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六友堂遺稿"
2 "樂全堂集"
3 김탁, "金剛山의 由來와 그 宗敎的 意味" 1 : 1993
4 이호승, "지리산유람록으로 본 산림문화 가치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5 최석기, "지리산 유람록–용이 머리를 숙인 듯 꼬리를 치켜든 듯" 보고사 2008
6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8 최윤정, "조선후기 금강산의 불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창훈, "조선시대 유람록에 나타난 지리산 경관자원의 명승적 가치"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10 이상균, "조선시대 關東遊覽의 유행 배경" 인문과학연구소 (31) : 167-196, 2011
1 "六友堂遺稿"
2 "樂全堂集"
3 김탁, "金剛山의 由來와 그 宗敎的 意味" 1 : 1993
4 이호승, "지리산유람록으로 본 산림문화 가치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5 최석기, "지리산 유람록–용이 머리를 숙인 듯 꼬리를 치켜든 듯" 보고사 2008
6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8 최윤정, "조선후기 금강산의 불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창훈, "조선시대 유람록에 나타난 지리산 경관자원의 명승적 가치"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10 이상균, "조선시대 關東遊覽의 유행 배경" 인문과학연구소 (31) : 167-196, 2011
11 탁효정, "조선시대 王室願堂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12 곽뢰, "신라 오대산문수신앙 연구" 동국대 2016
13 신동하, "신라 불국토사상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4 최석기,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6" 보고사 2013
15 최석기,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5" 보고사 2013
16 최석기,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4" 보고사 2010
17 최석기,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3" 보고사 2009
18 최석기,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돌베개 2007
19 이종수, "삼국·통일신라시대 山寺의 정착과 보살주처신앙의 성립" 경남문화연구원 (49) : 191-216, 2016
20 황금순, "낙산(洛山)설화와 고려수월관음도, 보타산 관음도량" 불교학연구회 18 : 93-118, 2007
21 고영섭,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 : 표훈사, 유점사, 신계사, 건봉사를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4 : 305-353, 2010
22 "默守堂集"
23 "香湖集"
24 "養窩集"
25 智冠, "韓國高僧碑文總集"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26 "韓國佛敎全書 第9冊"
27 "靑溪集"
28 "農巖集"
29 "谷雲集"
30 "謙庵集"
31 "蒼谷集"
32 "苔泉集"
33 "秋潭集"
34 "白軒集"
35 "白湖全書"
36 "白洲集"
37 "潛窩遺稿"
38 "河陰集"
39 한국학문헌연구소, "楡岾寺本末寺誌" 아세아문화사 1977
40 "東洲先生逸稿"
41 "木齋集"
42 이상균, "朝鮮時代 遊覽文化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43 "月沙集"
44 "新溪集"
45 "敬菴集"
46 "敝帚遺稿"
47 허흥식, "指空의 遊歷과 定着" 가산불교문화진흥원 (창간) : 1991
48 "懶隱集"
49 "恥齋遺稿"
50 "寤齋集"
51 "守夢集"
52 "大方廣佛華嚴經"
53 이영운, "17·18세기 하동 쌍계사의 배치와 전각구성의 변화 : 지리산 유람기 분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54 이경순, "17-18세기 士族의 유람과 山水空間 인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55 박진영, "15-17세기 금강산유람기 연구" 동국대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