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주풀이> 속 황우양 부부의 관계 양상과 그 의미 = The Hwanguyang Couple’s Relationship Aspects and its Meaning in Sungjupu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0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ngjupuri>is a myth about the house guardian god Seongju.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the couple and their relationship. Firstly, it explores the cause of the outsider’s invasion and it shows that the <Seongjupuri>’s narrative structure reflects the outsider’s intrusion due to the disharmony, the trials made by an outsider, and the restoration through the harmony. Next, it discovers the respective abilities of Hwanguyang and his wife. Each of them has a specific ability and different limitations and they can complement each other through their counter abilities. This therefore suggests that the Hwanguyang couple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is feature can be applied to the Hwangwooyang’s ability as a god. The couple became the house guardian god Seongju and the land goddess Jisin, thereby strengthening Seongju’s ability to protect the family is strengthened. It is special in that <Seongjupuri> reveals the relationship of the Gods. Seongju has a limitation in its ability, so it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coexistence and harmony with other gods. Only the deity Seongju can solve the problem in the myth. Thus, this myth projects the significance of the deity Seongju.
      번역하기

      <Seongjupuri>is a myth about the house guardian god Seongju.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the couple and their relationship. Firstly, it explores the cause of the outsider’s invasion and it shows that the <Seongjupuri>’s narrative s...

      <Seongjupuri>is a myth about the house guardian god Seongju.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the couple and their relationship. Firstly, it explores the cause of the outsider’s invasion and it shows that the <Seongjupuri>’s narrative structure reflects the outsider’s intrusion due to the disharmony, the trials made by an outsider, and the restoration through the harmony. Next, it discovers the respective abilities of Hwanguyang and his wife. Each of them has a specific ability and different limitations and they can complement each other through their counter abilities. This therefore suggests that the Hwanguyang couple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is feature can be applied to the Hwangwooyang’s ability as a god. The couple became the house guardian god Seongju and the land goddess Jisin, thereby strengthening Seongju’s ability to protect the family is strengthened. It is special in that <Seongjupuri> reveals the relationship of the Gods. Seongju has a limitation in its ability, so it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coexistence and harmony with other gods. Only the deity Seongju can solve the problem in the myth. Thus, this myth projects the significance of the deity Seongju.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성주풀이>는 황우양과 그의 부인이 소진랑으로 인해 겪는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집을 짓는 것과 관련된 면은 간략히 제시되고 가족에게 발생한 사건을 해결하는 것이 중심이 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시련을 겪는 주체가 황우양 부인이며 그가 서사 전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그의 역할은 남편의 보조자로서 이해되어 왔다. 부인이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이해되는 바, 본고에서는 시련과 관련하여 부부 각각의 역할과 이들의 관계를 탐색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외부자의 침입으로 인해 시련이 발생함으로 우선 <성주풀이> 속 침입의 원인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 원인이 내부자를 존중하지 않는 집안 내부의 불화에 있음을 밝혔고 시련은 부부가 서로의 능력을 인정하고 조화하여 해결되므로, <성주풀이>는 부조화로 인한 외부인의 침입, 외부인에 의한 시련, 조화를 통한 회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논의했다.
      황우양과 부인 각각의 능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 또한 진행했으며, 서사 전반에서 이들이 각각 특정한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우양 부인은 위험을 예측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반면 황우양은 그렇지 못하며, 황우양은 집을 짓는 능력과 함께 물리적 주술적 힘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부인을 그렇지 않다. 황우양 부부는 각기 다른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상대에 의해 보완하는 보완 관계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황우양 부부의 이러한 능력은 가신의 신격 중 제액(除厄)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다. 소진랑이라는 화(禍)에 있어 부인은 액을 방비하는 역할을 하며, 황우양은 들어온 액을 없애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들이 지신과 성주로 함께 좌정하여 성주의 가족을 보호하고 수호하는 능력은 강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성주풀이>는 성주에 대한 무가임에도 불구하고 신간의 관계가 드러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성주풀이>는 성주신의 한계를 보임으로써 성주신을 모심에 있어 신들 간의 조화와 공존이 중요함을 보이는 동시에 그 해결의 힘은 성주만이 지니고 있음을 통해 성주신의 위엄 또한 함께 보인다.
      번역하기

      <성주풀이>는 황우양과 그의 부인이 소진랑으로 인해 겪는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집을 짓는 것과 관련된 면은 간략히 제시되고 가족에게 발생한 사건을 해결하는 것이...

      <성주풀이>는 황우양과 그의 부인이 소진랑으로 인해 겪는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집을 짓는 것과 관련된 면은 간략히 제시되고 가족에게 발생한 사건을 해결하는 것이 중심이 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시련을 겪는 주체가 황우양 부인이며 그가 서사 전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그의 역할은 남편의 보조자로서 이해되어 왔다. 부인이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이해되는 바, 본고에서는 시련과 관련하여 부부 각각의 역할과 이들의 관계를 탐색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외부자의 침입으로 인해 시련이 발생함으로 우선 <성주풀이> 속 침입의 원인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 원인이 내부자를 존중하지 않는 집안 내부의 불화에 있음을 밝혔고 시련은 부부가 서로의 능력을 인정하고 조화하여 해결되므로, <성주풀이>는 부조화로 인한 외부인의 침입, 외부인에 의한 시련, 조화를 통한 회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논의했다.
      황우양과 부인 각각의 능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 또한 진행했으며, 서사 전반에서 이들이 각각 특정한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우양 부인은 위험을 예측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반면 황우양은 그렇지 못하며, 황우양은 집을 짓는 능력과 함께 물리적 주술적 힘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부인을 그렇지 않다. 황우양 부부는 각기 다른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상대에 의해 보완하는 보완 관계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황우양 부부의 이러한 능력은 가신의 신격 중 제액(除厄)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다. 소진랑이라는 화(禍)에 있어 부인은 액을 방비하는 역할을 하며, 황우양은 들어온 액을 없애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들이 지신과 성주로 함께 좌정하여 성주의 가족을 보호하고 수호하는 능력은 강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성주풀이>는 성주에 대한 무가임에도 불구하고 신간의 관계가 드러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성주풀이>는 성주신의 한계를 보임으로써 성주신을 모심에 있어 신들 간의 조화와 공존이 중요함을 보이는 동시에 그 해결의 힘은 성주만이 지니고 있음을 통해 성주신의 위엄 또한 함께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성문화원, "화성의 얼 3" 화성문화원 1998

      2 임근혜, "한국의 가정신앙 상" 민속원 2005

      3 정승모, "한국의 가정신앙 경기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4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2

      5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집문당 1983

      6 김태곤, "한국무가집 3" 집문당 1978

      7 임석재, "줄포무악" 문화재관리국 1970

      8 심우성, "조선무속의 연구下" 동문선 153-, 1991

      9 심우성, "조선무속의 연구上" 동문선 1991

      10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007

      1 화성문화원, "화성의 얼 3" 화성문화원 1998

      2 임근혜, "한국의 가정신앙 상" 민속원 2005

      3 정승모, "한국의 가정신앙 경기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4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2

      5 김태곤, "한국민간신앙연구" 집문당 1983

      6 김태곤, "한국무가집 3" 집문당 1978

      7 임석재, "줄포무악" 문화재관리국 1970

      8 심우성, "조선무속의 연구下" 동문선 153-, 1991

      9 심우성, "조선무속의 연구上" 동문선 1991

      10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각 2007

      11 박종성, "여신 자청비의 노정기와 역할 대리자 - 체쳉 고아 선녀, 황우양 부인, 제우스와 견주어 -" 한국구비문학회 (43) : 67-99, 2016

      12 정제호, "안심국형 <성주풀이>에 내재된 성주신의 성격과 신화적 의미" 국립민속박물관 (40) : 105-127, 2017

      13 서대석, "안성무가" 집문당 1990

      14 김난주, "성주풀이의 창조신화적 성격 연구" 동아시아고대학회 6 : 4-112, 2002

      15 서대석, "성주풀이와 춘향가의 비교연구" 판소리학회 1 : 8-25, 1989

      16 홍태한, "성주무가 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4 : 101-118, 2000

      17 김나영, "성주무가 사설의 ‘공간-영역’에 관한 세 층위의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29 : 5-35, 2011

      18 홍태한, "서울굿의 다층성과 다양성" 민속원 243-265, 2012

      19 염원희, "무속신화의 여신 수난과 신 직능의 상관성 연구" 한국무속학회 (20) : 305-333, 2010

      2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구비문학대계1-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1982

      21 신동흔, "경기지역 성주풀이 무가의 신화적 성격"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5·6 : 583-605, 1995

      22 오수복, "경기도당굿의 무가" 경기문화재단 2000

      23 유보경, "가신신화에 나타난 인물형상과 신격의 상관관계" 고려대학교 2015

      24 김명자, "가신신앙의 성격과 여성상"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연구원 13 : 227-242,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