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적응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가족적응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가족적응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가족적응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
가족적응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가족적응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개인의 내.외적 환경체계 안에서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자아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
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가족적응성은 사회불안과 사회적 지지와 스마트
폰 중독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가족적응성과 사회적지지, 사
회불안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어떠
한가?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불안은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으로, 사회적 지지에 부적으
로 영향을 미치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스마트폰 중독에 부적으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가족적응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사회적 지지는 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적응성은 사회불안에 영향을 주어 스마트폰 중독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대학생의 가족적응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조
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이 가족적응성과 사회적지지, 스마
트폰 중독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고, 자아탄력성은 사회불안과 사회적지
- ii -
지 사이에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반면에 자아탄력성이 가족적응성과 사회불
안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족적응성과
관련해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대학생의 상담 및 정책에 주는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개인내적 보호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함을 제언
한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외적 보호요
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생에게 정보적, 정서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
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개인 내적, 외적 보호요인을 확인했으며 이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했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