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탁진국,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 33 (33): 139-166, 2014
2 안경승, "행복과 기독교 상담" 아세아연합신학대학 신학연구소 19 (19): 230-233, 2014
3 구재선,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77-100, 2006
4 오윤선, "청소년의 불안 조절을 위한 말씀묵상기도 효과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7 : 130-152, 2011
5 손은정,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 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465-480, 2009
6 이효근, "영성형성을 위한 통전적 기도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세겹줄기도'의 개발과 적용"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4
7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15 (15): 19-40, 2001
8 임창복, "성경말씀 묵상기도 방법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 31 : 69-118, 2008
9 김지영, "성격강점의 인식과 활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783-802, 2013
10 김미진, "성격강점에기반한유아교사의행복증진프로그램개발및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1 탁진국,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 33 (33): 139-166, 2014
2 안경승, "행복과 기독교 상담" 아세아연합신학대학 신학연구소 19 (19): 230-233, 2014
3 구재선,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77-100, 2006
4 오윤선, "청소년의 불안 조절을 위한 말씀묵상기도 효과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7 : 130-152, 2011
5 손은정,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 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465-480, 2009
6 이효근, "영성형성을 위한 통전적 기도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세겹줄기도'의 개발과 적용"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4
7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15 (15): 19-40, 2001
8 임창복, "성경말씀 묵상기도 방법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 31 : 69-118, 2008
9 김지영, "성격강점의 인식과 활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783-802, 2013
10 김미진, "성격강점에기반한유아교사의행복증진프로그램개발및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11 임영진,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713-730, 2012
12 박미하, "성격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 :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13 권석만, "성격강점검사(Character Strengths Test)" 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 2010
14 김미진,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201-221, 2014
15 임영진,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6 변경섭, "삼위일체적말씀묵상을통한기독교영성교육에관한연구: 새문안교회 소그룹 사역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17 오윤선, "말씀묵상기도를통한청소년분노조절하기" 예영B&P 2011
18 오윤선,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기독교 청소년의 용서경험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9 : 217-244, 2012
19 이경용, "말씀묵상기도" 스텝스톤 2010
20 김지영, "대학생의 성격강점 및 덕성과 성격장애와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1 (21): 75-99, 2014
21 장진우, "대학생을 위한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7 (17): 121-138, 2009
22 백옥경,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강점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228-236, 2014
23 김종수, "노인의 종교 활동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2010
24 김은혜, "기독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9 : 125-156, 2012
25 김문숙, "기독교인의 행복에 대한 통합모델 연구 : 성경적 관점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26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과학적탐구" 학지사 2008
27 강연정, "긍정심리학 이론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행복(Happiness)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3 (23): 9-37, 2015
28 오윤선, "감사가 기독교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8 : 237-263, 2012
29 Kurtz, J. L, "The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Series. Vol. 4" Greenwood Publishing Group 21-36, 2008
30 Kern, M. L., "The PERMA-Profiler: A Brief Measure of Flourishing" Unpublished Manuscript 2014
31 Leclercq Jea, "The Love of Learning and the Desire for God" Fordham University Press 1961
32 Chan, D. W, "The Hierarchy of Strengths : Their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25 : 867-875, 2009
33 Peterson, C., "Strengths of Character,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2 : 149-156, 2007
34 Seligman, M. E.,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60 (60): 410-421, 2005
35 Merton, Thomas, "Opening the Bible" Liturgical Press 1986
36 Ryan, R. M.,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52 (52): 141-166, 2001
37 Eduardo, Ghiotto, "Lectio Divina in the Monastic Community" 51 : 39-40, 1991
38 Coata, P. T., "Influence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on Subjective Well-being: Happy and Unhappy people" 38 (38): 668-678, 1980
39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40 Junghyun, Lee, "Forms and Practice of Public Prayer in Workship" University of Pretoria 1995
41 Shimai, S. K. Otake, "Convergence of Character Strengths in American and Japanese Young Adults" 7 : 311-322, 2006
42 Park, N.,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23 : 603-619, 2004
43 Peterson, Christopher,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