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모(母)가 지각한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학모(母)효능감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erceived Sharing Housework and Child-rearing, and their Parenting Stress: The Moderating Roles of Maternal 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0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모(母)가 지각한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둘의 관계를 학모효능감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모(母)가 지각한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학모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는 학모의 역할스트레스에 대한 학교생활관리 효능감과 역할스트레스대처 효능감이 부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학모의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역할스트레스대처 효능감이 부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셋째,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모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학모의 생활스트레스에 대해 부분적으로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 결과는 학모(母)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할 때 가사 및 양육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 보다 학모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모(母)가 지각한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둘의 관계를 학모효능감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

      본 연구는 학모(母)가 지각한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둘의 관계를 학모효능감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모(母)가 지각한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학모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는 학모의 역할스트레스에 대한 학교생활관리 효능감과 역할스트레스대처 효능감이 부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학모의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역할스트레스대처 효능감이 부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셋째,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모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학모의 생활스트레스에 대해 부분적으로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 결과는 학모(母)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할 때 가사 및 양육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 보다 학모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erceived housework and child-rear sharing, and their parenting stress, and to explore how maternal 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sample was 256 mothers with 5th or 6th grader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in Gangwon-do, and 218 subjects were analyzed. Housework-sharing and Parenting Scale(HPS) and Parenting Stress Scale(PSS) were used to measure the subjective awareness on sharing housework and child-rearing. Meanwhile, Efficacy Scale of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ESPSC) was used to assess the maternal efficacy.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child rearing, and parenting stress, the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efficacy, the study added interaction term of maternal efficacy and independent variables in th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irst of all, mothers’ participations in housework, child rearing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parenting stress.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e role stress coping which is one of 8 factors of maternal efficacy had negative relations with both two factors of parent stress. school-life management efficacy which is another factor of maternal efficacy had th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al role stress. Third, the maternal efficacy had a partially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child rearing, and parenting stress. The findings imply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enhance parent efficacy than to decrease burdens of house work and child-rearing in alleviating parental stres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erceived housework and child-rear sharing, and their parenting stress, and to explore how maternal 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sample was 256 mothers wit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erceived housework and child-rear sharing, and their parenting stress, and to explore how maternal 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sample was 256 mothers with 5th or 6th grader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in Gangwon-do, and 218 subjects were analyzed. Housework-sharing and Parenting Scale(HPS) and Parenting Stress Scale(PSS) were used to measure the subjective awareness on sharing housework and child-rearing. Meanwhile, Efficacy Scale of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ESPSC) was used to assess the maternal efficacy.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child rearing, and parenting stress, the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efficacy, the study added interaction term of maternal efficacy and independent variables in th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irst of all, mothers’ participations in housework, child rearing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parenting stress.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e role stress coping which is one of 8 factors of maternal efficacy had negative relations with both two factors of parent stress. school-life management efficacy which is another factor of maternal efficacy had th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al role stress. Third, the maternal efficacy had a partially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child rearing, and parenting stress. The findings imply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enhance parent efficacy than to decrease burdens of house work and child-rearing in alleviating parental s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 학생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와 학업성취: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37-54, 2003

      2 신미숙, "학부모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강원대학교 2015

      3 임성택, "학부모심리학의 제안: 그 가능성과 의의" 2 (2): 25-46, 2015

      4 정명숙,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및 자녀성적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107-122, 2008

      5 강희경, "학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31-38, 2003

      6 유희숙, "취업주부와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와 결혼만족도" 祥明大學校 大學院 1999

      7 오지수, "초등학교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교육 인식과 자녀양육 스트레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Korea Daily뉴스, "자녀 양육에 따른 ‘부담감․돈․스트레스’, 한국인부모가 외국인부모보다 커"

      9 김문성, "자기효능감의 결정요인과 산출물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2 (12): 5-34, 2010

      10 현정환, "자기효능(self-efficacy)감에 관한 연구동향과 문제" 12 (12): 81-97, 1993

      1 박영신, "한국 학생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와 학업성취: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37-54, 2003

      2 신미숙, "학부모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강원대학교 2015

      3 임성택, "학부모심리학의 제안: 그 가능성과 의의" 2 (2): 25-46, 2015

      4 정명숙,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및 자녀성적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107-122, 2008

      5 강희경, "학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31-38, 2003

      6 유희숙, "취업주부와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와 결혼만족도" 祥明大學校 大學院 1999

      7 오지수, "초등학교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교육 인식과 자녀양육 스트레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Korea Daily뉴스, "자녀 양육에 따른 ‘부담감․돈․스트레스’, 한국인부모가 외국인부모보다 커"

      9 김문성, "자기효능감의 결정요인과 산출물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2 (12): 5-34, 2010

      10 현정환, "자기효능(self-efficacy)감에 관한 연구동향과 문제" 12 (12): 81-97, 1993

      11 김기원, "어머니의 취업 여부, 취업 관련 특성, 배우자의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1 (31): 101-113, 2010

      12 정은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0

      13 박순주,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2

      14 김정,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45-262, 2005

      15 김기현, "양육스트레스의 척도 개발" 35 (35): 141-150, 1997

      16 박승이,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2

      17 권미경, "양육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39-50, 2011

      18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 한유미, "부부간의 부모효능감 유형에 따른 양육분담 및 양육스트레스"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547-558, 2008

      20 강학중, "맞벌이 부부의 가사 및 자녀 양육 분담에 관한 연구 - 억제 및 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17 (17): 187-219, 2005

      21 한연순, "기혼남녀의 가사노동 분담 및 공평도에 관한 주관적 인지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22 임성택, "교사효능감" 강현출판사 2011

      23 전승희, "가사와 양육분담이 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4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5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26 Abidin, R. R.,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19 : 298-301, 1990

      27 Hoover-Dempsey, K. V., "Exploraions in parent-school relations" 85 (85): 287-299,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