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과대학 학생의 전공-진로 일치 여부에 따른 학업 성취, 태도 및 진로타협 양상 비교 분석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Learning Attitudes, and Career Compromising Processe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olleges of Engineering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Major-Career Connection : Focusing on the Engineering St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2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ademic achievements, learning attitudes, and career compromising processes for successful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strong major-career connection among Engineering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fterwards, differences in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spiration were analyzed between students who had achieved a major-career match and students who had no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major-career connection was highly correlated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learning attitudes were strongly related to the level of motivation towards a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influenced future learning attitudes as we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urther academic support, career guidance, and major switching policies are needed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Colleges of Engineer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ademic achievements, learning attitudes, and career compromising processes for successful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ademic achievements, learning attitudes, and career compromising processes for successful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strong major-career connection among Engineering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fterwards, differences in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spiration were analyzed between students who had achieved a major-career match and students who had no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major-career connection was highly correlated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learning attitudes were strongly related to the level of motivation towards a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influenced future learning attitudes as we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urther academic support, career guidance, and major switching policies are needed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Colleges of Engineer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직업흥미와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것이 개인의 정서적 안정및 일의 효율성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업우수 공대학생들의 전공진입에 따른 학업성취, 학습태도, 진로결정 양상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선택한 전공과 진로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연관성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학업성취, 학습태도, 진로타협 양상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대학생의 전공과 진로방향과의 일치정도는그들의 학업성취와 연관성이 높으며, 실제로 그들의 학습태도는 학업성취동기와 상관성이 높았고, 아울러 미래 학습태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치 정도는 향후 진로 결정과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공대학생의 진로 지도 및 교육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제공할 것이다.
      번역하기

      직업흥미와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것이 개인의 정서적 안정및 일의 효율성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업우수 공대학생들의 전공진입에 따른 학업성취, ...

      직업흥미와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것이 개인의 정서적 안정및 일의 효율성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업우수 공대학생들의 전공진입에 따른 학업성취, 학습태도, 진로결정 양상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선택한 전공과 진로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연관성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학업성취, 학습태도, 진로타협 양상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대학생의 전공과 진로방향과의 일치정도는그들의 학업성취와 연관성이 높으며, 실제로 그들의 학습태도는 학업성취동기와 상관성이 높았고, 아울러 미래 학습태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치 정도는 향후 진로 결정과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공대학생의 진로 지도 및 교육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욱, "핵심인력의 해외유출" 9 (9): 32-37, 2006

      2 박관성, "한국남자대학생의 성역할과 진로타협"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3 황매향,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직업포부수준 비교" 한국상담학회 7 (7): 1137-1152, 2006

      4 강순화,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12 (12): 221-242, 2000

      5 허미숙,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활동, 자아 개념, 과학 전공" 한국영재학회 20 (20): 885-899, 2010

      6 신희경, "학과 선택의 내적 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이 대학 만족도 및 적응도에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고용패널/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7 고홍월, "진로의사결정에서의 타협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한국상담학회 10 (10): 2207-2224, 2009

      8 김장회,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타협과정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계현,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타협과정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11 (11): 755-773, 2010

      10 이기학, "진로선택타협과정에서 보이는 선호도에 대한 생물학적 성과 성역활 특성의 상호작용 효과연구" 한국상담학회 6 (6): 849-859, 2005

      1 정욱, "핵심인력의 해외유출" 9 (9): 32-37, 2006

      2 박관성, "한국남자대학생의 성역할과 진로타협"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3 황매향,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직업포부수준 비교" 한국상담학회 7 (7): 1137-1152, 2006

      4 강순화,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12 (12): 221-242, 2000

      5 허미숙,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활동, 자아 개념, 과학 전공" 한국영재학회 20 (20): 885-899, 2010

      6 신희경, "학과 선택의 내적 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이 대학 만족도 및 적응도에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고용패널/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7 고홍월, "진로의사결정에서의 타협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한국상담학회 10 (10): 2207-2224, 2009

      8 김장회,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타협과정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계현,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타협과정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11 (11): 755-773, 2010

      10 이기학, "진로선택타협과정에서 보이는 선호도에 대한 생물학적 성과 성역활 특성의 상호작용 효과연구" 한국상담학회 6 (6): 849-859, 2005

      11 김은경,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전공결정 영향요인"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80-86, 2010

      12 이기학,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타협과정에서 보이는 남녀 간 선호도 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1-13, 2003

      13 이은영, "이은영학업 우수 청소년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포부 관계모형의 남녀 비교"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0 (30): 43-59, 2009

      14 조선일보, "의전원(의학전문대학원), 우수이공계 장학생까지 ‘싹쓸이’"

      15 김선희, "역할지향성과 타협상황에 따른 여성의 진로선택 : 타협요인의 선호도 비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16 김완석, "여성의 커리어선택의 타협과정: 여성의 역할지향성과포부 수준에 따른 타협 요인의 선호도 비교*"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345-373, 2005

      17 임언, "실업계 고등학교 전공학과 선택을 위한검사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18 매일경제, "세상읽기-이공계 살리는 법"

      19 정주리,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진로타협 과정에서 선호도 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161-174, 2007

      20 ETNEWS, "서울대 자퇴생 중 77%가 이공계"

      21 김기완, "멘토링(Mentoring)수업을 이용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의 효과성"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중앙일보, "공대생 절반 ‘전공 바꾸고 싶어’"

      23 김민선, "공과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맥락적 변인과 공학흥미와의 관계: 학업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0 (10): 299-321, 2009

      24 Quihuis, G.,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high science achievers' academic choices and intent to pursue or opt out of hard sciences" Stanford University 2002

      25 O'Brien, K. M., "The Operationalization ofwomen's career choices: The career Aspiration scale, In Promoting Women's Career Development into the next millenium and beyond" Promoting Women's Career Development into the next millenium and beyond. Symposium conducted st the 1996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6

      26 Eccles J. C.,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53 : 109-132, 2001

      27 Simpkins, S. D., "Math and science motivation: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links between choices and beliefs" 36 : 1017-1045, 2006

      28 Gottfredson L. S.,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compromise, and self-creation,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85-148, 2002

      29 Gottfredson L. S.,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79-232, 1996

      30 Blanchard, C. A., "Compromise in career decision making: A test of Gottfredson's theory" 62 : 250-271, 2003

      31 Gottfredson L. S.,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28 : 545-579, 1981

      32 Gati, I., "Career compromises" 40 : 416-424, 1993

      33 Super, D. E.,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8 : 185-190, 19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 한국공학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 Technology Transfer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33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