 본교 수영장을 제외한 다른 수영장의 비율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수영교육을 위한 이동수단은 도보, 수영장 셔틀버스, 전세버스, 대중교통 순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영교육을 위한 이동시간(편도)을 조사한 결과, 다른 과목 교육과정 운영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교육 여건과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수영교육 장소’, ‘수영장 이동 시 안전사고’, ‘재정적·행정적 지원’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초등학교 수영수업은 대부분 전문수영강사에 의해 수준별 수영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수영교육 지도방법과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전문수영강사의 역량 및 태도’와 ‘수영교육의 학생 수’에 대해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수영교육의 시수는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시한 시수에 도달하지 못하는 비율이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실제 수영교육을 운영하면서 타 교과 시간이 수영교육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교육 시수와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실제 수영수업의 시수’와 ‘타 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생존수영교육은 실시 횟수, 실시 방법 등 전반적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지침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생존수영교육 횟수 및 시간’,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생존수영능력 함양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수업참여 방식은 수영장 내 물 밖에서 임장지도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사항으로 수영장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실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 대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교육 지침의 개선이 있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수영교육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을 시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수영교육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을 시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으로 3학년 수영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총 541부 중 중복 응답한 설문지와 타당도가 낮은 설문지를 제외한 493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 요소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일부 변인에 대해 x²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영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응답은 범주화하여 관련 실태의 설문 문항 분석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실태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장소는 본교 수영장을 제외한 다른 수영장의 비율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수영교육을 위한 이동수단은 도보, 수영장 셔틀버스, 전세버스, 대중교통 순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영교육을 위한 이동시간(편도)을 조사한 결과, 다른 과목 교육과정 운영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교육 여건과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수영교육 장소’, ‘수영장 이동 시 안전사고’, ‘재정적·행정적 지원’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초등학교 수영수업은 대부분 전문수영강사에 의해 수준별 수영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수영교육 지도방법과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전문수영강사의 역량 및 태도’와 ‘수영교육의 학생 수’에 대해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수영교육의 시수는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시한 시수에 도달하지 못하는 비율이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실제 수영교육을 운영하면서 타 교과 시간이 수영교육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교육 시수와 관련하여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실제 수영수업의 시수’와 ‘타 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생존수영교육은 실시 횟수, 실시 방법 등 전반적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지침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수영교육 담당교사는 ‘생존수영교육 횟수 및 시간’,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생존수영능력 함양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수업참여 방식은 수영장 내 물 밖에서 임장지도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사항으로 수영장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실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 대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수영교육 지침의 개선이 있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 문제 4
      • 4. 연구의 제한점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 문제 4
      • 4. 연구의 제한점 4
      • 5.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초등학교 3학년 체육교과서의 수영수업 내용 6
      • 2.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수영교육7
      • 3. 초등학교 수영교육 수영장 이용 현황 10
      • 4. 선행연구 11
      • Ⅲ. 연구 방법 17
      • 1. 연구 대상 17
      • 2. 조사도구 18
      • 3. 자료 처리 19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0
      • 1. 초등학교 수영교육 여건의 실태 20
      • 2.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의 실태 28
      • 3.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개선방안 40
      • Ⅴ. 결론 및 제언 51
      • 1. 결론 51
      • 2. 제언 57
      • 참고문헌 58
      • 영문초록 60
      • 부록 63
      •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지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