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진지성 여행과 삶의 질의 관계 - 여행자아관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ness in Travel an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Ego-invol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84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진지성 여행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여행자아관여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진지성여행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여행경력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

      본 연구는 진지성 여행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여행자아관여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진지성여행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여행경력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인 수준에서 접근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ㆍ경북에 거주하는 일반인 416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5월~6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의 특징이 밝혀졌다. 첫째, 진지성 여행과 삶의 질의 관계를 탐험적인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진지성 여행이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진지성 여행과 여행자아관여의 상호작용항이 삶의 질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셋째, 진지성 여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여행경력 수준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삶의 질을 유도하는 변수로서 진지성 여행의 개념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진지성 여행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여행자아관여의 조절효과를 규명할 수 있는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ego-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ousness in travel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o implement an exploratory approach to the 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ego-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ousness in travel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o implement an exploratory approach to the detection of differences ma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ousness in travel and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ravel career.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the study, 416 ordinary persons resid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and analyzed from May through June 2016.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ousness in travel and the quality of life, it was found that the seriousness in travel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term for the seriousness in travel and the travel ego-involvement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about the quality of life. Third, the effects of the seriousness in life on the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ravel career. Taken tog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cept of the seriousness in travel, as a variable that induces the quality of life, has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And it may be said that this study is theoretically valuable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ravel ego-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ousness in travel and the quality of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훈, "해외 개별자유여행객의 여행동기 - 여행횟수에 따른 여행동기의 차이 분석 -" 한국관광학회 36 (36): 201-220, 2012

      2 김형훈, "한강수상레저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와 여가몰입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 (35): 113-125, 2011

      3 한유선, "청소년의 주변환경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6

      4 김미량, "진지한여가 척도의 재정립" 한국체육학회 54 (54): 313-322, 2015

      5 황선환, "진지한 여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 검증" 여가문화학회 9 (9): 1-16, 2011

      6 황선환, "진지한 여가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한국체육학회 48 (48): 387-396, 2009

      7 김미량, "진지한 여가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48 (48): 397-408, 2009

      8 오세숙, "진지한 여가 참여자로서 낚시인의 여가경력에 관한 탐색" 한국웰니스학회 9 (9): 79-90, 2014

      9 정소정, "진지한 여가 경험이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10 고동우, "진지성 여가경험과 긍정심리자본 및 삶의 질의 관계구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7 (17): 179-198, 2016

      1 이상훈, "해외 개별자유여행객의 여행동기 - 여행횟수에 따른 여행동기의 차이 분석 -" 한국관광학회 36 (36): 201-220, 2012

      2 김형훈, "한강수상레저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와 여가몰입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 (35): 113-125, 2011

      3 한유선, "청소년의 주변환경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6

      4 김미량, "진지한여가 척도의 재정립" 한국체육학회 54 (54): 313-322, 2015

      5 황선환, "진지한 여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 검증" 여가문화학회 9 (9): 1-16, 2011

      6 황선환, "진지한 여가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한국체육학회 48 (48): 387-396, 2009

      7 김미량, "진지한 여가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48 (48): 397-408, 2009

      8 오세숙, "진지한 여가 참여자로서 낚시인의 여가경력에 관한 탐색" 한국웰니스학회 9 (9): 79-90, 2014

      9 정소정, "진지한 여가 경험이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10 고동우, "진지성 여가경험과 긍정심리자본 및 삶의 질의 관계구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7 (17): 179-198, 2016

      11 문상정, "지체장애인에게 문화관광의 가치는 무엇인가?" 관광경영학회 20 (20): 1-29, 2016

      12 이영균,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223-250, 2007

      13 고동우, "중국여성의 가부장적 갈등과 여가경험 - 성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34) : 1-22, 2012

      14 이훈, "주 5일 근무제가 레저 라이프스타일과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연구 : 레저론적 분석" 13 : 31-57, 2001

      15 고동우, "재미진화모형을 적용한 관광태도의 이해" 7 : 25-44, 2006

      16 임지현, "여행경력프로필(Travel Career Profile)에 따른 한국과 일본 여성관광객의 추구편익 비교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39-60, 2010

      17 고동우, "여가활동 일치유형에 따른 여가태도와 여가경험의 차이 비교" 한국관광학회 32 (32): 293-314, 2008

      18 고동우, "여가학의 이해" 세림출판 2007

      19 김정운,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1-15, 2005

      20 고동우, "수학여행의 심리ㆍ교육적 효과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1-20, 2012

      21 "두산백과사전"

      22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61-76, 2000

      23 이양호, "기혼남성의 진지한 여가가 여가정체성 및 가족기능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24 권석만, "긍정심리학 : 행복의과학적탐구" 학지사 2008

      25 이정순, "관광활동이 관광·여가만족과 웰빙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26 고동우, "관광자 정체성의 개념과 심리적 구조 차원" 한국관광학회 37 (37): 253-275, 2013

      27 김영란, "골프참여자의 몰입경험이 진지한 여가, 여가전문화, 여가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28 Evans, S. T., "Variations in personal activity, access to"Categories of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young adults" 10 : 249-264, 1991

      29 Falk, J. H., "Travel and learning : A neglected tourism research area" 39 (39): 908-927, 2012

      30 Ukil (lui) Lee, "Travel Motivation and Travel Career Pattern -A Study on Australians-"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6 (16): 163-184, 2004

      31 Pearce, P. L., "The ulysses factor: evaluating visitors in tourist settings" Springer-Verlag 1988

      32 Ryan, C., "The travel career ladder : An appraisal" 25 (25): 936-957, 1998

      33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 A measure of global life satisfaction" 49 : 71-75, 1985

      34 Scarinci, J., "The perceived influence of travel experiences on learning generic skills" 33 : 380-386, 2012

      35 Pine, J.,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er and every business a sta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9

      36 Williams, D. R.,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use history on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motivations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22 (22): 36-54, 1990

      37 Sherif, M., "The Psychology of ego involvements, Social attitudes and identifications" Wiley 1974

      38 Stebbins, R. A., "Serious leisure: a perspective for our time" New Brunswick 2006

      39 Heo, J., "Serious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of older adults" 35 : 16-32, 2013

      40 Stebbins, R. A., "Serious leisure : A conceptual statement" 25 (25): 251-272, 1982

      41 Stebbins, R. A., "New directions in the theory and research of serious leisure" Edwin Mellen Press 2001

      42 Maslow, A.,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and Row 1970

      43 Wiley, C. E., "Men’s and women’s involvement in sport : An examination of the gendered aspects of leisure involvement" 22 (22): 19-31, 2000

      44 Laurent, C., "Measuring 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22 (22): 41-53, 1985

      45 Iwasaki, Y., "Leisure, stress, and coping : An evolving area of inquiry" 25 : 107-113, 2003

      46 Ragheb, M. G., "Leisure and perceived wellness" 15 : 13-24, 1993

      47 Silverman, D., "Interpreting Qualitative Data: Methods for Analyzing Talk, Text and Interaction" Sage Publications, Ltd 2006

      48 Hutchinson, S. L, "Gifts of the ordinary : Casual leisure’s contributions to health and well-being" 47 : 2-16, 2005

      49 Selin, S. W., "Ego Involvement and Leisure Behavior : A Conceptual Specification" 20 : 237-244, 1988

      50 Carruthers, C., "Building a life of meaning through therapeutic recreation : The leisure and well-being model, Part 1" 41 (41): 276-297, 2007

      51 Shen, S., "Blowing open the serious leisure-casual leisure dichotomy : What’s in between?" 32 (32): 162-179, 2010

      52 Stebbins, R. A., "Amateurs, professionals, and serious leisur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 Korean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2 1.69 2.283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