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야구기록 활용에 기반한 ‘한국야구명예의전당’ 운영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xcellent Operation of the “Korea Baseball Hall of Fame” Based on Baseball Reco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1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direction for operating the “Korea Baseball of Fame” based on baseball records. To clarify problems, a literature review on the case analysis of the “Hall of Fame”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 assortment and management of Korean baseball records, and a consultation with officials who work in the baseball industry were progress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building an archive database to operate the “Korea Baseball Hall of Fame” effectively. First, archives will be collected, and then managed and utilized at the “Korea Baseball Hall of Fame.” Second, to preserve the memories of baseball heroes, an oral archive will be constructed. Third, baseball records will be assorted and stored in a database.
      번역하기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direction for operating the “Korea Baseball of Fame” based on baseball records. To clarify problems, a literature review on the case analysis of the “Hall of Fame”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 assortment ...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direction for operating the “Korea Baseball of Fame” based on baseball records. To clarify problems, a literature review on the case analysis of the “Hall of Fame”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 assortment and management of Korean baseball records, and a consultation with officials who work in the baseball industry were progress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building an archive database to operate the “Korea Baseball Hall of Fame” effectively. First, archives will be collected, and then managed and utilized at the “Korea Baseball Hall of Fame.” Second, to preserve the memories of baseball heroes, an oral archive will be constructed. Third, baseball records will be assorted and stored in a databa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야구기록 활용에 기반하여 ‘한국야구명예의전당’을 운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에 의한 미국과 일본 명예의 전당 사례 분석과 한국 야구기록의 종류와 관리현황, 현업에서 종사 중인 야구 관계자들의 면담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종합 방안으로서 ‘한국야구명예의전당’에서 수집, 관리, 활용해야 할 관련 아카이브 컬렉션 구성과 야구 영웅의 기억을 보존하기 위한 구술 확보의 필요성, 야구 경기기록의 DB화와 데이터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야구기록 활용에 기반하여 ‘한국야구명예의전당’을 운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에 의한 미국과 일본 명예의 전당 사례 분...

      본 연구는 야구기록 활용에 기반하여 ‘한국야구명예의전당’을 운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에 의한 미국과 일본 명예의 전당 사례 분석과 한국 야구기록의 종류와 관리현황, 현업에서 종사 중인 야구 관계자들의 면담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종합 방안으로서 ‘한국야구명예의전당’에서 수집, 관리, 활용해야 할 관련 아카이브 컬렉션 구성과 야구 영웅의 기억을 보존하기 위한 구술 확보의 필요성, 야구 경기기록의 DB화와 데이터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헨리 채드윅(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소개)"

      2 권선형, "한국야구위원회의 기록물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3 "한국야구위원회"

      4 "한국 야구기록의 역사"

      5 송은영, "참여 스포츠 형태에 따른 스포츠 성향별 신체적 자기효능 및 생활만족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일본 프로야구 명구회"

      7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과 박물관"

      8 이은화, "아카이브즈 개인 기록 컬렉션 관리에 관한 연구 : 배민수 컬렉션 분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09

      9 임재구, "스포츠미디어를 통한 헤게모니와 영웅주의" 한국체육철학회 17 (17): 35-52, 2009

      10 최송화, "스포츠 영상 아카이브 구축방안 : 올림픽 영상 기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09

      11 박일혁, "스포츠 사이버명예의전당 구축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1 (11): 111-125, 2013

      12 "부산, 한국프로야구 명예의 전당 생긴다"

      13 "부산 , 한국프로야구 명예의 전당 생긴다"

      14 김은영, "보존과 활용을 위한 구술기록의 정리방안 연구 : 국사편찬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15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과 박물관"

      16 "명예의 전당 관문에 선 박찬호, 몇 표나 얻을까 ?"

      17 "명예의 전당 1 호 입회자, 2016 년에 나온다"

      18 "대한체육회 스포츠영웅"

      19 인상우, "근대 스포츠기록의 형태와 특성에 관한 고찰" 1 (1): 31-40, 2007

      20 "국사편찬위원회"

      21 "국가기록원-국가지정기록물제도"

      22 김재운, "교사의 스포츠형 여가활동 참가와 교직스트레스,교직만족 및 자아실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3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24 최유리, "개인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나의 아카이브(My Archive)’ 만들기" 한국기록학회 (47) : 5-49, 2016

      25 "[ 김형준의 인사이드 MLB] 2014 명예의 전당 , 누가 들어갈까"

      26 "KBO, 야구사료 통합 아카이브 홀 설립"

      27 "KBO 홈페이지 개편"

      28 "2015 스포츠인 역사보존사업" 대한체육회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