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정일 시기 이후 북한의‘인구재생산’과 영화 속 모성담론 = ‘Biological reproduction citizens’ maternal discourse of the North Korean film in the categ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52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North Korea's population policy and maternal discourse. North Korea biological than the aspect of the population re-production "concept, system, leaders" more emphasize the excellence of. Kim Jong-il time, North Korea to advance the aggressive birth encouragement policy, was awarded the honorary title of "maternal hero of the Songun era" to the woman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But, rather than multiple births in the movie, highlighting the maternal role as ideological culture's children. It is intended to praise the "motherhood" to adopt or foster the wife of a soldier and soldiers to loyalty the children to the state. These works were intensively production at a specific time the change of the system occurs. Ultimately these filmmaking in is not intended for the population regulation is larger objects for maintaining regime. This is a concern in two respects. First, women I internalize the role of motherhood in a manner that will bear more of the burden in the home and society. In the second, it is gender mechanism that women so as to passively recognize the right of reprodu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North Korea's population policy and maternal discourse. North Korea biological than the aspect of the population re-production "concept, system, leaders" more emphasize the 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North Korea's population policy and maternal discourse. North Korea biological than the aspect of the population re-production "concept, system, leaders" more emphasize the excellence of. Kim Jong-il time, North Korea to advance the aggressive birth encouragement policy, was awarded the honorary title of "maternal hero of the Songun era" to the woman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But, rather than multiple births in the movie, highlighting the maternal role as ideological culture's children. It is intended to praise the "motherhood" to adopt or foster the wife of a soldier and soldiers to loyalty the children to the state. These works were intensively production at a specific time the change of the system occurs. Ultimately these filmmaking in is not intended for the population regulation is larger objects for maintaining regime. This is a concern in two respects. First, women I internalize the role of motherhood in a manner that will bear more of the burden in the home and society. In the second, it is gender mechanism that women so as to passively recognize the right of reprod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구재생산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밝히고, 그에 따라 진행되는 인구정책과 모성담론의 관계와 함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북한에서 인구재생산에 대한 시각은 생물학적 측면보다는 ‘사상, 제도, 지도자’의 우수성을 부각시키는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김정일 시기 북한은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을 진행하면서 그에 부응하는 여성에게 ‘선군시대 모성영웅’이라는 명예칭호를 수여하였다. 하지만 ‘선군시대 모성영웅’의 영화적 형상은 다자녀 출산이 아니라 자녀의 사상적 교양자로서의 모성 역할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자녀를 국가에 충성하는 군인 및 군인의 아내로 양육하거나 입양하는 ‘모성’을 칭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은 체제 변화가 일어나는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결국 ‘선군시대 모성영웅’을 재현하는 영화 제작은 인구 조절이 아니라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이는 여성이 가정과 사회에서 더 많은 부담을 지게 되는 형태로 모성의 역할을 내면화하고, 재생산권에 대해 수동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젠더 기제가 된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인구재생산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밝히고, 그에 따라 진행되는 인구정책과 모성담론의 관계와 함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북한에서 인구재생산에 대한 시각은 생물학적 측면보다...

      본 연구는 인구재생산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밝히고, 그에 따라 진행되는 인구정책과 모성담론의 관계와 함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북한에서 인구재생산에 대한 시각은 생물학적 측면보다는 ‘사상, 제도, 지도자’의 우수성을 부각시키는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김정일 시기 북한은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을 진행하면서 그에 부응하는 여성에게 ‘선군시대 모성영웅’이라는 명예칭호를 수여하였다. 하지만 ‘선군시대 모성영웅’의 영화적 형상은 다자녀 출산이 아니라 자녀의 사상적 교양자로서의 모성 역할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자녀를 국가에 충성하는 군인 및 군인의 아내로 양육하거나 입양하는 ‘모성’을 칭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은 체제 변화가 일어나는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결국 ‘선군시대 모성영웅’을 재현하는 영화 제작은 인구 조절이 아니라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이는 여성이 가정과 사회에서 더 많은 부담을 지게 되는 형태로 모성의 역할을 내면화하고, 재생산권에 대해 수동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젠더 기제가 된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지아, "한국모성담론의 역사성 : <신여성>과 EBS<부모>가 제시하는 모성의 구성방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8 (38): 205-228, 2014

      2 최은영, "한국 여성의 모성 기획과 균열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 김경옥, "총력전체제기 일본의 여성노동정책과 인구정책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조선어머니들의 빛나는 귀감"

      5 Yuval-Davis, Nira, "젠더와 민족" 그린비 2012

      6 배은경, "젠더연구의 방법과 사회분석" 다해 2006

      7 "제4차 전국어머니대회를 열렬히 축하한다"

      8 한성훈, "전쟁과 인민" 돌베개 2012

      9 하정옥,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정치화를 위한 시론"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183-210, 2013

      10 김정아, "재생산 윤리에서 재생산권과 재생산 책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 홍지아, "한국모성담론의 역사성 : <신여성>과 EBS<부모>가 제시하는 모성의 구성방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8 (38): 205-228, 2014

      2 최은영, "한국 여성의 모성 기획과 균열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 김경옥, "총력전체제기 일본의 여성노동정책과 인구정책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조선어머니들의 빛나는 귀감"

      5 Yuval-Davis, Nira, "젠더와 민족" 그린비 2012

      6 배은경, "젠더연구의 방법과 사회분석" 다해 2006

      7 "제4차 전국어머니대회를 열렬히 축하한다"

      8 한성훈, "전쟁과 인민" 돌베개 2012

      9 하정옥,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정치화를 위한 시론"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183-210, 2013

      10 김정아, "재생산 윤리에서 재생산권과 재생산 책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1 리기성, "인구학개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6

      12 서영석, "인구재생산의 합리적보장을 위한 우리 당의 인구정책과 그위대한 생활력"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57 (57): 2011

      13 림동건, "인구재생산의 본질적특징"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44 (44): 1998

      14 리련희, "인구재생산에 대한 통계적분석은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요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53 (53): 2007

      15 리련희, "인구재생산과 그에 작용하는 사회경제적요인들" 과학백과사 2003

      16 박상태, "인구사상과 인구정책"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7

      17 림동건, "인구발전에서 국가와 사회주의사회에서 인구정책"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50 (50): 2004

      18 한금성, "인구 재생산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의 영향과 사회주의 경제건설의 성과적수행을 위한 근본 담보" 과학백과사 1998

      19 이미경, "이상적인 여성상을 통해서 본 북한의 여성정책" 아태지역연구센터 28 (28): 145-172, 2004

      20 "우리 어머니들을 축복한다"

      21 백영경, "사회적 몸으로서의 인구와 지식의 정치 -1960년대 『사상계』속의 정치적 상상과 자유주의적 통치의 한계" 한국여성문학학회 (29) : 7-36, 2013

      22 정영철, "북한인구의 동태적 및 정태적 특징과 사회경제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3 박영자, "북한의 여성 정치: '혁신적 노동자-혁명적 어머니'로의 재구성" 사회과학연구소 13 (13): 356-389, 2005

      24 홍민, "북한의 사회주의 도덕경제와 마을체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25 박영자, "북한의 민족주의와 여성: 민족주의 담론과 여성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83-106, 2005

      26 이미경, "북한의 모성이데올로기: 『조선녀성』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391-422, 2004

      27 홍 민, "북한의 권력과 일상생활 : 지배와 저항사이에서" 한울 141-204, 2013

      28 김창순, "북한의 「전국어머니대회」에 관한 연구 : 어머니의 역할변화를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2007

      29 조영주, "북한의 ‘인민만들기’와 젠더 정치:배급과 ‘성분-당원’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9 (29): 111-142, 2013

      30 권금상,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연구 : 국가권력과 여성주체 간의동학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2015

      31 박경숙, "북한사회와 굴절된 근대 : 인구, 국가, 주민의 삶"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32 윤신원, "북한 인구구조의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33 전영선, "북한 영화 종합정보망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 1, 2000~2006년 북한 영화 및 텔레비젼 드라마 정리"

      34 곽수진, "북한 여성의 출산 경험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35 구수미,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 청진, 신의주, 혜산" 한울 197-249, 2004

      36 "북한 TV 프로그램 편성표’"

      37 "민족의 태양을 안아 키우신 강반석 녀사"

      38 "만경대의 할머니-리보익 녀사"

      39 임지현, "대중독재와 여성 - 동원과 해방의 기로에서" 휴머니스트 2010

      40 박영자, "경제난 이후 북한 체제와 젠더의 구조 및 변화" 25 : 2007

      41 하정옥, "‘인구’의 정치적 상상 전환과 여성 건강 : 재생산권의 개념정립과 여성주의 논쟁" 2012 (2012): 701-714, 2012

      42 Rapp, R., "Conceiving the New W orld Order: the Global politics of reprod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43 장미경, "'시민권의 정치'와 여성노동운동(1987-1999)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42 1.55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