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활동가들이 운영과 참여를 하고 있는 대구와 경산지역의 공동체 미디어를 분석하여 여성주의 실천 전략이 어떻게 지역에서 실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68497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5-140(36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 활동가들이 운영과 참여를 하고 있는 대구와 경산지역의 공동체 미디어를 분석하여 여성주의 실천 전략이 어떻게 지역에서 실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
본 연구는 여성 활동가들이 운영과 참여를 하고 있는 대구와 경산지역의 공동체 미디어를 분석하여 여성주의 실천 전략이 어떻게 지역에서 실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대구와 경산지역 공동체 미디어 실천 활동은 다음의 세 가지 지점에서 여성주의 실천 전략으로 유의미했다.
첫 번째 도시에서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다는 점이다. 도시 사회의 정의는 사람들이 서로 얼마나 가까이 있는가, 얼마나 마주침의 공간을 담고 있는가이다. 특히 ‘도시의 공적 공간’에서 차별받아왔던 여성, 장애인, 성 소수자는 공간의 생산과 점유를 해야 하는 실천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 두 번째는 미디어 실천 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이 머무르고 있는 일상과 경험을 이야기하며, 개인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배제되어 왔던 사람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 담론이 형성되고 공론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공동체 미디어는 도시에서의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공존하게 하는 전략을 펼친다. 공동체 미디어는 사람과 사람의 마주침, 온라인과 오프라인, 미디어 공간과 도심 공간의 접목을 통해 ‘마주침의 정치’를 생산해내는 여성주의 실천 전략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community media 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Feminist strategies in the areas of Daegu and Gyeong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media is creating new spaces in the urban space. In particular, wo...
This article analyzes community media 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Feminist strategies in the areas of Daegu and Gyeong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media is creating new spaces in the urban space. In particular, women, disabled individuals, and sexual minoritie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have the practical task of producing and occupying new space. Second, community media contains details of women’s daily lives. This corresponds with the right to participation for all citizens, and participation and practical actions constitute an intimate relationship. Finally, people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conversation in the past can obtain the opportunity for discourse formation and public discussion with their voices. Public spheres are formed through media, which is a force that can influence the symbolic mediums of power and politics. Community media allows for a strategy to recognize differences in the urban and harmonize various voices. Media from the feminist community produces “the politics of the encounter” through the convergence of people, the online and the offline, and media and urban spac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재원, "혐오와 친화 사이에서, 도시와 마주친 여성들"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05-223, 2017
2 이영자, "페미니즘의 대중화" 18 (18): 37-70, 2002
3 로즈, 질리언, "페미니즘과 지리학" 한길사 2011
4 허성우, "지역여성운동의 현실과 지역사회 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14) : 271-288, 2000
5 맥도웰, 린다,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아카데미 2010
6 안숙영, "젠더, 공간 그리고 공간의 정치화: 시론 차원의 스케치" 한국여성연구원 29 (29): 157-183, 2012
7 이토 마모루, "정동의 힘" 갈무리 2016
8 루만, 니클라스, "열정으로서의 사랑" 새물결출판사 2009
9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난 비체들" 들녘 2016
10 최이숙, "여성주의 웹진과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여성 공간 형성: 웹진 ‘언니네’를 중심으로" 2005
1 문재원, "혐오와 친화 사이에서, 도시와 마주친 여성들"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05-223, 2017
2 이영자, "페미니즘의 대중화" 18 (18): 37-70, 2002
3 로즈, 질리언, "페미니즘과 지리학" 한길사 2011
4 허성우, "지역여성운동의 현실과 지역사회 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14) : 271-288, 2000
5 맥도웰, 린다,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아카데미 2010
6 안숙영, "젠더, 공간 그리고 공간의 정치화: 시론 차원의 스케치" 한국여성연구원 29 (29): 157-183, 2012
7 이토 마모루, "정동의 힘" 갈무리 2016
8 루만, 니클라스, "열정으로서의 사랑" 새물결출판사 2009
9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난 비체들" 들녘 2016
10 최이숙, "여성주의 웹진과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여성 공간 형성: 웹진 ‘언니네’를 중심으로" 2005
11 장지은, "여성주의 영상제작과 여성영화제-대구여성영화제를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7 (27): 183-219, 2017
12 김성희, "여성주의 영상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실천전략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13 "수성주민광장 인터넷 방송국"
14 푸코, 미셸, "성의 역사" 나남출판 2010
15 "성서공동체 FM"
16 정현주, "사회운동의 공간성: 사회운동연구에 있어서 지리학적 기여에 대한 탐색" 대한지리학회 41 (41): 470-490, 2006
17 노진철, "불확실성 시대의 신뢰와 불신" 한울 2014
18 카스텔, 마누엘, "분노와 희망의 네트워크 - 인터넷 시대의 사회운동" 한울 2015
19 사이토 준이치, "민주적 공공성" 이음 2010
20 SCN 성서공동체, "만만한 라디오 –동네 사람들이 만드는 라디오 방송" 동네인문학 2015
21 메리필드, 앤디, "마주침의 정치" 이후 2015
22 강세진, "마을이 답하다" 2017
23 전희경, "마을공동체의 ‘공동체’성을 질문하다: 서울시 마포·은평 지역 비혼/퀴어 페미니스트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4 (14): 75-112, 2014
24 김영정,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역할 분석 및 여성참여의 지역검정 활동 방안"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5
25 정성훈, "도시공동체의 친밀성과 공공성" 철학사상연구소 (49) : 311-340, 2013
26 "대구여성영화제 블로그"
27 반명진,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마포 F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78 (78): 79-115, 2016
28 강진숙, "공동체 라디오 동작FM의 다중참여와 실천사례 연구 : 네그리와 하트, 비르노의 다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292-318, 2016
29 르페브르, 앙리,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30 매시, 도린, "공간, 장소, 젠더"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31 아파두라이, 아르준, "고삐 풀린 현대성" 현실문화연구 2004
32 Dyck, I., "Space, Time, and Renegotiating Motherhood : An Exploration of the Domestic Workplace" 8 (8): 459-483, 1990
33 Rodríguez, C., "Citizens’ media against armed conflict : disrupting violence in Colombi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
페미니즘 윤리학의 새로운 지평 - 전투적 자기윤리와 자기방어 엘자 도를랑(Elsa Dorlin)의 『자기 자신을 방어하기, 폭력의 철학』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강간의 이데올로기적 재현과 여성 문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1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2 | 1.32 | 1.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5 | 1.58 | 1.768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