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940년대 국민연극과 친일협력의 논리  :  유치진을 중심으로 = National Theatre and the Logic of Pro-Japanese Collaboration in 1940s-Centering on Ryu Chi-J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9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irst aims to reconstruct Ryu Chi-Jin`s ``theory of national theatre`` through his activities and writing in 1940s, who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gures representing the field of new theat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

      This paper, first aims to reconstruct Ryu Chi-Jin`s ``theory of national theatre`` through his activities and writing in 1940s, who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gures representing the field of new theat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is, it tries to explore the internal logic of an intellectual who had been absorbed into the field of pro-Japanese actions and mentality. It is an extremely delicate matter to determine whether Ryu Chi-Jin`s pro-Japanese activities derived from his complete identification with the Japanese empire, or they were temporary actions that came out of enforcement. However, this paper focuses more on tracing the internal ``tension`` and ``fissure`` that his drama theory and dramatic practice have, within the theatrical landscape of that period and the logic upon which the theory of national theatre was established than passing judgment on Ryu Chi-Jin`s pro-Japanese activities. It is an attempt to discuss the pro-Japanese literature and national theatre from a perspective that is different from judging them by the standards of binary opposition such as pro-Japanese ideology against nationalism or collaboration against resistance. It should, however, not be identified or confused with the attempt to relieve him of any responsibilities he has for writing an pro-Japanese literature. He speaks out his voice in the ``theory of national theatre`` that was published in media and the writer`s note or synopsis that were attached to the script of Heungnyong River, The Army Northward and The Chinese Date Tree. Although these writings were mostly propagandized statements, they exposed his true feelings and intentions. He justified his logic of moving away from the ``theory of new theory`` that had been his belief since 1930s to the ``theory of national theatre.`` It is clear that his ``theory of national theatre`` is a repetition of the discourse of national subject supported by the logic of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that of ``Naisen-ittai(Korea and Japan as a single body).`` It was also a cultural logic of a colonial intellectual who awaited the interpellation of the empire. However, the logical gaps in a number of Ryu`s theatrical theories reveal the ambivalent interiority of a colonial intellectual, who could not identify completely with the logic of ``Naisen-ittai(內鮮一體)`` and the state-controlled art prac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일제 말기 신극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던 유치진의 1940년대 행적과 글쓰기를 통해, 그의 ``국민연극론``을 재구(再構)하고 친일의 자장으로 흡수되었던 지식인의 내적 논리를 살피고...

      본고는 일제 말기 신극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던 유치진의 1940년대 행적과 글쓰기를 통해, 그의 ``국민연극론``을 재구(再構)하고 친일의 자장으로 흡수되었던 지식인의 내적 논리를 살피고자 한다. 유치진의 친일이 제국에 대한 완전한 동화(同化)에서 기인한 것인지, 강요에 의한 일시적인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조심스러운 일인데, 본고의 관심은 오히려 당시의 연극계 상황과 국민연극론이 수립되는 논리 안에서 유치진의 연극론과 연극적 실천이 갖는 내적 ``긴장``과 ``균열``을 추적하는데 있다. 이것은 식민지시대 작품을 친일과 민족주의, 협력과 저항으로 가늠하는 이분법적 시각이나 친일문학의 불가역성을 인정하려는 시도와는 다른 지점에서 국민연극을 논의하고자 함이다. 유치진은 매체에 발표한 ``국민연극론``과 연극대본〈黑龍江〉,〈北進隊〉,〈대추나무〉에 첨부한 작의(作意), 경개(梗槪) 등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낸 바 있다. 이상의 글들은 대사회적인 선전성 발화임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진심과 의향을 노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유치진은 1930년대 이래 자신의 연극이념인 ``신극론``에서 ``국민연극론``으로 이월(移越)하는 논리를 펼쳤다. 유치진이 1940년대 전반기에 펼친 국민연극론은 대동아공영권과 내선일체의 황민화담론을 반복하면서, 제국의 호명을 기다리는 식민지 지식인의 문화논리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유치진의 여러 연극론에서 발견할 수 있는 논리의 ``틈``들은, 내선일체와 국가주의적 예술통제에 완전히 동화(同化)하지 못한 식민지 지식인의 양가적 내면을 드러낸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2 이재명, "해방 전 공연 희곡 전집" 평민사 2004

      3 양승국, "한국근대연극영화비평자료집 11~12" 태동 1991

      4 이미원, "한국 근대극 연구" 현대미학사 1994

      5 헬렌 길버트, "포스트콜로니얼 드라마" 소명출판 2006

      6 나병철,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2004

      7 김명화, "친일희곡의 극작술연구-연극경연대회 작품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In 해방 전 공연희곡과 상영 시나리오의 이해" 평민사 2005

      8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5

      9 김재용, "친일문학과 근대성, In 친일문학의 내적논리" 역락 2003

      10 "춘추"

      1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2 이재명, "해방 전 공연 희곡 전집" 평민사 2004

      3 양승국, "한국근대연극영화비평자료집 11~12" 태동 1991

      4 이미원, "한국 근대극 연구" 현대미학사 1994

      5 헬렌 길버트, "포스트콜로니얼 드라마" 소명출판 2006

      6 나병철,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2004

      7 김명화, "친일희곡의 극작술연구-연극경연대회 작품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In 해방 전 공연희곡과 상영 시나리오의 이해" 평민사 2005

      8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5

      9 김재용, "친일문학과 근대성, In 친일문학의 내적논리" 역락 2003

      10 "춘추"

      11 박노현, "조선의 지속을 상상하는 연극적 리소르지멘토―1940년대 역사 소재 국민연극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21) : 91-128, 2005

      12 "조광"

      13 김예림, "전시기 오락정책과 '문화'로서의 우생학" 역사문제연구소 (73) : 325-350, 2005

      14 김옥란, "임선규 국민연극의 문제성 -「빙화」와 「새벽길」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37) : 300-330, 2008

      15 현재원, "일제의 동화 정책과 작가의 대응 양상 -<역사>를 통해 본 송영의 대응 방식" 한국현대문학회 (16) : 471-492, 2004

      16 양승국, "일제 말기 국민연극의 존재 형식과 공연 구조" 한국현대문학회 (23) : 365-397, 2007

      17 양승국, "일제 말기 국민연극에 담긴 순응과 저항의 이중성 - 임선규의 <빙화>를 중심으로 -" 한국공연문화학회 (16) : 177-208, 2008

      18 "인문평론"

      19 이재명, "유치진 희곡의 인물형상화 연구" 한국연극학회 (28) : 193-222, 2006

      20 이재명, "유치진 희곡-해방 전 공연희곡 전집 별쇄본" 평민사 2004

      21 서연호, "식민지 시대 친일극 연구" 태학사 1997

      22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23 "삼천리"

      24 호비 바바,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2

      25 오카다 히데키, "문학에서 본 ‘만주국’의 위상" 역락 2008

      26 "문장"

      27 "매일신보"

      28 최정옥, "만주국문학의 연구" 고려대 2008

      29 유치진, "동랑자서전" 서문당 1975

      30 유치진, "동랑유치진전집" 서울예대출판부 1993

      31 한홍구, "대한민국史" 한겨레신문사 2003

      32 이상우, "근대극의 풍경" 연극과인간 2004

      33 김옥란, "국민연극의 욕망과 정치학" 한국극예술학회 25 : 91-132, 2007

      34 박영정, "국민연극론, In 유치진 연극론의 사적 전개" 태학사 1996

      35 김재석, "국민연극 시기 [조선연극문화협회]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40) : 107-132, 2004

      36 이미원, "국민연극" 월인 2003

      37 "국민문학"

      38 尾岐秀樹, "舊植民地文學の硏究" 勁草書房 1971

      39 文藝家協會, "文藝年鑑" 第一書房 1940

      40 이상우, "1940년대 현대극장과 친일극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38) : 361-392, 2001

      41 양승국, "1940년대 국민연극론 연구" 6 : 1996

      42 윤대석, "1940년대 ‘국민문학’연구" 서울대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rama Research -> The Journal of Dram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Drama Society KCI등재후보
      2014-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Drama Association of Korea -> Drama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87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