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 등에서 사실진술과 의견의 구별, 그리고 허위성의 증명 = Distinction between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and Verification of Fal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574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tinction between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and Verification of Falsity

      Oh, Yun-shik

      This paper examines the distinction between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with regard to the publication of false facts and slandering of candidates, from the standpoint of whether regulatory provisions on the two offences excessively restrict the freedom of election, and subsequently, implores the issue of proving falsit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and outcomes observed.
      First, the freedom of election-encompassing the freedom to vote, participate in an electoral process, and engage in an election campaign-takes precedence over fairness of election, which merely functions as a means to secure or improve democratic legitimacy of an election.
      Second, ‘statement of fact’ is stipulated as a prerequisite to establish both offences. The criteria for differentiating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are: (i) general usage or meaning of the language in the statement; (ii) overall context of the statement; (iii) verifiability of the statement; and (iv) social context of the statement.
      Third, even if the statement can be regarded as verifiable in applying (i) and (ii),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social context of the stat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type of channel used as well as the legal purpose/intention of relevant regulations to ultimately determine the statement’s truth or falsity. Of note, the statement-regarded as a fact based upon the review of whether violating fundamental rights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and freedom of election-is considered as an opinion in cases where such fundamental rights are violated.
      Fourth, perceiving the statement that appears to be an opinion as fact is to extract and compile certain parts of the statement which are verifiable. This is the same process which is undertaken prior to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of the statement when distinguishing statement of facts from opinions upon applying the above criteria.
      Fifth,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5Do2627 decided on July 22, 2005, the prosecutor can verify the falsity of the suspicious fact by impeaching the credibility of explanatory materials provided by the accuser, and the burden of explanation strictly lies with the person who cast doubt. This is, however, unjustified because it results in shifting the actual burden of proof onto the accuser.
      Lastly, if an unbiased person comes forth and provides materials that are sufficient to raise reasonable doubt, the accuser shall be deemed as having fulfilled the duty of explanation. Furthermore, in line with the principle of actual verification, the prosecutor shall positively prove the non-existence of the suspicious fact.
      번역하기

      Distinction between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and Verification of Falsity Oh, Yun-shik This paper examines the distinction between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with regard to the publication of false facts and slandering of candidates, f...

      Distinction between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and Verification of Falsity

      Oh, Yun-shik

      This paper examines the distinction between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with regard to the publication of false facts and slandering of candidates, from the standpoint of whether regulatory provisions on the two offences excessively restrict the freedom of election, and subsequently, implores the issue of proving falsit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and outcomes observed.
      First, the freedom of election-encompassing the freedom to vote, participate in an electoral process, and engage in an election campaign-takes precedence over fairness of election, which merely functions as a means to secure or improve democratic legitimacy of an election.
      Second, ‘statement of fact’ is stipulated as a prerequisite to establish both offences. The criteria for differentiating statement of fact and opinion are: (i) general usage or meaning of the language in the statement; (ii) overall context of the statement; (iii) verifiability of the statement; and (iv) social context of the statement.
      Third, even if the statement can be regarded as verifiable in applying (i) and (ii),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social context of the stat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type of channel used as well as the legal purpose/intention of relevant regulations to ultimately determine the statement’s truth or falsity. Of note, the statement-regarded as a fact based upon the review of whether violating fundamental rights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and freedom of election-is considered as an opinion in cases where such fundamental rights are violated.
      Fourth, perceiving the statement that appears to be an opinion as fact is to extract and compile certain parts of the statement which are verifiable. This is the same process which is undertaken prior to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of the statement when distinguishing statement of facts from opinions upon applying the above criteria.
      Fifth,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5Do2627 decided on July 22, 2005, the prosecutor can verify the falsity of the suspicious fact by impeaching the credibility of explanatory materials provided by the accuser, and the burden of explanation strictly lies with the person who cast doubt. This is, however, unjustified because it results in shifting the actual burden of proof onto the accuser.
      Lastly, if an unbiased person comes forth and provides materials that are sufficient to raise reasonable doubt, the accuser shall be deemed as having fulfilled the duty of explanation. Furthermore, in line with the principle of actual verification, the prosecutor shall positively prove the non-existence of the suspicious fa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와 후보자비방죄의 규율이 국민의 선거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지는 않는가 하는 기본적 시각에서, 허위사실공표죄와 후보자비방죄에서 사실진술과 의견의 구별 문제를 검토한 다음, 허위사실공표죄에서 허위사실의 증명 문제를 검토한 글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표의 자유, 선거 과정에 참여의 자유와 선거운동의 자유를 포괄하는 선거의 자유는 선거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거나 이를 제고하기 위한 수단적 가치에 불과한 선거의 공정성에 우선한다.
      둘째, 위 양 죄의 구성요건으로 사실진술이 규정되어 있는데, 사실진술과 의견의 구별기준으로, ① ‘진술에 사용된 언어의 통상적인 용법 또는 의미’, ② ‘진술의 전체적 문맥’, ③ ‘진술의 증명 가능성’, ④ ‘진술이 이뤄진 사회적 맥락’을 들 수 있다.
      셋째, 위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사실진술과 의견을 구별함에 있어, 위 ① 내지 ② 기준을 적용한 결과 해당 진술에 대한 증명 가능성이 있어 원칙적으로 사실진술로 볼 수 있더라도, ‘진술이 이뤄진 매체의 종류·특성’ 및 ‘진술을 규제하는 법률규정의 해당 영역 또는 취지·목적’ 등에 따른 진술의 사회적 맥락을 검토하여, 다시 사실진술인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재심사하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표현의 자유, 선거의 자유 등 기본권 침해 여부를 검토한 결과 당해 진술을 사실진술로 본다면 기본권 침해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이를 사실진술로 볼 수 있더라도 의견으로 보아야 한다.
      넷째, 외관상 의견으로 보이는 진술에서 사실진술을 간취한다는 것은 그 진술에서 증명 가능성이 있는 일정한 사실진술을 추출·정리하는 것이고, 이는 위와 같은 구별기준을 적용하여 사실진술과 의견을 구별하는 과정에서 진술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기 이전의 과정과 같은 것이다.
      다섯째, 대법원 2005. 7. 22. 선고 2005도2627 판결 등에 의하면, 검사가 의혹제기자가 제시한 소명자료의 신빙성을 탄핵하는 방법으로 당해 의혹사실의 허위성의 증명이 가능하고 그 의혹제기자는 신빙성이 탄핵되지 않을 정도의 엄격한 소명책임을 부담하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 거증책임을 의혹제기자에 전가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부당하다.
      끝으로 편견 없는 일반인이 당해 의혹사실이 존재할 수 있다는 합리적 의심을 품게 하는 정도의 자료를 제시하면, 의혹제기자는 자신의 소명책임을 다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이에 대하여 실질적 거증책임의 원리상 검사는 의혹사실의 부존재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와 후보자비방죄의 규율이 국민의 선거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지는 않는가 하는 기본적 시각에서, 허위사실공표죄와 후보자비방죄에서 사실진술...

      본고는 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와 후보자비방죄의 규율이 국민의 선거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지는 않는가 하는 기본적 시각에서, 허위사실공표죄와 후보자비방죄에서 사실진술과 의견의 구별 문제를 검토한 다음, 허위사실공표죄에서 허위사실의 증명 문제를 검토한 글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표의 자유, 선거 과정에 참여의 자유와 선거운동의 자유를 포괄하는 선거의 자유는 선거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거나 이를 제고하기 위한 수단적 가치에 불과한 선거의 공정성에 우선한다.
      둘째, 위 양 죄의 구성요건으로 사실진술이 규정되어 있는데, 사실진술과 의견의 구별기준으로, ① ‘진술에 사용된 언어의 통상적인 용법 또는 의미’, ② ‘진술의 전체적 문맥’, ③ ‘진술의 증명 가능성’, ④ ‘진술이 이뤄진 사회적 맥락’을 들 수 있다.
      셋째, 위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사실진술과 의견을 구별함에 있어, 위 ① 내지 ② 기준을 적용한 결과 해당 진술에 대한 증명 가능성이 있어 원칙적으로 사실진술로 볼 수 있더라도, ‘진술이 이뤄진 매체의 종류·특성’ 및 ‘진술을 규제하는 법률규정의 해당 영역 또는 취지·목적’ 등에 따른 진술의 사회적 맥락을 검토하여, 다시 사실진술인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재심사하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표현의 자유, 선거의 자유 등 기본권 침해 여부를 검토한 결과 당해 진술을 사실진술로 본다면 기본권 침해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이를 사실진술로 볼 수 있더라도 의견으로 보아야 한다.
      넷째, 외관상 의견으로 보이는 진술에서 사실진술을 간취한다는 것은 그 진술에서 증명 가능성이 있는 일정한 사실진술을 추출·정리하는 것이고, 이는 위와 같은 구별기준을 적용하여 사실진술과 의견을 구별하는 과정에서 진술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기 이전의 과정과 같은 것이다.
      다섯째, 대법원 2005. 7. 22. 선고 2005도2627 판결 등에 의하면, 검사가 의혹제기자가 제시한 소명자료의 신빙성을 탄핵하는 방법으로 당해 의혹사실의 허위성의 증명이 가능하고 그 의혹제기자는 신빙성이 탄핵되지 않을 정도의 엄격한 소명책임을 부담하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 거증책임을 의혹제기자에 전가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부당하다.
      끝으로 편견 없는 일반인이 당해 의혹사실이 존재할 수 있다는 합리적 의심을 품게 하는 정도의 자료를 제시하면, 의혹제기자는 자신의 소명책임을 다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이에 대하여 실질적 거증책임의 원리상 검사는 의혹사실의 부존재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형구, "형사소송에 있어서의 거증책임: 학설의 정리·논평" 46 (46): 2001

      2 손동권, "형사소송법 개정신판" 세창출판사 2010

      3 정웅석, "형사소송법" 대명출판사 2006

      4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1

      5 신동운,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4

      6 차용석, "형사소송" 21세기사 2008

      7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7판" 박영사 2012

      8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7

      9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3

      10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3

      1 백형구, "형사소송에 있어서의 거증책임: 학설의 정리·논평" 46 (46): 2001

      2 손동권, "형사소송법 개정신판" 세창출판사 2010

      3 정웅석, "형사소송법" 대명출판사 2006

      4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1

      5 신동운,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4

      6 차용석, "형사소송" 21세기사 2008

      7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7판" 박영사 2012

      8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7

      9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3

      10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3

      11 천대엽, "허위사실공표죄의 구성요인인 ‘허위사실’의 입증문제" 5 : 2005

      12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2

      13 신평, "한국의 언론법" 높이깊이 2015

      14 "한국어사전" 교학사 2008

      15 정만희, "정치관계법의 근본문제와 개정방향" 한국헌법학회 13 (13): 53-101, 2007

      16 조재현, "자유선거의 원칙" 30 (30): 2002

      17 황성기, "인터넷과 선거운동" (사)한국언론법학회 9 (9): 177-229, 2010

      18 조소영, "인터넷 선거운동의 헌법적 쟁점에 관한 검토: 헌재 2011. 12. 29. 선고2007헌마1001 등 결정을 중심으로" 13 : 2012

      19 김종서, "인터넷 선거운동의 주요 쟁점 검토" 한국헌법학회 18 (18): 1-50, 2012

      20 김경환, "언론관계소송" 사법행정학회 2007

      21 배종대, "신형사소송법" 홍문사 2011

      22 박진우, "선거의 자유와 공정의 측면에서 바라본 현행 공직선거법의 문제점" 2 (2): 2009

      23 홍석한, "선거운동의 자유와 규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헌법재판소 판례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9 (19): 123-156, 2013

      24 조진만, "선거운동의 자유와 규제, 그리고 민주주의 공고화" (55) : 2009

      25 강태수, "선거운동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4 (14): 1-28, 2008

      26 김경제, "선거운동의 자유- 헌재결 2003. 5. 15. 2003 헌가 9,10 결정과 관련하여" 한국공법학회 32 (32): 549-584, 2004

      27 이욱한, "선거운동규제의 법리" 28 (28): 2000

      28 송석윤, "선거운동 규제입법의 연원― 1925년 일본 보통선거법의 성립과 한국 분단체제에의 유입 ―" 법학연구소 46 (46): 28-53, 2005

      29 이성환, "선거관리의 공법적 문제" 28 (28): 2000

      30 "미국 판례"

      31 박용상, "명예훼손법" 현암사 2008

      32 전원열, "명예훼손 불법행위에 있어서 위법성 요건의 재구성" 서울대학교대학원 2001

      33 "독일 연방선거법 등 독일 연방법령"

      34 김종철,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2항(낙선목적 허위사실 공표죄)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소위 ‘정봉주 사건’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2 (22): 1-32, 2012

      35 윤지영,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2항 허위사실 공표죄의 구성요건과 허위성의 입증"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 : 589-632, 2012

      36 황정근,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상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고찰" 49 (49): 2000

      37 박창수, "表現의 自由와 名譽의 保護 -韓國, 獨逸과 美國에서의 명예훼손 법리에 관한 憲法的 考察과 批判을 겸하여-" 한국법학원 (84) : 21-5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6 0.89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