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드론의 안정적 비행을 위한 핵심요소와 도시 수평 공간구획 = Identification of key elements for stable flight of drones and horizontal space compartment in urba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3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드론 도입을 위한 도시 입체계획의 이슈와 과제에서는 항공법에 의한 드론 운항 가능 고도인150M 이내에서 국제민간항공기구(이하 ICAO)의 안전 목표(이하 TLS, Target Level of Safety)를 만족하며 비행 가능한 드론 수량은 2대로서, 도시 공간을 2개의 수직 공역으로 분리하여 운영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김정훈·김홍배, 2018). 그러나 도시는 3차원 공간으로서 수직 공간 외에 수평 공간에서의 드론의 비행에 대해서도 논하여야 한다(유상형·전종우·조광수, 2018). 이는 차량이 이동하기 위하여 도로망을 설계하고 건설하듯이 향후 드론의이동을 위한 비행로를 구획하고 지정하기 위한 중요하고 필수적인 단계이다(이수미·김용진, 20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 공간에서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위한 드론 간 최소 수평 분리 간격을검증하고, 검증된 수치를 기준으로 도시 공간을 수평적으로 분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드론 도입을 위한 도시 입체계획의 이슈와 과제에서는 항공법에 의한 드론 운항 가능 고도인150M 이내에서 국제민간항공기구(이하 ICAO)의 안전 목표(이하 TLS, Target Level of Safety)를 만족하며 비...

      드론 도입을 위한 도시 입체계획의 이슈와 과제에서는 항공법에 의한 드론 운항 가능 고도인150M 이내에서 국제민간항공기구(이하 ICAO)의 안전 목표(이하 TLS, Target Level of Safety)를 만족하며 비행 가능한 드론 수량은 2대로서, 도시 공간을 2개의 수직 공역으로 분리하여 운영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김정훈·김홍배, 2018). 그러나 도시는 3차원 공간으로서 수직 공간 외에 수평 공간에서의 드론의 비행에 대해서도 논하여야 한다(유상형·전종우·조광수, 2018). 이는 차량이 이동하기 위하여 도로망을 설계하고 건설하듯이 향후 드론의이동을 위한 비행로를 구획하고 지정하기 위한 중요하고 필수적인 단계이다(이수미·김용진, 20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 공간에서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위한 드론 간 최소 수평 분리 간격을검증하고, 검증된 수치를 기준으로 도시 공간을 수평적으로 분리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수, "항공로 수직안전평가모형을 이용한 안전도 분석"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 박준기, "첨단산업의 부상과 중국 산업정책의 진화: 중국 드론산업의 사례" 현대중국학회 19 (19): 175-210, 2017

      3 Wu, J,., "중국 드론 택배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4 장현, "사업용 드론의 운용과 안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5 최병록, "무인항공기(드론) 사고의 법적책임 연구" 충남대학교 2017

      6 박철순, "무인항공기 시장·기술·법제도 실태분석 및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30 (30): 373-401, 2015

      7 유상형, "드론의 안전비행을 위한 국부 및 전역지도 인터페이스" 한국로봇학회 13 (13): 113-120, 2018

      8 이창민, "드론의 상업적 활용의 전제로서 공중공간 활용의 자유" 13 (13): 44-60, 2017

      9 홍성태, "드론의 상업적 활용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2017

      10 이수미, "드론의 국내 도시 도입을 위한 국내외 사례 연구" 2017

      1 조현수, "항공로 수직안전평가모형을 이용한 안전도 분석"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 박준기, "첨단산업의 부상과 중국 산업정책의 진화: 중국 드론산업의 사례" 현대중국학회 19 (19): 175-210, 2017

      3 Wu, J,., "중국 드론 택배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4 장현, "사업용 드론의 운용과 안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5 최병록, "무인항공기(드론) 사고의 법적책임 연구" 충남대학교 2017

      6 박철순, "무인항공기 시장·기술·법제도 실태분석 및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30 (30): 373-401, 2015

      7 유상형, "드론의 안전비행을 위한 국부 및 전역지도 인터페이스" 한국로봇학회 13 (13): 113-120, 2018

      8 이창민, "드론의 상업적 활용의 전제로서 공중공간 활용의 자유" 13 (13): 44-60, 2017

      9 홍성태, "드론의 상업적 활용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2017

      10 이수미, "드론의 국내 도시 도입을 위한 국내외 사례 연구" 2017

      11 정훈, "드론을 활용한 화물 배송시스템 구축 방향" KAIST 2016

      12 정순채, "드론비행과 사생활침해 등 법률위반 위험성 연구" 사단법인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12 (12): 22-27, 2017

      13 최경아, "드론기반 공간정보산업의 가능성과 전망" 420 : 11-16, 2016

      14 김정훈, "드론 도입을 위한 도시 입체계획의 방향과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3 (53): 51-61, 2018

      15 이응규, "대규모 군집 드론을 위한 경쟁 기반 시분할 채널 접근 기법"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16 권혜선, "국내 민간‧상업용 드론 생태계에 대한 연구: 행위자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7

      17 김동준, "교통조사부문 드론 활용시 비용절감 효과 분석 연구: 해외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18

      18 이성훈, "공간정보 분야의 드론 기술 동향" 7 (7): 36-45, 2018

      19 조준모, "고속도로 상의 교통위반 단속을 위한 드론 패트롤 네트워크의 MANET 라우팅 프로토콜 성능비교" 한국전자통신학회 13 (13): 107-112, 2018

      20 최봉문, "‘스마트’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943-949, 2011

      21 김장환, "PBN 적용을 위한 B576 항공로의 정량적 안전평가 사전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19 (19): 93-113, 2012

      22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Manual on a 300 m (1 000 ft) Vertical Separation Minimum Between FL290 and FL410 Inclusive"

      23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Manual on Airspace Planning Methodology for the Determination of Separation Minima"

      24 Jenson, O. B., "Drone city – power, design and aerial mobility in the age of “smart cities" 71 : 67-75, 2016

      25 Alberto, S., "A Technocritical Review of Drones Crash Risk Probabilistic Consequences and its Societal Acceptance"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6-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Planner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4 1.3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