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작업기억 및 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 중인 18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20052
2016
-
180
KCI등재
학술저널
1-16(16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작업기억 및 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 중인 18명...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 작업기억 및 치료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 중인 18명의 뇌졸중 환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8명의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9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모두 전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를 4주간 주 5회, 1일 30분씩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 용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30분씩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평가는 중재 전과 후에 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A와 B), 숫자 외우기(바로와 거꾸로), MVPT-3의 시각기억을 사용하여 집중력, 작업기억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후에 치료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적 수치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중재 전과 후로 선 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숫자 외우기,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대조군은 중재 전과 후로 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A,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선추적 검사와 시각기억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치료 선호도 비교에서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한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전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중재를 받은 65세 미만의 대상자들은 65세 이상의 대상자들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치료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 통적 인지치료(작업치료)만 수행하는 것보다 스마트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함께 했 을 때,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과 시각기억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추후 에는 나이에 따른 스마트 기기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비교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령, "한국 작업치료의 인지재활 실태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73-84, 2012
2 김수일, "한국 작업치료 의료보험 수가의 문제점" 11 (11): 73-91, 2003
3 채강석, "컴퓨터 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뇌졸중 환자의 주의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4 조영남, "전산화 인지재활이 뇌졸중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61-278, 2012
5 권재성, "작업치료사를 위한 인지재활" 퍼시픽북스 2008
6 최수지, "인지 훈련 애플리케이션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7 함민주, "워크북 프로그램이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91-103, 2016
8 이인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과 기억력 증진:단일 사례 연구" 3 (3): 57-65, 2014
9 신민섭, "스마트폰 기반 장·노년용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의 인지기능 향상 효과: 예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855-872, 2015
10 김형재, "스마트 폰을 활용한 명화 패러디 기반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125-147, 2016
1 이희령, "한국 작업치료의 인지재활 실태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73-84, 2012
2 김수일, "한국 작업치료 의료보험 수가의 문제점" 11 (11): 73-91, 2003
3 채강석, "컴퓨터 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뇌졸중 환자의 주의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4 조영남, "전산화 인지재활이 뇌졸중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61-278, 2012
5 권재성, "작업치료사를 위한 인지재활" 퍼시픽북스 2008
6 최수지, "인지 훈련 애플리케이션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7 함민주, "워크북 프로그램이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91-103, 2016
8 이인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과 기억력 증진:단일 사례 연구" 3 (3): 57-65, 2014
9 신민섭, "스마트폰 기반 장·노년용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의 인지기능 향상 효과: 예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855-872, 2015
10 김형재, "스마트 폰을 활용한 명화 패러디 기반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125-147, 2016
11 강연욱,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11-922, 2002
12 허명, "뇌졸중 후 상지기능 개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6 (16): 137-141, 2015
13 송영진, "국내 작업치료 수가체계의 문제점 및 개정 방안" 대한작업치료학회 23 (23): 123-136, 2015
14 Engle, R. W., "Working memory, short-term memory, and general fluid intelligence: a latent-variable approach" 128 (128): 309-, 1999
15 Zoltan, B.,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a manual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neurologically impaired adult" Slack Inc 1996
16 Cangoz, B., "Trail Making Test: normative data for Turkish elderly population by age, sex and education" 283 (283): 73-78, 2009
17 Chen, S. H. A.,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11 (11): 197-210, 1997
18 강연욱, "SNSB 서울신경심리검사" 휴브알엔씨 2003
19 Barker-Collo, S. L., "Reducing attention deficits after stroke using attention process train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40 (40): 3293-3298, 2009
20 King, R. B.,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27 (27): 1467-1472, 1996
21 Allen, C. K., "Occupational therapy for psychiatric diseases: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cognitive disabilities" Little Brown & Company 1985
22 Lang, C. E., "Observation of amounts of movement practice provided during stroke rehabilitation" 90 (90): 1692-1698, 2009
23 Radomski, J. P., "Neural network-based recognition of oligosaccharide 1H-NMR spectra" 1 (1): 217-218, 1994
24 Colarusso, R. P., "MVPT-3: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2003
25 Boulos, M. N. K., "How smartphones are changing the face of mobile and participatory healthcare: an overview, with example from eCAALYX" 10 (10): 1-, 2011
26 Cicerone, K. D.,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81 (81): 1596-1615, 2000
27 Cha, Y. J., "Effect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BCR) for people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2 (32): 359-368, 2012
28 Hsieh, Y. W., "Dose-response relationship of robot-assisted stroke motor rehabilitation the impact of initial motor status" 43 (43): 2729-2734, 2012
29 Ryan, J. J., "Digit span performance of persons 75-96 years of age: Base rates and associations with selected demographic variables" 8 (8): 324-, 1996
30 Singer, A. J., "Determination of the minimal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a patient visual analog satisfaction scale" 5 (5): 1007-1011, 1998
31 Radford, K. A., "Concurrent validity of the stroke drivers screening assessment" 85 (85): 324-328, 2004
32 Westerberg, H., "Computerized working memory training after stroke-a pilot study" 21 (21): 21-29, 2007
33 Katz, D. I., "Cognitive rehabilitation:the evidence, funding and case for advocacy in brain injury" Brain Injury Association of America 2006
유아교사의 인성 자기평가와 아동학대 인식 간의 관계 연구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의 차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0-07-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지발달지원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영문명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 Mediation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4 | 0.9 | 1.298 | 0.48 |