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ystematic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of choseong's assignment and assignment's order in Hunminjeongeum. There is two different assignment of choseong in 『Jejahae』(制字解). The as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39847
NIE BAOMEI (원광대학교)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7-95(2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ystematic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of choseong's assignment and assignment's order in Hunminjeongeum. There is two different assignment of choseong in 『Jejahae』(制字解). The 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ystematic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of choseong's assignment and assignment's order in Hunminjeongeum. There is two different assignment of choseong in 『Jejahae』(制字解). The assignment of ‘喉牙舌齒脣’ fits up the very beginning order of the Five Elements. In Hunminjeongeum, choseong was assigned at the five Elements(五行), the Direction(五方), the season(五時), the O-eum(五音) and the O-seong(五聲). It fit up philosophical principle of the Five Elements(五行).
Although the philosophical of Yin-Yang(陰陽) didn't appear in Hunminjeongeum. But the every consonant of Hangeul all has the principle of Yin-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In 「Jejahae」(制字解), won-hyeong-i-jeong(元亨利貞) and the four season start from Jeong(貞) and winter respectively. Jeong(貞) and winter are the beginning of all the creation as well as the en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 현희, "훈민정음의 한 이해" 역락 2014
2 김만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45) : 55-94, 2012
3 이 병근,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59-80, 1988
4 이 근수, "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 홍익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 : 83-102, 1994
5 김 슬옹, "훈민정음 해례본 세트" 간송미술문화재단. 교보문고 2015
6 반 재원, "훈민정음 창제원리와 천문도와의 상관성"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3
7 김 익수, "훈민정음 창제와 朱子易學과의 상관성 管見" 한국역경문화학회 (창간) : 315-359, 2003
8 안명철, "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 국어학회 (45) : 213-242, 2005
9 신 경준, "훈민정음 운해"
10 강 신항, "훈민정음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1 이 현희, "훈민정음의 한 이해" 역락 2014
2 김만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45) : 55-94, 2012
3 이 병근,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59-80, 1988
4 이 근수, "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 홍익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 : 83-102, 1994
5 김 슬옹, "훈민정음 해례본 세트" 간송미술문화재단. 교보문고 2015
6 반 재원, "훈민정음 창제원리와 천문도와의 상관성"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3
7 김 익수, "훈민정음 창제와 朱子易學과의 상관성 管見" 한국역경문화학회 (창간) : 315-359, 2003
8 안명철, "훈민정음 제자 원리의 기호론" 국어학회 (45) : 213-242, 2005
9 신 경준, "훈민정음 운해"
10 강 신항, "훈민정음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11 유 창균,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3
12 윤 덕중, "훈민정음 기원론" 국문사 1983
13 문 효근, "훈민정음 의 형체학적 풀이―‘ㆁ’의 형체를 밝히기 위하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00) : 185-238, 1998
14 이 남덕, "훈민정음 과 <方格规矩四神鏡>에 나타난 古代 東方 思想" 국어국문학회 (62․63) : 221-239, 1973
15 馬元臺, "황제내경소문영추합편(黃帝內經素問靈樞合編)" 대료국풍출판사(臺聊國風出版社) 1976
16 서 경덕, "화담집 권2"
17 김 석환, "현토주해 훈민정음" 한맥출판사 1978
18 한 태동, "한태동 선집 4: 세종대의 음성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19 성 원경, "한중음운학논총 제2권" 서광학술자료사 1993
20 이 상백,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 해설" 통문사 1957
21 聂宝梅, "한글 자형의 하도낙서 역리 연구" 한국언어교육학회 13-31, 2016
22 이 상규, "한글 공동체" 박문사 2014
23 "태종실록" 국사편찬위원회
24 "책부원구(冊府元龜)"
25 이 승재, "차자표기 연구와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에 대하여" 국어학회 (19) : 203-239, 1989
26 권 재선, "제자해 해석상의 문제점과 그 해명" 한글학회 (235) : 175-204, 1997
27 송나라, "절운지장도(切韻指掌圖)"
28 김영환, "전통적 말글 의식에 대한 연구―한글 창제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31) : 463-488, 2005
29 김 영만, "장 태진 박사 화갑기념 국어국문학 논총" 장 태진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편찬위원회 43-70, 1987
30 백두현, "작업 단계로 본 훈민정음의 제자 과정과 원리" 한글학회 (301) : 83-142, 2013
31 석혜림, "일절경음의(一切经音义) 권25"
32 김양진, "일음양오행(一陰陽五行)과 훈민정음(訓民正音)" 국어학회 (74) : 57-102, 2015
33 송 기중, "이 숭녕, 현대국어학의 개척자" 태학사 787-814, 2008
34 김 완진, "음운과 문자" 신구문화사 301-345, 1996
35 백두현, "융합성의 관점에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 한국문학언어학회 (57) : 115-156, 2012
36 "운경(韻鏡)"
37 진양, "악서(樂書)"
38 서대춘, "악부전성 역주(樂府傳聲 譯註)" 중국 희극(戲劇) 출판사 1982
39 김슬옹, "세종의 ‘정음 문자관’ 맥락 연구" 한말연구학회 (35) : 5-45, 2014
40 "세종실록" 국사편찬위원회
41 호광, "성리대전(性理大全)"
42 진원정, "사림광기사(事林廣記四)"
43 반고, "백호통의(白虎通義)"
44 김 민수, "韓國의 사상大全集, 훈민정음 주해" 주화출판사 1957
45 이 정호, "訓民正音의 構造原理" 아세아문화사 1975
46 유 정기, "訓民正音의 哲學的 體系" 영남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6·7) : 179-197, 1970
47 손유석, "訓民正音의 制字背景과 易學的 原理" 한의병리학회 18 (18): 28-38, 2004
48 李成九, "訓民正音解例의 哲學思想에 관한 硏究 : 易理와 性理學을 중심으로" 명지대학 대학원 1984
49 이 성구, "訓民正音硏究" 동문사 1985
50 조 영진, "訓民正音 字形의 起源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44·45) : 195-207, 1969
51 황경수, "訓民正音 制字解와 初聲의 易學思想" 한국국어교육학회 (72) : 373-396, 2006
52 김 태완, "訓民正音 과 中國 韻書와의 分合관계― 訓民正音 의 初聲을 중심으로" 중국인문학회 161-174, 2005
53 윤 창렬, "河圖와 洛書에 나타난 陰陽五行에 관한 硏究"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3 (3): 103-124, 1995
54 홍 기문, "正音發達史" 서울신문사 출판국 1946
55 尉迟治平, "基于本體特色的漢語硏究 慶祝薛風生敎授八十華誕文集" 中國社會科學 出版社 65-77, 2011
56 李得春, "中韓言語文字關係史硏究" 연변교육출판사 2006
57 서 병국, "中國韻學이 訓民正音 制定에 미친 影饗에 關한 硏究"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15) : 25-52, 1973
58 남 성우, "中國韻學과 性理學이 訓民正音 創製에 미친 影響"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중국연구소 (4) : 159-187, 1979
59 邸宏香, "中國音韻學暨黃典誠學術思想國際學術研討會論文集" 廈門大學出版社 53-56, 2014
60 何九盈, "中國古代言語學史" 廣東敎育出版社 1995
61 이 숭녕, "世宗의 言語政策에 關한 硏究―特히 韻書編纂과 訓民正音과의 關係를 中心으로 하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 : 29-83, 1958
62 이상규, "『훈민정음』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접근" 한민족어문학회 (69) : 5-39, 2015
63 김슬옹, "‘훈민정음’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 한민족문화학회 (21) : 95-135, 2007
64 김 영환, "<해례>의 중세적 언어관" 한글학회 (198) : 131-158, 1987
65 최 현배, "(고친) 한글갈" 정음사 194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3 | 1.332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