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지된 지역사회무질서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관계의 완충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지역사회무질서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야기하고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60771
2018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1(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지된 지역사회무질서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관계의 완충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지역사회무질서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야기하고 정...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지된 지역사회무질서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관계의 완충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지역사회무질서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야기하고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사회진보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무질서가 우울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를 완화시키는데 부모애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한국청소년패널』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사회무질서는 우울에 부정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부모관계 중에서는 부모애착이 부적인 영향을, 부모갈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부모감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유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무질서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애착만이 완충효과를 보였다. 즉 지역사회무질서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모애착수준이 높으면 우울의 크기를 상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무질서가 우울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서 부모관계 중에서도 부모애착이 중요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인 검증 결과로 보여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empiric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depression. Neighborhood disorder is a problem to be solved for social progress in that it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empiric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depression. Neighborhood disorder is a problem to be solved for social progress in that it causes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adversely affects mental health.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arent attachment in mitig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depression in neighborhood disorder. we used data from the 6th year of the “Korean Youth Panel” for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neighborhood disorder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 parental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al attachment among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But not significant. Thir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maintained statistical significance even under the control of socio-economic variables. Finally, only parent attachm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ighborhood disorder and the depression. In other words, it is confirmed that when the parental attachment level is high, the size of depression can be offset in the process of the community disorder having a static effect on depre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empirical verification show that parental attachment plays an important social support role in affecting depression in neighborhood disord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민하영, "학령기 아동의 모애착과 우울 관계에서 또래애착이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1 (21): 915-927, 2012
2 조아미, "학교폭력에서 분노의 매개효과와 부모애착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77-199, 2014
3 조한익, "초기 청소년기 정서조절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부모애착의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15-337, 2012
4 성은모,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77-202, 2013
5 윤명숙,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및 또래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사용과 음주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31-156, 2009
6 강현주,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지역요인과의 관계"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581-603, 2012
7 정혜원,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 교사애착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23, 2012
8 고은희,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 위축, 주의력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애착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 : 248-248, 2014
9 김경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과 주관적 행복: 부모관계의 조절효과에 대한 성별 접근" 한국정보사회학회 15 (15): 31-56, 2014
10 김희주, "청소년의 부모애착, 학교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47-247, 2014
1 민하영, "학령기 아동의 모애착과 우울 관계에서 또래애착이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1 (21): 915-927, 2012
2 조아미, "학교폭력에서 분노의 매개효과와 부모애착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77-199, 2014
3 조한익, "초기 청소년기 정서조절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부모애착의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15-337, 2012
4 성은모,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77-202, 2013
5 윤명숙,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및 또래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사용과 음주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31-156, 2009
6 강현주,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지역요인과의 관계"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581-603, 2012
7 정혜원,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 교사애착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23, 2012
8 고은희,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 위축, 주의력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애착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 : 248-248, 2014
9 김경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과 주관적 행복: 부모관계의 조절효과에 대한 성별 접근" 한국정보사회학회 15 (15): 31-56, 2014
10 김희주, "청소년의 부모애착, 학교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47-247, 2014
11 윤혜미,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관련 요인-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8) : 133-164, 2005
12 고정자, "청소년의 개인변인과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변인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121-143, 2003
13 강현주, "청소년 자아개념에 대한 지역효과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101-129, 2012
14 박영숙, "청소년 자살사고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 인문계 및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우울, 부모관계, 친구관계 및 자살사고와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221-251, 2009
15 김세원, "지역사회 특성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3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아동복지학회 (28) : 101-135, 2009
16 김장민, "지역사회 취약성, 지역사회자본 및 가족사회자본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53-174, 2010
17 오승환, "저소득층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결정요인 : 적응유연성 요인의 탐색"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181-205, 2006
18 곽현근, "인지된 동네무질서와 사회적 유대가 개인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7 (7): 217-239, 2003
19 정선희, "인지된 동네 무질서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부모와 청소년 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0 정선희, "인지된 동네 무질서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부모관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한국아동복지학회 (56) : 1-32, 2016
21 이순형,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과 불안 판별 연구: 자기효능감, 또래애착,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99-111, 2005
22 강희경, "이웃환경 무질서와 청소년 우울간의 관계 - 일상생활스트레스와 부정적 가족사건의 매개효과 연구 -"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79-204, 2009
23 김용희, "여대생의 적응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 부모관계, 분리개별화, 수치심 및 죄책감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691-704, 2008
24 정선영, "아동이 인지한 방임 및 학대 수준과 지역사회 특성의 관계"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87-211, 2017
25 이선미,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전략 및 사회적 지지와 간질 환자의 삶의 질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26 송진영,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164-192, 2015
27 송은주,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우울과의 관계에서 부모화 경험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상담학회 11 (11): 335-354, 2010
28 차정은,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우울 및 공격성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유기공포의 매개효과검증 -남녀청소년의 모형비교-"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7 (7): 3-15, 2009
29 김재엽,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및 폭력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69-197, 2007
30 윤명숙, "부모애착이 초기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6 (26): 69-92, 2010
31 하영희,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의 우울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42-52, 2004
32 김효정,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9 (19): 339-359, 2014
33 이신숙,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20, 2002
34 김성경,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5 (15): 381-406, 2008
35 Levental, T., "The neighborhoods they live in: The effect of neighborhood residence on child and adolescent outcomes" 126 (126): 309-337, 2000
36 Aneshensel, C., "The neighborhood contex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37 : 293-310, 1996
37 Bowlby, J.,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39 : 350-373, 1958
38 Cohen, M. A., "The monetary value of saving a high-risk youth" 14 (14): 5-33, 1998
39 Armsden, G. C.,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16 (16): 427-454, 1987
40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 310-357, 1985
41 Thoits, P.,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 Where are we? What next?" (Special) : 53-79, 1993
42 Fletcher, A. C., "Parental influences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 : Revisiting Stattin and Kerr" 75 (75): 781-796, 2004
43 Boardman, J. D., "Neighborhood scioeconomic status and perception of self-efficacy" 43 (43): 117-136, 2000
44 Chase-Lansdale, L., P., "Neighborhood poverty: Vol. 1, Context and consequences for children" Russell Sage Foundation 79-118, 1997
45 Ross, C. E., "Neighborhood disorder, fear, and mistrust: The buffering role of social ties with neighbors" 28 (28): 401-420, 2000
46 Ross, C. E., "Neighborhood disadvantage, disorder and health" 42 : 258-276, 2001
47 Pearlin, L. I.,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mental health" Routledge 395-415, 1999
48 Bell, N. J.,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competence during late adolescence" 14 (14): 109-115, 1985
49 Chase-Lansdale, L., P., "Economic hardship and the development of five-and six-tear-olds : Neighborhood and regional perspectives" 67 : 3338-3367, 1996
50 Ross, C. E., "Disorder and Decay: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34 : 412-432, 1999
51 Cutrona, C. 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ty contex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frican American women" 79 : 1088-1101, 2000
52 Haney, T. J., "Broken windows and self-esteem : Subjective understandings of neighborhood poverty and disorder" 36 : 968-994, 2007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수행,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모(母)가 지각한 가사 및 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학모(母)효능감의 조절효과
학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우울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