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자강회월보』의 ‘심(心)’ 개념과 감성론 연구 = The Concept of ‘Sim(心)’ and Sensibility Theory in the monthly report of Daehanjagangho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대한자강회월보』에서 빈번하게 출현하고 있는 ‘심(心)’·‘감(感)’·‘성(性)’·‘정(情)’ 개념의 용례와 그 의미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 개념들이 유학적 세계 이해와 그 설명 방식의 자장 안에 놓여 있었다는 것을 전제로, ‘자강(自强)’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심(心)’ 개념이 동원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심담’, ‘심지’, ‘심의’와 같은 ‘심(心)’ 관련 어휘들의 용례를 분석하고, ‘자강’에 대한 요청이 ‘심(心)’의 ‘역량’에 대한 확신을 기반으로 작동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이어서 ‘감념’, ‘감동’, ‘정’, ‘성정’ ‘감정’, ‘정육’ 등의 용례를 살펴보고, ‘심미(審美)의 감정’ 교육은 ‘정육’ 및 ‘미육’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지만, ‘공(公)적인 것’, ‘국가’와의 연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점을 밝혔다. ‘감성교육’-‘국가론’의 연관을 통해 1906년∼1907년 사이의 ‘감성(感性)’론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대한자강회월보』에서 빈번하게 출현하고 있는 ‘심(心)’·‘감(感)’·‘성(性)’·‘정(情)’ 개념의 용례와 그 의미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 개념들이 유학적 세계 �...

      이 논문에서는 『대한자강회월보』에서 빈번하게 출현하고 있는 ‘심(心)’·‘감(感)’·‘성(性)’·‘정(情)’ 개념의 용례와 그 의미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 개념들이 유학적 세계 이해와 그 설명 방식의 자장 안에 놓여 있었다는 것을 전제로, ‘자강(自强)’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심(心)’ 개념이 동원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심담’, ‘심지’, ‘심의’와 같은 ‘심(心)’ 관련 어휘들의 용례를 분석하고, ‘자강’에 대한 요청이 ‘심(心)’의 ‘역량’에 대한 확신을 기반으로 작동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이어서 ‘감념’, ‘감동’, ‘정’, ‘성정’ ‘감정’, ‘정육’ 등의 용례를 살펴보고, ‘심미(審美)의 감정’ 교육은 ‘정육’ 및 ‘미육’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지만, ‘공(公)적인 것’, ‘국가’와의 연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점을 밝혔다. ‘감성교육’-‘국가론’의 연관을 통해 1906년∼1907년 사이의 ‘감성(感性)’론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riotism’, which is frequently appearing in the monthly report of Daehanjaganghoe, and examine how patriotism and aesthetic emotion education are relat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cussion on patriotism is presented in the context of the ‘mind theor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ore concepts of Confucianism such as ‘mind(心)’, ‘nature(性)’ and ‘emotion(情).’ Although the emphasis on ‘patriotism’ had the nature of making a modern ‘nation’,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based on Confucianism in its way of explanation and rhetorical figures. On the other hand, in cases where past studies on ‘mind and nature(心性)’ were compared with new approaches in the process of academic translation, the effects of enlightenment education were examined separately for items, ‘knowledge (智)·emotion(情)·will(意)’ or the subjects that correspond to individual items were classified when they were introduced. In particular, methods of grafting emotion education upo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state referring to ‘national folk song(國民歌)’ and ‘natural emotion of the nation’ were appearing. Although education on ‘aesthetic emotions’ has the nature of ‘emotion education’ and ‘beauty education’, it could not be free from the relation with ‘public things’, ‘society’, ‘history’, and ‘state.’ It could be identified that while ‘patriotism’ was required through the concepts of ‘mind(心)’, ‘nature(性)’ and ‘emotion(情)’, ‘aesthetic emotion’ education had the nature of the ‘state theory’ in terms of education.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demand for ‘patriotism’ appearing in the monthly report of Daehanjaganghoe in terms of the ‘mind theory(心論)’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emotion’ education and the ‘state theory’, a part of the ‘sensibility(感性)’ theory between 1906 and 1907 could be review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riotism’, which is frequently appearing in the monthly report of Daehanjaganghoe, and examine how patriotism and aesthetic emotion education are relat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riotism’, which is frequently appearing in the monthly report of Daehanjaganghoe, and examine how patriotism and aesthetic emotion education are relat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cussion on patriotism is presented in the context of the ‘mind theor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ore concepts of Confucianism such as ‘mind(心)’, ‘nature(性)’ and ‘emotion(情).’ Although the emphasis on ‘patriotism’ had the nature of making a modern ‘nation’,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based on Confucianism in its way of explanation and rhetorical figures. On the other hand, in cases where past studies on ‘mind and nature(心性)’ were compared with new approaches in the process of academic translation, the effects of enlightenment education were examined separately for items, ‘knowledge (智)·emotion(情)·will(意)’ or the subjects that correspond to individual items were classified when they were introduced. In particular, methods of grafting emotion education upo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state referring to ‘national folk song(國民歌)’ and ‘natural emotion of the nation’ were appearing. Although education on ‘aesthetic emotions’ has the nature of ‘emotion education’ and ‘beauty education’, it could not be free from the relation with ‘public things’, ‘society’, ‘history’, and ‘state.’ It could be identified that while ‘patriotism’ was required through the concepts of ‘mind(心)’, ‘nature(性)’ and ‘emotion(情)’, ‘aesthetic emotion’ education had the nature of the ‘state theory’ in terms of education.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demand for ‘patriotism’ appearing in the monthly report of Daehanjaganghoe in terms of the ‘mind theory(心論)’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emotion’ education and the ‘state theory’, a part of the ‘sensibility(感性)’ theory between 1906 and 1907 could be review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영, "한말 지식인들의 ‘애국론’과 민족주의" 한림과학원 (16) : 197-236, 2015

      2 김영작, "한말 내셔널리즘―사상과 현실" 백산서당 160-, 2006

      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계전공, "한국철학을 다시 만나다" 역락 62-63, 2017

      4 이경구, "한국의 근현대, 개념으로 읽다" 푸른역사 88-89, 2016

      5 금장태, "한국유학의 心說―심성론과 영혼론의 쟁점" 서울대학교출판부 85-, 2002

      6 최영진, "한국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실학적 변용" 문사철 4-5, 2017

      7 신용하, "한국 근대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문학과지성사 121-123, 2001

      8 박정심, "한국 근대사상사" 천년의상상 229-, 2016

      9 조규태, "한국 근대 정치ㆍ사회단체의 ‘국민’ 만들기 - 독립협회ㆍ대한자강회ㆍ대한협회ㆍ신간회를 중심으로 -" 숭실사학회 (39) : 5-37, 2017

      10 최기영, "한국 근대 계몽사상 연구" 일조각 31-, 2003

      1 김소영, "한말 지식인들의 ‘애국론’과 민족주의" 한림과학원 (16) : 197-236, 2015

      2 김영작, "한말 내셔널리즘―사상과 현실" 백산서당 160-, 2006

      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계전공, "한국철학을 다시 만나다" 역락 62-63, 2017

      4 이경구, "한국의 근현대, 개념으로 읽다" 푸른역사 88-89, 2016

      5 금장태, "한국유학의 心說―심성론과 영혼론의 쟁점" 서울대학교출판부 85-, 2002

      6 최영진, "한국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실학적 변용" 문사철 4-5, 2017

      7 신용하, "한국 근대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문학과지성사 121-123, 2001

      8 박정심, "한국 근대사상사" 천년의상상 229-, 2016

      9 조규태, "한국 근대 정치ㆍ사회단체의 ‘국민’ 만들기 - 독립협회ㆍ대한자강회ㆍ대한협회ㆍ신간회를 중심으로 -" 숭실사학회 (39) : 5-37, 2017

      10 최기영, "한국 근대 계몽사상 연구" 일조각 31-, 2003

      11 정용환, "한국 감성의 개념사적 이해"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 (2): 57-84, 2011

      12 차배근, "중국근대언론발달사(1815∼1945)" 서울대학교출판부 149-, 2008

      13 김경호,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194-, 2002

      14 김경호, "유학적 감성 세계와 공감"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1 : 85-113, 2010

      15 유권종, "유교적 마음모델과 예교육" 한국학술정보(주) 2009

      16 정용환, "유교⋅도교⋅불교의 감성이론" 경인문화사 38-, 2011

      17 임헌규, "유가의 심성론과 현대 심리철학" 철학과 현실사 267-, 2001

      18 요시자와 세이치로, "애국주의의 형성―내셔널리즘으로 본 근대 중국" 논형 44-, 2006

      19 이헌미, "민주주의와 내셔널리즘의 내적 긴장 - ‘애국계몽운동’ 재고(再考) 시론(試論)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1) : 73-84, 2008

      20 홍호선, "대한제국말기 수신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고취의 분석" 한국교 육학회 34 (34): 1-18, 1996

      21 정욱재, "대한제국기 유림의 ‘국가’ 인식" 호서사학회 (86) : 179-202, 2018

      22 최혜주, "대한자강회의 ‘국민’인식과 ‘국민’ 만들기 활동" 숭실사학회 (39) : 39-68, 2017

      23 박관규,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3" 소명출판 2015

      24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고전번역학센터,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1" 소명출판 2012

      25 임상석,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2" 소명출판 2014

      26 "대한자강회월보 上⋅下" 아세아문화사 1976

      27 구자혁, "대한자강회와 교육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4 : 52-65, 1981

      28 함동주,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의 일본관과 ‘문명론’"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 (2): 147-162, 2003

      29 이준영, "대한자강회 교육활동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1

      30 임상석, "근대계몽기 잡지의 번역과 분과학문의 형성-『조양보』와 『대한자강회월보』의 사례-" 우리어문학회 (50) : 279-304, 2014

      31 한국교육철학회, "교육과 성리학" 학지사 90-91, 2017

      32 전남대학교 감성인문학연구단, "공감장이란 무엇인가" 길 28-, 2017

      33 김경호, "감성의 유학" 전남대학교출판부 46-, 2014

      34 김수경, "『대한자강회월보』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35 홍인숙, "『大韓自强會月報』의 운동성과 지향 연구 - 자강회 내부의 이질적 그룹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동양한문학회 30 (30): 353-381, 2010

      36 임상석, "20세기 국한문체의 형성과정" 지식산업사 2008

      37 노대환, "1905~1910년 文明論의 展開와 새로운 文明觀 摸索" 한국유교학회 (39) : 343-38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