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서울시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별 변이과정 분석 연구 - 상업 업종의 변화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Variation Proces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Phase in Residential Area in Seoul – Focused on Business Type of Commercial Characteristic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3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과거에는 구득이 어려웠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젠트리피케이션 대상지 전체의 진행단계를 진단해보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단계 전환 변이 과정을 살펴보아 단계가전환할 때의 과정을 관찰하고 눈 여겨 봐야할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단계뿐만 아니라 전환할 때의 특징을 관찰하여 더욱 세부적인 현황파악과 다음 단계로 전환되는 것에 대한 적절한 대응정책이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젠트리피케이션 진단 지표로서의 가능성과 해당 데이터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대상지에 따라 혹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일한 진행상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시작 초기와 이후 언론노출에 따른 유동인구 증가, 이와 함께 임대료 상승, 지역성 변화, 이후에는 프랜차이즈 입점 및 획일화 과정 등을 겪게 된다는 것은 이미 수많은 언론보도와 기존의 연구들에 의하여 보고된바 있다. 즉, 젠트리피케이션 대상지마다의 젠트리피케이션 진행 현황과 변이과정을 파악하고자하는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지표의 구득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함이며 이는 향후 대상지별젠트리피케이션 진행현황에 맞는 정책대안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과거에는 구득이 어려웠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젠트리피케이션 대상지 전체의 진행단계를 진단해보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단계 전환 변이 과정을 살펴보아 단계가전환할 때의 과...

      본 연구는 과거에는 구득이 어려웠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젠트리피케이션 대상지 전체의 진행단계를 진단해보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단계 전환 변이 과정을 살펴보아 단계가전환할 때의 과정을 관찰하고 눈 여겨 봐야할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단계뿐만 아니라 전환할 때의 특징을 관찰하여 더욱 세부적인 현황파악과 다음 단계로 전환되는 것에 대한 적절한 대응정책이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젠트리피케이션 진단 지표로서의 가능성과 해당 데이터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대상지에 따라 혹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일한 진행상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시작 초기와 이후 언론노출에 따른 유동인구 증가, 이와 함께 임대료 상승, 지역성 변화, 이후에는 프랜차이즈 입점 및 획일화 과정 등을 겪게 된다는 것은 이미 수많은 언론보도와 기존의 연구들에 의하여 보고된바 있다. 즉, 젠트리피케이션 대상지마다의 젠트리피케이션 진행 현황과 변이과정을 파악하고자하는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지표의 구득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함이며 이는 향후 대상지별젠트리피케이션 진행현황에 맞는 정책대안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막중, "주거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효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3 (53): 123-136, 2018

      2 염지혜,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상업가로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111-122, 2014

      3 김흥순, "신사동 가로수 길과 삼청동 길의 활성화 요인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325-334, 2010

      4 허자연, "서울시 상업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5 윤윤채,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연구원 17 (17): 17-32, 2016

      6 허자연,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 경리단길 사례" 서울연구원 16 (16): 19-33, 2015

      7 이상훈, "상업가로로서 신사동 가로수길의 형성과정 및 활성화 요인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77-88, 2011

      8 박진아, "삼청동길 상업가로 장소성 변화요인으로서 프랜차이즈 상점 입점현상 고찰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215-223, 2013

      9 SK텔레콤 기업사업본부 지오비전, "빅데이터 활용 관광사업 성과 시범 분석" 한국관광공사 2013

      10 김희진, "문화특화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과정과 장소성인식 변화의 특성: 삼청동과 신사동 가로변을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97-112, 2016

      1 최막중, "주거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효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3 (53): 123-136, 2018

      2 염지혜,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상업가로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111-122, 2014

      3 김흥순, "신사동 가로수 길과 삼청동 길의 활성화 요인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325-334, 2010

      4 허자연, "서울시 상업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5 윤윤채,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연구원 17 (17): 17-32, 2016

      6 허자연,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 경리단길 사례" 서울연구원 16 (16): 19-33, 2015

      7 이상훈, "상업가로로서 신사동 가로수길의 형성과정 및 활성화 요인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77-88, 2011

      8 박진아, "삼청동길 상업가로 장소성 변화요인으로서 프랜차이즈 상점 입점현상 고찰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215-223, 2013

      9 SK텔레콤 기업사업본부 지오비전, "빅데이터 활용 관광사업 성과 시범 분석" 한국관광공사 2013

      10 김희진, "문화특화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과정과 장소성인식 변화의 특성: 삼청동과 신사동 가로변을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97-112, 2016

      11 이인성, "문화상업가로 활성화 과정에서의 건축물 용도변화- 서울시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127-140, 2013

      12 김동현, "근린상점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서울시사업체조사 (2006~2014)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43-56, 2017

      13 Atkinson, R., "The New Urban Colonialism: Gentrification in a Global Context" Routledge 2005

      14 Zukin, S., "The Life Cycle of New York’s Creative Districts: Reflections on the Unanticipated Consequences of Unplanned Cultural Zones" 2 (2): 131-140, 2011

      15 Benediktsson, M.O., "Taming a “Chaotic Concept”: Gentrification and Segmented Consumption in Brooklyn, 2002–2012" 37 (37): 590-610, 2016

      16 Yoon, Y.C., "Stag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Seoul" 10 (10): 1-16, 2018

      17 Criekingen, M.V., "Revisiting the Diversity of Gentrification: Neighbourhood Renewal Processes in Brussels and Montreal" 40 (40): 2451-2468, 2003

      18 Baudrillard, J., "Revenge Of The Crystal-Classic Edition: Selected Writings on the Modern Object and Its Destiny, 1968-1983" Pluto Press 1999

      19 Sullivan, D.M., "Retail Gentrification and Race: The Case of Alberta Street in Portland, Oregon" 47 (47): 413-432, 2011

      20 Miller, D., "On Nationality" Clarendon Press 1995

      21 Zukin, S., "New Retail Capital and Neighborhood Change: Boutiques and Gentrification in New York City" 8 (8): 47-64, 2009

      22 Meltzer, R., "Neighbourhood Differences in Retail Turnover: Evidence from New York City" 54 (54): 3022-3057, 2017

      23 Glass, R., "Introduction to London: Aspects of Change" Center for Urban Studies 1964

      24 Hamnett, C., "Gentrification and Urban Location Theory: a Review and Assessment. Progress in Research and Applications" 6 : 283-319, 1984

      25 Lees, L., "Gentrification and Social Mixing: Towards an Inclusive Urban Renaissance?" 45 (45): 2449-2470, 2008

      26 Meltzer, R., "Bodegas or Bagel Shops? Neighborhood Differences in Retail and Household Services" 26 (26): 73-94,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6-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Planner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4 1.3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