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제 사병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활용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55180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 , 사회복지학 , 2002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38.000

      • 발행국(도시)

        대한민국

      • 형태사항

        v, 75 p..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나라는 주적인 북한과 반세기이상 대체하고 있으며, 주변에 이해관계를 달리하고,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적으로 돌변할 가능성이 있는 국가들과 경쟁을 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국제...

      우리 나라는 주적인 북한과 반세기이상 대체하고 있으며, 주변에 이해관계를 달리하고,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적으로 돌변할 가능성이 있는 국가들과 경쟁을 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국제정세 속에서 국가와 민족을 수호하고, 국민의 안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군사력이 필요하다.
      강하고 경쟁력 있는 국가유지를 위해 우리는 심신이 건강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젊은이들에게 국방의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軍은 국방이라는 근본적인 목적 뿐 아니라, 젊은이들에게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가출 수 있도록, 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의 붕괴와 불안정 등으로 가정의 경제를 본인혼자 책임져야 하거나, 갑작스런 신상의 충격으로 인한 개인적인 불안으로 인해, 군복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군에 입대할 여건이 않되는 병사들이 군복무를 하면서 각종 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 의무 복무기간동안 국가에 충성할 수 있고, 자기 스스로의 계발에만 전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데, 그 장치가 바로 군내 복지전문가에 의한 문제 사병 관리이다.
      전문 복지분야 담당 장교를 육성, 병과 또는 전문특기를 부여하여, 일반 사회복지
      공문원과 연계, 입대 전 대상자에 대한 정확하고 세밀한 조사로, 대상자의 입대가 그 가정에 실질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 입대여부를 결정하고,
      일단 군에 입대한 후 갑작스런 가정의 붕괴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해도, 병사들이 군복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군복무기간 가정의 지원은 물론 제대 후에도 안정된 직업을 구할 때까지 공공 근로 등 일정한 보수의 일자리를 제공하여 군
      복무 후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심적인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원할 때마다 면담 등의 지원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가장 시급한 것이 군내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장교를 선발하거나, 임관 후 일반대학에 위탁교육을 시켜 책임감 있고 자부심 있는 복지 장교를 선발하는 것이다. 그 후에 일반 복지 행정과 연계된 요 보호자 관리 제도를 정착시켜 대한민국의 건강한 젊은이들이 흔들리지 않고 국방의 의무를 다할 수 있는 여건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military social work which helps strengthen the individual ability in military life through active, harmonious communication - for premodern factors and inaccuracy in communication seem to ha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military social work which helps strengthen the individual ability in military life through active, harmonious communication - for premodern factors and inaccuracy in communication seem to have an influence on the continual desertion in military service and enfeeblement of individual adaptability.
      The sources used in this study were manuals, which are published by the headquarter of korea army and documentary records.
      Als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necessity of military social work are as follows: First, rigidity and authoritarian factors in communication do not suit the new generation's way of thinking, and as for Korean men, military lif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m and frail, insufficient adaptability under any circumstances can cause many problems.
      Second, specialized military social work service is necessary for the making of firm self-awareness since there are strong possibilities of sudden deviation and accidents resulted from adolescence confusion in one's sense of value and mental physical conflicts. Lastly, it seems that the conscription system, the duty of Korea young men, can't be changed to a voluntary enlistment system, and the vast amount of national defence expenditure can't be reduced at this point, when considering our country's situation.
      Therefore, military social work, form the view of the military authorities, is the adequate solution to the problem of deviation in military life with less expenses, which all so lifts the morale of the enlisted men.
      The military is a "closed" and "controlled" community, but the enlisted men should have the right to receive public welfare service for their own mental stability.
      Korean army should examine a variety of programs and activities with an introduction of social work and service, utilizing them actively so that they can be approved offici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및 배경 = 1
      •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2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군 사회복지의 정의 = 4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및 배경 = 1
      •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2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군 사회복지의 정의 = 4
      • 1. 군 사회복지의 개념 = 4
      • 2. 군 사회 사업의 활동 범위 = 6
      • 제2절 군사고 예방을 위한 관련 이론 = 9
      • 1. 인간 관계론 = 9
      • 2. 안전 관리론 = 15
      • 제3장 군 조직 내 문제 병사 현황과 원인 분석 = 19
      • 제1절 5대 악성 사고에 대한 기본적 이해 = 19
      • 1. 5대 악성 사고의 유형 = 19
      • 2. 5대 악성 사고의 발생 주요 원인 = 22
      • 1) 사회적 측면 = 22
      • 2) 가치관적 측면 = 23
      • 3) 군에 미치는 영향 = 25
      • 4) 부대적 측면 = 26
      • 제2절 군 조직내 사고에 대한 현황 분석 = 30
      • 1. 최근 사고의 발생 추세 = 30
      • 2. 2001년도 사고 통계 분석 = 31
      • 제3절 군 조직내 사고 원인 분석 = 32
      • 1. 불우한 가정 환경에 의한 사고 원인 분석 = 32
      • 2. 군 복무 염증에 의한 사고 원인 분석 = 35
      • 3. 즉흥적 감정 의한 사고 원인 분석 = 35
      • 4. 사고 원인들을 종합한 시사점 = 35
      • 제4장 군 사회사업의 필요성 = 36
      • 제1절 선진국들의 自國軍에 대한 사회 사업 유형 = 38
      • 1. 미국의 군 사회사업의 역사 = 38
      • 2. 미국의 군 사회사업 현황 = 39
      • 제2절 우리나라의 군 사회사업의 현 실태 = 42
      • 1. 우리나라의 군 사회사업 역사 = 42
      • 2. 우리나라 군 사회사업 현황 = 43
      • 제5장 사회복지사의 활용 방안 = 46
      • 1. 사회복지사에 의한 입대 전 가정 환경 조사 = 46
      • 2. 군 복무 기간 동안 사회복지사에 의한 장병 및 가정 보호 = 51
      • 3. 군 복무 기간 중 사회복지사와의 면담 창구 유지(인터넷, 전화, 우편 등) = 56
      • 4. 전역 후 필요시 사회 정착을 위한 지원 급여 = 69
      • 제6장 결론 = 71
      • 참고문헌 = 73
      • Abstract =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