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주 이민구의 『독사수필(讀史隨筆)』 연구 = Research on a Historical Commentary Doksasupil written by Lee Min-g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8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writing of Dongju Lee Min-gu, which is a historical commentary named Doksasupil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He wrote this article by reflecting his interests in history during the late years of his life in hometown. In the short period of 150 days, he collected the long history from ancient to Song Dynasty in 1,073 articles. It reflects his interest in history and extensive knowledge that he usually had.
      I discussed his creative consciousness of writing and how to read the history, focusing on the preface of himself.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confirm from what perspective he collected, organized, and classified historical information. And also I summarized his comments on events and characters on this basis.
      As a result, I identified several characteristic aspects as follows. First, he made an effort to classify and systematize the historical information, he accepted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This shows that he focused primarily on th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and it makes it possible to guess that he wanted to go the area of historical evide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various theme that can be found through history, it was especially noted that the virtues of the monarch and his servants were paid attention. Third, focusing on the recurring nature of history, we looked at a case in which similar kinds of events were presented. It can be said that this reflects the effort to reinterpret and understand the passage of time from his own perspective.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writing of Dongju Lee Min-gu, which is a historical commentary named Doksasupil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He wrote this article by reflecting his interests in history during the late years of his life in hometown...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writing of Dongju Lee Min-gu, which is a historical commentary named Doksasupil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He wrote this article by reflecting his interests in history during the late years of his life in hometown. In the short period of 150 days, he collected the long history from ancient to Song Dynasty in 1,073 articles. It reflects his interest in history and extensive knowledge that he usually had.
      I discussed his creative consciousness of writing and how to read the history, focusing on the preface of himself.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confirm from what perspective he collected, organized, and classified historical information. And also I summarized his comments on events and characters on this basis.
      As a result, I identified several characteristic aspects as follows. First, he made an effort to classify and systematize the historical information, he accepted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This shows that he focused primarily on th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and it makes it possible to guess that he wanted to go the area of historical evide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various theme that can be found through history, it was especially noted that the virtues of the monarch and his servants were paid attention. Third, focusing on the recurring nature of history, we looked at a case in which similar kinds of events were presented. It can be said that this reflects the effort to reinterpret and understand the passage of time from his own perspec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중기 문인인 동주 이민구의 저술 『讀史隨筆』에 대한 연구이다. 이민구는 관직 생활 동안 여러 浮沈을 겪은 끝에 고향에 머물며 시문 창작에 몰두하던 晩年에 역사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이 저술을 창작한다. 150여 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 上古時代에서부터 宋代에 이르기까지의 긴 역사를 1,073조목이라는 방대한 조목의 저술로 완성했다는 점에서 평소 그가 가지고 있던 역사에 대한 관심과 방대한 지식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민구가 직접 지은 『독사수필』의 自序를 중심으로 이민구의 저술 창작 의식과 역사를 읽는 방법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그가 어떤 관점에서 역사 정보를 수집·정리·분류하였으며, 다시 이 바탕 위에서 사건·인물에 대해 어떤 의도로 논평을 가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몇 가지 특징적 국면을 확인하였다. 첫째, 그는 자신이 받아들인 역사 정보를 일정한 관점 위에서 분류하고 체계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일차적으로 이민구가 정보의 수집과 분류를 중시하였음을 보여주며 추후 고증의 영역까지 나아가고자 했음을 짐작게 해준다. 둘째, 역사를 통해 찾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주제 의식 가운데 특히 군주와 신하의 덕목에 주목했음을 확인하였다. 내용적으로는 본받을 만한 사례보다 경계할 만한 사례의 비중이 컸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반복되는 역사의 속성에 주목하여 事蹟 가운데 비슷한 부류의 일들을 모아 제시한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는 시간에 따라 흘러가는 通史를 자신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이해하고자 한 노력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조선중기 문인인 동주 이민구의 저술 『讀史隨筆』에 대한 연구이다. 이민구는 관직 생활 동안 여러 浮沈을 겪은 끝에 고향에 머물며 시문 창작에 몰두하던 晩年에 역사에 대한 ...

      본 논문은 조선중기 문인인 동주 이민구의 저술 『讀史隨筆』에 대한 연구이다. 이민구는 관직 생활 동안 여러 浮沈을 겪은 끝에 고향에 머물며 시문 창작에 몰두하던 晩年에 역사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이 저술을 창작한다. 150여 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 上古時代에서부터 宋代에 이르기까지의 긴 역사를 1,073조목이라는 방대한 조목의 저술로 완성했다는 점에서 평소 그가 가지고 있던 역사에 대한 관심과 방대한 지식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민구가 직접 지은 『독사수필』의 自序를 중심으로 이민구의 저술 창작 의식과 역사를 읽는 방법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그가 어떤 관점에서 역사 정보를 수집·정리·분류하였으며, 다시 이 바탕 위에서 사건·인물에 대해 어떤 의도로 논평을 가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몇 가지 특징적 국면을 확인하였다. 첫째, 그는 자신이 받아들인 역사 정보를 일정한 관점 위에서 분류하고 체계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일차적으로 이민구가 정보의 수집과 분류를 중시하였음을 보여주며 추후 고증의 영역까지 나아가고자 했음을 짐작게 해준다. 둘째, 역사를 통해 찾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주제 의식 가운데 특히 군주와 신하의 덕목에 주목했음을 확인하였다. 내용적으로는 본받을 만한 사례보다 경계할 만한 사례의 비중이 컸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반복되는 역사의 속성에 주목하여 事蹟 가운데 비슷한 부류의 일들을 모아 제시한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는 시간에 따라 흘러가는 通史를 자신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이해하고자 한 노력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재교, "李朝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39) : 387-425, 2007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백진우, "조선후기 사론 산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5 김일환, "이민구의 강화도 탈출담 연구" 인문학연구소 (55) : 41-77, 2019

      6 이남면, "동주 이민구의 생애와 시세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7 부유섭, "동주 이민구와 남인 시맥의 전개" 한국한시학회 8 : 2000

      8 李敏求, "讀史隨筆"

      9 安命夏, "松窩文集"

      10 박헌순, "東州集 해제"

      1 진재교, "李朝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39) : 387-425, 2007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백진우, "조선후기 사론 산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5 김일환, "이민구의 강화도 탈출담 연구" 인문학연구소 (55) : 41-77, 2019

      6 이남면, "동주 이민구의 생애와 시세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7 부유섭, "동주 이민구와 남인 시맥의 전개" 한국한시학회 8 : 2000

      8 李敏求, "讀史隨筆"

      9 安命夏, "松窩文集"

      10 박헌순, "東州集 해제"

      11 오승준, "東州 李敏求의 한시 연구 - 금강산 유람시를 중심으로 -" 근역한문학회 41 : 115-142, 2015

      12 김영주, "東州 李敏求의 文學論 硏究" 동방한문학회 (20) : 211-256, 2001

      13 유명석, "東州 李敏求의 交遊詩 硏究 - 樂全堂 申翊聖과 東岡 許 를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33 (33): 37-60, 2015

      14 김영수, "東州 李敏求의 「東游錄」 硏究" 민족문화연구원 (68) : 389-416, 2015

      15 허현주, "東州 李敏求의"唐律廣選"硏究" 경북대학교 2005

      16 유명석, "東州 李敏求의 詩文學 硏究" 단국대학교 2017

      17 박수천, "東州 李敏求의 時世界" 한국한시학회 10 : 2006

      18 安鼎福, "東史綱目"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