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성 독거노인의 공동체 참여 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munity Participation Process of Elderly Men Living Al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남성 독거노인의 공동체 참여 과정과 그에 따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남성 독거노인 12명이다. 심층면접자료는 근...

      이 연구의 목적은 남성 독거노인의 공동체 참여 과정과 그에 따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남성 독거노인 12명이다. 심층면접자료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남성 독거노인의 공동체 참여 경험의 단계별 변화는 역할 상실로 인한 고립 단계, 다시일어서는 단계, 어울림 단계, 협력적 활동 단계,가족 밖 가족 구성 단계로 나타났다. 남성독거노인들은 공동체 참여과정을 통해 주체성을 형성시켰으며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은안정적 사회적응을 이루는 밑거름이 되었다. 남성 독거노인은 공동체 활동의 동기와 태도에따라 ‘새로운 울타리 형성’단계와 ‘울타리 밖 구경꾼’의 단계에 이르게 된다.
      남성 독거노인은 공동체 활동 이전에 절벽 앞에 위태롭게 서 있는 것 같은 일상을 살아가고 있었지만,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독립과 의존의 경계에서 주체적 방식으로 사회적 가족을형성하였다. “가족 밖 새로운 가족”은 남성 독거노인에게 있어 동반자적 안식처이자 정서적안식처라고 할 수 있다. 이 안식처는 서로 의지할 수 있는 곳이자 혈연중심 가족 안에서 충분히 채울 수 없는 정서적인 위안을 얻는 곳이었다. 본 연구는 남성 독거노인의 관점에서 공동체를 통한 대안적 가족의 형성 과정을 발견하고, 노년기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점을 탐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ommunity for elderly men living alone and to explore the process of how the community changes elderly liv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2 elderly men living alone who are currently particip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ommunity for elderly men living alone and to explore the process of how the community changes elderly liv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2 elderly men living alone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community activities.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The community participation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has developed from isolation stage to re-emergence stage, cohesion stage, cooperative activity stage, and forming-families-outside-his-family stage in the course of time. Elderly men living alone formed subjec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osi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became the basis for stable social adaptation. Depending on the attitude and motivation for community activities, elderly men living alone will reach the stage of ‘new fence formation' and ‘an observer outside the fence.' Although elderly men living alone had lived in a dangerous routine as if they were standing in front of a cliff before participating in community activities, they subjectively formed a social family on the border of independence and dependenc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new family outside the family” is a companion and emotional sanctuary for elderly men living alone. This sanctuary was a place where one can rely on one another and gain emotional comfort that can not be satisfied within the blood-tied family. This study's significance in that it discovered the formation process of an alternative family through the community from the viewpoint of elderly men living alone and explored what to consider to form an elderly commu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임현, "홀로된 남성노인의 성생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3

      2 한상복, "한국인의 공동체의식" 5 (5): 2-16, 1982

      3 박영란,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한국노인복지학회 (60) : 323-352, 2013

      4 박경숙,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34): 621-647, 2000

      5 송인주, "퇴직 남성노인 재취업 과정의 의미-사회적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497-514, 2008

      6 모선희, "충남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 실태와 영향요인" 사회복지연구소 43 : 191-209, 2015

      7 허소영,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한국노년학회 30 (30): 241-260, 2010

      8 김영란, "지역연대에 기초한 노인 1인 가구 돌봄지원방안 - 노인돌봄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9 김소남,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86-194, 2013

      10 김행신, "주거와 자아에 관한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2 (2): 47-55, 1991

      1 조임현, "홀로된 남성노인의 성생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3

      2 한상복, "한국인의 공동체의식" 5 (5): 2-16, 1982

      3 박영란,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한국노인복지학회 (60) : 323-352, 2013

      4 박경숙,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34): 621-647, 2000

      5 송인주, "퇴직 남성노인 재취업 과정의 의미-사회적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497-514, 2008

      6 모선희, "충남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 실태와 영향요인" 사회복지연구소 43 : 191-209, 2015

      7 허소영,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한국노년학회 30 (30): 241-260, 2010

      8 김영란, "지역연대에 기초한 노인 1인 가구 돌봄지원방안 - 노인돌봄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9 김소남,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186-194, 2013

      10 김행신, "주거와 자아에 관한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2 (2): 47-55, 1991

      11 김미혜, "정년퇴직 후, 재취업에 성공한 한국 남성노인의 구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123-142, 2008

      12 조성희, "저소득 독거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독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5-59, 2016

      13 조미경, "저소득 남성노인의 홀로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7-34, 2013

      14 이동영, "재가독거노인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앤더슨 행동모형(Anderson Model)의 적용"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23, 2011

      15 장인순, "일부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와의 관계 연구" 20 (20): 130-140, 2006

      16 천선영, "오늘 우리가 말 할 수 있는 ‘공동체성’ 이란 대체 어떤 것인가?: 노인친화적(신) 공동체성 논의를 위한 이론적 배경" 2013

      17 조용운, "영구임대주택 남성독거노인의 우울증과 자살충동: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295-320, 2014

      18 이건정, "여성체육활동이 사회적 가족형성에 미치는 영향" 2013

      19 김은정,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관계만족도" 31 (31): 125-146, 2012

      20 김은정, "여성 노인의 생애구술을 중심으로 본 노년기 자아정체성의 형성과 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20 (20): 27-67, 2008

      21 송영신, "여성 노인 1 인 가구의 실태 및 정책적 개선방안" 7 (7): 33-72, 2015

      22 오영은, "사회적관계망 크기와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이 단독가구 농촌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 독거노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555-580, 2012

      23 최용민, "사회적 지원망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2 : 193-217, 2003

      24 최지민, "사회적 관계망과 고령자의 문제: 성별과 사회관계망 간 상호작용의 정책적 활용"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5 (25): 83-114, 2015

      25 이건정, "사회적 가족 형성을 통한 노인문제 해결의 가능성" 2013

      26 정수일, "사회문제 측면에서 본 노인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1 (1): 109-119, 2016

      27 이인혜, "배우자를 사별하고 홀로 살아가는 남성노인의 경험과 노후에 대한 인식" 서울기독교대학교 대학원 2013

      28 김원필, "물리·사회적 커뮤너티환경의 幼年期 情緖的 경험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影響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169-176, 2010

      29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53-87, 2013

      30 장덕희, "독거노인의 유사가족 관계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6) : 229-254, 2013

      31 조윤득, "독거노인의 우울·불안감과 사회참여와의 관계에 미치는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70) : 223-244, 2015

      32 배숙경,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5-30, 2012

      33 임강영,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체육활동 참여에 대한 의미형성과정"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107-128, 2010

      34 신근화,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9) : 647-675, 2013

      35 허선영, "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6 박수현, "독거노인을 위한 관계형성 집단활동프로그램"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8 (8): 43-50, 2014

      37 한삼성, "독거노인과 부부노인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경험" 보건의료산업학회 6 (6): 29-38, 2012

      38 한경혜, "도시지역 연소노인들의 사회참여와 동기 요인간의 관련성" 한국노년학회 31 (31): 1189-1208, 2011

      39 정재훈,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독거노인의 주거환경과 사회적 지지" 대한건축학회 33 (33): 63-70, 2017

      40 이진숙, "대안적 가족으로서의 독거노인들의 공동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아세아문제연구소 58 (58): 42-71, 2015

      41 이형하, "대도시지역 노인과 농촌지역 노인의 공동체 의식 관련요인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8) : 231-254, 2005

      42 정인수, "농촌지역 독거노인 생활공동체 거주만족도" 한국농촌건축학회 14 (14): 9-20, 2012

      43 박중신, "농촌지역 독거노인 공동생활홈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6 (16): 1-8, 2014

      44 김유진, "농촌지역 독거노인 공동생활거주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노년학회 36 (36): 21-38, 2016

      45 양순미, "농촌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14 (14): 145-178, 2004

      46 한명숙, "농촌노인 공동체 생활 참여자의 우울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7

      47 유은주, "농촌 공동생활가정 거주 노인의 공동생활체 경험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151-172, 2013

      48 남복현, "노인의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회복탄력성과 사회활동참여를 매개효과로" 3 (3): 279-301, 2016

      49 남기민,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395-420, 2013

      50 남순현, "노인의 일과 여가 의미에 대한 Giorgi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6

      51 이소정, "노인의 사회적 역할 유형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9-35, 2013

      52 이가옥,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0

      53 박석돈, "노인복지론" 양성원 2016

      54 정경희, "노인문화의 현황과 정책적 함의: ‘성공적 노화’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55 정경희, "노인단독가구의 생활 현황과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56 한정란, "노인 자원봉사의 교육노년학적 의미" 4 (4): 45-67, 2001

      57 백옥미,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궤적에 따른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329-351, 2014

      58 장수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전후기노인 및 성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75-100, 2010

      59 박윤희, "노년기 사회관계망의 구조와 기능이 노인의 사회활동욕구에 미치는 영향" 19 (19): 117-135, 2016

      60 정채기, "남자도 사람이다" 집현전 1997

      61 주경옥, "남성독거노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 "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4

      62 남석인,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인인식 및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노년학회 28 (28): 1297-1315, 2008

      63 백지은,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 경험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425-445, 2010

      64 조종도, "남성 독거노인, 친구가 더 절실히 필요 : 우울증은 여성이 높지만 실제 자살률은 남성이 두 배"

      65 이윤정, "남녀 독거노인가구와 부부노인가구의 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32 (32): 1119-1135, 2012

      66 김정희, "기독교 노인교육" 한국학술정보(주) 2008

      67 Strauss, A.,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68 박미정,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일상생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62-91, 2010

      69 안기덕,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생애사 연구: 사회적 배제와 행위주체성(agency)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2 (32): 447-465, 2012

      70 이진경, "공동체주의와 코뮨주의" 1 (1): 56-84, 2001

      71 변화순, "공동체적 삶을 향한 가족"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994

      72 김정석, "고령화의 주요 사회이론과 담론" 한국노년학회 27 (27): 667-690, 2007

      73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창조적 삶의 성장" 학지사 2015

      74 이진숙, "가족대안으로서의 농촌 독거노인 생활공동체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22 (22): 95-119, 2010

      75 정경희,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 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76 山根友絵, "要支援一人暮らし男性高齢者のサポート獲得プロセス" 35 (35): 1-11, 2012

      77 中山健, "社会的支援と社会的ネットワークとが高齢者の身体活動実施に与える影響に関する研究" 10 : 72-85, 2002

      78 髙野美代子, "家族形態別高齢者の QOL と社会的支援の状況" 14 : 111-120, 2010

      79 田髙悦子, "大都市における一人暮らし男性高齢者の地域を基盤とした自立支援プログラムの開発と有効性の評価" 14 (14): 53-61, 2012

      80 김유진, "‘지역 공동체 내에서 나이 들어가기’ 관점에서 살펴 본 농촌 독거노인 공동생활거주제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51-273, 2016

      81 안서현, "[취재파일] 누구도 알지 못한 죽음 ‘고독사’"

      82 이소희, "TV 드라마에 재현된 여성노인의 삶 연구- 성공적 노화와 주체성의 관점에서 -" 한국여성문학학회 (31) : 213-248, 2014

      83 Callaghan, P., "Social support and health : a review" 18 (18): 203-210, 1993

      84 Fiori, K. L., "Social network types among older adult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62 (62): P322-P330, 2007

      85 Antonucci, T. C.,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Academic Press 427-453, 2001

      86 Sun, W., "Factors associated with good self-rated health of non-disabled elderly living alone in Japan: a cross-sectional study" 7 (7): 297-291, 2007

      87 Hanser, S. B., "Effects of a music therapy strategy on depressed older adults" 49 (49): 265-269, 1994

      88 Hatch, J. A.,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89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2008

      90 Reitzes, D. C., "Activities and Self-Esteem Continuing the Development of Activity Theory" 17 (17): 260-277, 1995

      91 Boeije, H, "A purposeful approach to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the analysis of qualitative interviews" 36 (36): 391-409, 2002

      92 Atchley, R. C,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29 (29): 183-190, 1989

      93 Greenfield, E. A., "A conceptua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promise of the NORC program and Village models to promote aging in place" 26 (26): 273-284, 2012

      94 조희선, "30대 중산층 기혼여성의 여성중심 수정확대가족 선택동기와 생활복지" 한국지역사회학회 24 (24): 27-50, 2016

      95 통계청, "2017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96 통계청, "2017 인구총조사: 독거노인비율"

      97 통계청, "2016 고령자 통계"

      98 보건복지부, "2015 노인실태조사" 2015

      99 보건복지부, "2012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