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상경험 및 임원경험을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Achievement in Extra-Curriculum Fields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High-School Students’ Awards Records and the Experience of Offic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6946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비교과영역 성취에 대한 관심은 대입에서 이를 주요 전형요소로 활용하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되면서 추동된 측면이 없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영역 성취를 반영하는 다양한 지표들 가운데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가장 광범하게 적용되는 지표인 임원경험과 교내ㆍ외 수상 경험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이들 영역에서 성취를 거두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교 재학 중 임원을 지낼 가능성에는 학업성취도, 자아효능감, 부모-자녀 관계,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 및 지원,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고교 재학 중 교내ㆍ외 수상여부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학업성취가 우수하고 독서향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주지교과 수상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타 영역 수상의 경우에는 교사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비교과영역 성취 역시 기존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유사하게 학생들이 지닌 문화자본이나 가정 안팎의 사회자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영역 평가를 도입한 본래 취지를 구현하려면 비교과영역 성취를 포착할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다양화하고, 가정배경과 같은 요인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의 지원을 확대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비교과영역 성취에 ...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비교과영역 성취에 대한 관심은 대입에서 이를 주요 전형요소로 활용하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되면서 추동된 측면이 없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영역 성취를 반영하는 다양한 지표들 가운데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가장 광범하게 적용되는 지표인 임원경험과 교내ㆍ외 수상 경험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이들 영역에서 성취를 거두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교 재학 중 임원을 지낼 가능성에는 학업성취도, 자아효능감, 부모-자녀 관계,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 및 지원,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고교 재학 중 교내ㆍ외 수상여부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학업성취가 우수하고 독서향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주지교과 수상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타 영역 수상의 경우에는 교사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비교과영역 성취 역시 기존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유사하게 학생들이 지닌 문화자본이나 가정 안팎의 사회자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영역 평가를 도입한 본래 취지를 구현하려면 비교과영역 성취를 포착할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다양화하고, 가정배경과 같은 요인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의 지원을 확대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awards records, as identified by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ng a student’s potential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officials for leadership assessment in the wake of the expansion of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high GPA, self-efficiency, parent-child relationship, a higher level of parental support and interes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o the experience of officials. On the one hand,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an award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has somewhat distinction depending on inside and outside school or the awards field. Generally, however, while key subjects are affected by high GPA and reading enjoyment, in the case of the others, reading enjoy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in the restricted exten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plays a relatively important ro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hievement in extra-curriculum fields is not irrelevant to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as are academic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value of diversification of awards field, readership assessment and the school-based extended support.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awards records, as identified by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ng a student’s potential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officials for leadership asses...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awards records, as identified by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ng a student’s potential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officials for leadership assessment in the wake of the expansion of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high GPA, self-efficiency, parent-child relationship, a higher level of parental support and interes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o the experience of officials. On the one hand,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an award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has somewhat distinction depending on inside and outside school or the awards field. Generally, however, while key subjects are affected by high GPA and reading enjoyment, in the case of the others, reading enjoy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in the restricted exten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plays a relatively important ro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hievement in extra-curriculum fields is not irrelevant to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as are academic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value of diversification of awards field, readership assessment and the school-based extended suppo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요 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 요 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병순, "학생생활기록부와 대학의 자율성" 4 : 7-15, 1997

      2 김성천, "학생생활기록부 비교과영역 대한 교사와 대학입학관계자 인식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233-259, 2006

      3 김정명, "학생생활기록부 내의 청소년활동 기록적합성에 관한 연구" 26 : 29-42, 1997

      4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생활기록부 우수기재 매뉴얼"

      5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 영역 신뢰 제고 방안 연구" 2005

      6 한철우, "학교 독서 지도의 방향과 과제" 한국독서학회 (14) : 9-34, 2005

      7 이수영, "특수목적고등학교 학생들의 대학 전공계열 진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과학고와 외국어고를 중심으로 -" 교육종합연구소 7 (7): 1-25, 2009

      8 정건희, "청소년자치활동의 실태 및 현황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53-83, 2010

      9 차정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미결정의 성별 차이 및 발달 경향성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23-944, 2007

      10 김정주, "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운동 연구" 문화관광부, 한국청소년개발원 1999

      1 송병순, "학생생활기록부와 대학의 자율성" 4 : 7-15, 1997

      2 김성천, "학생생활기록부 비교과영역 대한 교사와 대학입학관계자 인식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233-259, 2006

      3 김정명, "학생생활기록부 내의 청소년활동 기록적합성에 관한 연구" 26 : 29-42, 1997

      4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생활기록부 우수기재 매뉴얼"

      5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 영역 신뢰 제고 방안 연구" 2005

      6 한철우, "학교 독서 지도의 방향과 과제" 한국독서학회 (14) : 9-34, 2005

      7 이수영, "특수목적고등학교 학생들의 대학 전공계열 진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과학고와 외국어고를 중심으로 -" 교육종합연구소 7 (7): 1-25, 2009

      8 정건희, "청소년자치활동의 실태 및 현황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53-83, 2010

      9 차정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미결정의 성별 차이 및 발달 경향성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923-944, 2007

      10 김정주, "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운동 연구" 문화관광부, 한국청소년개발원 1999

      11 김혜숙,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일반 대학원 2002

      12 조혜영, "청소년 참여활동의 성과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 : 청소년참여기구 청소년들과의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111-140, 2008

      13 권순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14 김성종,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지속성 영향요인 연구" 11 : 59-95, 2002

      15 윤준채, "중학생 독자의 독서 태도 발달 경향에 관한 연구Ⅰ"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3) : 159-184, 2008

      16 허경숙, "중ㆍ고등학교의 특별활동 운영실태 및 성과 결정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17 김강호,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과 영향변인" 2008

      18 기영락, "전문계 고등학생의 부모 관계와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63-80, 2010

      19 김일혁, "입학사정관제 운영 평가 지표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2 (22): 681-715, 2009

      20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제 운영 공통기준"

      21 교육과학기술부, "입학사정관제 도입을 위한 보도자료"

      22 김수연, "입학사정관 평가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정성적 평가 모형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 (1): 35-59, 2009

      23 권승아,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실태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한국교육학회 47 (47): 95-118, 2009

      24 김정숙,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1-23, 2007

      25 정윤경, "우리나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관련 변인" 2005

      26 박혜숙, "시간에 따른 중학생의 독서태도, 독서습관, 독서시간과 국어성취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39 (39): 27-49, 2008

      27 이순영,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독서학회 (16) : 357-379, 2006

      28 양성관, "대학입학사정관제 지침서 개발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8

      2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사정관제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 2007

      30 김재춘, "교사별 학생평가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31 문승태, "고등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부모와의 애착 및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6 (16): 2003

      32 이경렬,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의 도입․운영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인식" 12 : 33-61, 1999

      33 김석우,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을 통한 대학입학사정관제의 학교생활기록부 평가방법 고찰" 한국교육평가학회 22 (22): 587-614, 2009

      34 Lareau, A., "Unequal childhoods: class, race and family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35 Little, R. J. A., "Statistical Analysis with Missing Data, 2nd edition" Wiley 2002

      36 Gottfried, A. E., "Role of cognitively stimulating home environment in children’s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A longitudinal study" 69 (69): 1448-1460, 1998

      37 Schafer, J. L., "Multiple imputation: a primer" 8 : 3-15, 1999

      38 Barness, S. A., "Multiple imputation technique in small sample clinic trials" 25 (25): 233-245, 2006

      39 Rubin, D. B., "Multiple imputation for nonresponse in surveys" Willey 1987

      40 Ibrahim, J. G., "Missing covariates in generalized linear models when the missing data mechanism is non-ignorable" 61 (61): 173-190, 1999

      41 Pancer S. M., "In Yates Miranda, Youniss James. Roots of civicidentity :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ommunity service and active inyou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2 Baker, L., "Engaging young readers: promoting achievement and motivation" The Guilford Press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